$\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메타분석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Korea: A Meta-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2, 2015년, pp.169 - 182  

박완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박신정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황성동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meta-analysis designed to identify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interventions in alleviating main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Korea. Methods: Examination of several databases including Research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2000년 이후 2013 년까지 국내에서 ADHD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CBT 중재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와 각 하위결과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하고, CBT 종류, 제공 영역, 중재 기간, 중재 횟수, 중재 방법, 전체 기간 등의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추후 CBT 중재 연구에 대한 지침과 CBT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001)[12].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각 연구 간 효과크기가 서로 다른 배경, 즉 효과크기 이질성의 배경에 대한 탐색적 설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우선 연구 수준의 변수인 연구 설계유형, 출간유형, 대상자들의 학년을 조절변수(moderators)로 하여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Figure 3).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CBT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기반의 실천적 및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0년부터 2013년 7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CBT 중재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 1,298편의 논문이 1차 검색되었으나, 배제기준들을 적용하고 선정기준에 최종적으로 적합한 논문은 학위논문 11편, 학술연구 논문 10편의 총 21편이 본 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
  • 본 연구는 CBT 중재프로그램이 ADHD 학령기 아동의 주요 증상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자기통제,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CBT 중재논문의 연구 결과들을 대상으로 CBT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CBT가 여러 가지 ADHD 중재 중 가장 효과크기가 높다는 선행 메타분석 연구를 근거로 하여[9], ADHD 아동에게 CBT 중재를 시행한 연구만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BT의 종류, 횟수 중재시간, 중재영역, 대상자 참여 수, 종속변수에 따른 효과크기 결과 등의 구체적인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 CBT 중재프로그램은 보편적으로 12~16회로 진행하지만, 실제 학교나 병원에서는 간략한 CBT 중재(Brief CBT)가 더 많이 사용되는데, 이때 적절한 회기수는 4~8회이다[13]. 본 연구에서는 간략한 CBT 중재와 일반적인 CBT 중재를 모두를 감안하여 8회 이상을 중재프로그램 선정 기준으로 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선정기 준을 정할 때 CBT중재 프로그램을 실험처치로 최소 8회 이상 실시하여 중재 전후의 사전·사후 측정이 이루어졌으며, 중재 효과를 구체적인 통계적 수치로 제시한 논문들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이후 국내에서 ADHD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수행된 주 증상에 대한 CBT 중재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CBT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고 실무적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ADHD 아동의 CBT 중재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문헌을 중심으로 근거중심의 과학적인 연구 방법인 메타분석을 통해 중재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그 대상을 국내 연구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임상적 차원의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국외의 연구와는 달리 학교와 지역사회 등의 준임상적 차원의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국내 연구 상황에서[10] 외국과의 이질적인 맥락을 가능한 줄여서 한국 상황 에서 직접적으로 적용하고자하기 때문이다. 또한, ADHD 아동의 행동과 증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표준화된 평가 척도들이 문화적 차이, 부모들의 양육 태도나 ADHD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반영하여 문항이 달리 구성된 점을 고려하여[11], 국내 연구만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는 주의산만·과잉행동·충동성을 주 증상으로, 7세 이전의 초기 아동기에 발병하여 만성경과를 밟으며 가정·학교·지역 등 동시에 여러 영역에서 문제를 초래하는 아동기의 중요한 정신질환이다. 이는 집단생활이 시작되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수업을 방해하거나 규칙을 어기는 행동 등으로 증상이 가시화 또는 표면화 되면서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더욱 두드러진다.
ADHD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요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함께 진행이 가능한 치료는 무엇인가? 그러나 약물치료는 부정적 태도나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줄일 수 있지만, 적절한 행동대처 양식을 습득하는데 부분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4,6]. 이로 인해 약물요법과 함께 인지행동치료, 사회 기술훈련, 부모교사교육, 환경조성 등의 심리사회적치료를 병행하여 ADHD 증상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4].
ADHD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사용할 경우의 한계는 무엇인가? ADHD 주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약물요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는 부정적 태도나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줄일 수 있지만, 적절한 행동대처 양식을 습득하는데 부분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다[4,6]. 이로 인해 약물요법과 함께 인지행동치료, 사회 기술훈련, 부모교사교육, 환경조성 등의 심리사회적치료를 병행하여 ADHD 증상을 줄이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HJ, Heo JY, Kim YH, Song HJ.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mbined program of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 parents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11;27(3):25-58. 

  2. Biederman J, Kwon A, Aleardi M, Chouinard VA, Marino T, Cole H, et al. Absence of gender effects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indings in nonreferred subject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5;162(6):1083-1089. http://dx.doi.org/10.1176/appi.ajp.162.6.1083 

  3.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hildren and adolescen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ight out of ten people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2 May 10]. Available from: http:// www.hira.or.kr/co/searchCms.do?catid14hi6_2&collectioncms&startCount0&pgmidHIRAA020041000000&fieldsubject&search_ word%EC%86%8C%EC%95%84%C2%B7%EC%B2%AD%EC%86% 8C%EB%85%84+%EC%A3%BC%EC%9D%98%EB%A0%A5%EA%B 2%B0%ED%95%8D%EC%9E%A5%EC%95%A0. 

  4. Kim IH.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6;15(2):152-160. 

  5. Oh WO, Park ES. Parenting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DHD: Approaching the norm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91-104. 

  6. Kim IH.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7;16(4):420-428. 

  7. Lee DH, Kim MS, Song YJ, Kwon BM. An exploratory review of literature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ADH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3;25(3):643-672. 

  8. Park SH, Go H. A case study applying bo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rt psychotherapy to an ADHD child.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2010;6(2):79-99. 

  9. Seo JY, Park WJ. The meta analysis of trends and the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school aged ADH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0;19(2):117-132. 

  10. Kim Y, Seo S. Current trends and issues in non-medication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academic impair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DHD.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11;8(1):79-110. 

  11. Song CJ, Koo BH, Bai DS. Item selection and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rating scal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006;22(1):1-26. 

  12. Higgins JPT, Green S,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cited 2011 March 20].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13. Cully JA, Teten AL. A therapist's guide to brie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Houston, TX: South Central Mental Illness Research, Education, and Clinical Center; 2008. 

  14.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Internet]. Edinburgh, UK: Author; 2011 [cited 2012 May 29]. Available from: 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50/index.html. 

  15.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Rothstein HR.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Ltd.; 2009.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7. Rosenthal R, Rubin DB. A simple, general purpose display of magnitude of experimental effe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82;74(2):166-169. 

  18. Littell JH, Corcoran J, Pillai V.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19. Egger M, Smith GD, Schneider M, Minder C.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British Medical Journal. 1997;315(7109):629-634. 

  20. Duval S, Tweedie R.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2000;95(449):89-98. http://dx.doi.org/10.1080/01621459.2000.10473905 

  21. Miranda A, Presentacion MJ, Soriano M. 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multicomponent program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002;35(6):546-562. 

  22. Kang SH, Hong JM, Baek YH. The effect of group art activity program on impulsiveness and self-control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006;13(1):23-48. 

  23. Lee Y.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ADHD children's behavior change [master's thesis]. Cheongju: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6. 

  24. Van der Oord S, Prins PJ, Oosterlaan J, Emmelkamp PM. Efficacy of methylphenidate, psychosocial treatments and their combinat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DHD: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8;28(5):783-800. http://dx.doi.org/10.1016/j.cpr.2007.10.007 

  25. Ghafoori B, Tracz SM.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reducing classroom disruptive behaviors: A meta-analysis. Washington, DC: 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2001. Report No.: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57182. 

  26. Toplak ME, Connors L, Shuster J, Knezevic B, Parks S. Review of cognitive, cognitive-behavioral, and neural-based intervention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8;28(5):801-823. http://dx.doi.org/10.1016/j.cpr.2007.10.008 

  27. Fabiano GA, Pelham WE, Jr., Coles EK, Gnagy EM, Chronis-Tuscano A, O'Connor BC. A meta-analysis of behavioral treatments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9;29(2):129-140. http://dx.doi.org/10.1016/j.cpr.2008.11.001 

  28. Kim JU, Cheon SM, Hwang HJ. A comparison of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NLP group counseling on behavior and school life adjustment of ADHD childre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5;6(3):777-788. 

  29. Sohn JN. The effects of the peer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1):111-119. 

  30. Curtis DF, Pisecco S, Hamilton RJ, Moore DW. Teacher perceptions of classroom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DHD: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006;21(2):171-1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