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비약물적 중재가 미치는 효과 - 메타분석
The Effect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540 - 550  

권미화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 전공) ,  이재신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고,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국 내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였으며, 2000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출판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제시한 사전-사후실험연구 가운데 실험군과 대조군이 있는 무작위통제실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선정된 2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연구 전체의 효과크기는 -0.33으로 "보통"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세부적인 비약물적 중재 별 효과크기는 작업치료가 -0.26로 "보통"의 효과크기, 다감각자극이 -0.65로 "보통이상"의 효과크기로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증명되었다(p<.05).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행동심리증상으로는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주로 공격성, 기억력과 관련된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회상치료와 작업치료는 대체적으로 무감정, 다감각자극과 음악치료는 불안이나 초조행동에 주요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가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추후 임상에서 치매환자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 시, 각 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적합한 중재를 선택하여 접근하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a variety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have confirmed what the symptoms and effects, mainly interventions by acting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was conducted a meta-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online search engines using search words from domestic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무작위통제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각각의 비약물적 중재 별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행동심리증상은 무엇이었는지 확인하여 추후 임상에서 비약물적 중재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통제실험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으로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행동심리증상 중 각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에서의 중재접근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무작위통제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각각의 비약물적 중재 별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친 행동심리증상은 무엇이었는지 확인하여 추후 임상에서 비약물적 중재의 적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한 다감각자극과 작업치료 중재 등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각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한 행동심리증상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또, 국내외 최신의 연구를 반영하여 무작위통제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최근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없고 치매환자의 여가 및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44].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작위통제실험연구를 대상으로 한 메타분석으로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행동심리증상 중 각 중재 별로 주요하게 작용된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에서의 중재접근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학적 치료에 비약물적 중재를 이용할 경우 음악치료, 회상치료와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효과크기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그러나 음악치료, 회상치료와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효과크기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선정된 연구들에서 결과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가 다양해 수치화된 결과의 편차가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특히, 회상치료와 가정기반 프로그램에서는 효과크기 또한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행동심리증상을 주요 종속변인으로 확인하는 중재들이 아니라는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약물적 중재에는 어떤 치료법이 있는가? 비약물적 중재는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치매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심리·사회적 접근방법을 통칭하는 것으로, 작업치료, 음악치료, 미술치료, 회상치료 등을 단일 또는 통합적 방법으로 다양하게 적용한다[9]. 비약물적 중재는 치매환자에게 익숙한 환경에서의 과제수행을 통해 치매환자의 정서적 안정, 인지기능 유지, 행동심리증상 완화, 내적 동기 및 참여 증진 등에 효과적인 방법이다[10].
치매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치료 중 약물적 중재의 부작용은 무엇인가? 그러나 약물적 중재의 부작용 등으로 일반적으로 행동심리증상의 원인이 불분명 할 때에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제공 및 비약물적 중재를 먼저 시도한다[7]. 실제 임상에서 충동성과 수면장애, 환각 등 치매환자의 특정 행동심리증상은 약물적 중재로도 진행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각성수준저하와 심혈관계 질환 등 부작용의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최근에는 약물적 중재와 더불어 비약물적 중재의 접근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H. Brodaty and M. Donk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Vol. 11, No. 2, p.217, 2009. 

  2. 장서진, 사회자본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수준이 치매 예방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문화적 특성인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 조현, 고준기, "치매노인의 현황과 노인장기요양 보험법 상의 개선방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 5816-5825, 2012. 

  4. 조맹제, 김진영, 한국인 치매환자의 행동 및 심리 증상의 횡문화적 특성,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5. L. Teri, "Behavior and caregiver burden: behavioral problems in patients with Alzheimer disease and its association with caregiver distres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Vol. 11, No. 4, pp. S35-38, 1997. 

  6. 송준아, 박재원, 김효진,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이 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62-74, 2013. 

  7. 이동영, 김기웅, "치매에서 나타나는 초조 증상의 임상적 이해와 치료," 정신병리학, 제10권, 제2호, pp. 87-96, 2001. 

  8. L. S. Schneider, K. S. Dageman, and P. Insel, "Risk of death with atypical antipsychotic drug treatment for dementi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JAMA, Vol. 294, No. 15, pp. 1934-1943, 2005. 

  9. 황재영, 치매 케어 텍스트북, 노인연구정보센터, 2010. 

  10. 김덕주, 김미경,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치매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3권, 제1호, pp. 33-43, 2011. 

  11. 김춘미, 박명숙, 김선호, "국내 치매노인을 위한 비약물요법 중재연구 동향분석,"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129-141, 2012. 

  12. B. Henry, "Meta-Analysi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Neuropsychiatric Symptoms of Dementia,"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69, No. 9, pp. 946-953, 2012. 

  13. S. Y. Kim, E. Y. Yoo, M. Y. Jung, S. H. Park, and J. H. Park,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persons with dementia: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euroRehabilitation, Vol. 31, No. 2, pp. 107-115, 2012. 

  14. E. H. Kong, L. K. Evans, and J. P. Guevar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agitation in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ing & Mental Health, Vol. 13, No. 4, pp. 512-520, 2009. 

  15. A. R. Jadad, R. A. Moore, D. Carroll, C. Jenkinson, D. J. Reynolds, D. J. Gavaghan, and H. J. McQuay,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Vol. 17, No. 1, pp. 1-12, 1996. 

  16. R. Rosenthal and D. B. Rubin, "Comparing effect sizes of independent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 92, No. 2, pp. 500-504, 1982. 

  17. L. V. Hedges and I. Olkin,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18. H. R. Rothstein, "Publication bias as a threat to the validity of meta-analytic results," Journal of Experimental Criminology, Vol. 4, pp. 61-81, 2008. 

  19. J. Lau, J. Ioannidis, and C. H. Schmid, "Quantitative synthesis in systematic review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127, No. 9, pp. 820-826, 1997. 

  20.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Erlbaum, 1988. 

  21. R. Baker, S. Bell, E. Baker, S. Gibson, J. Holloway, R. Pearce, Z. Dowling, P. Thomas, J. Assey, and L. A. Ware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MSS) for people with dementia,"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40, pp. 81-96, 2001. 

  22. R. Baker, J. Holloway, C. C. Holtkamp, A. Larsson, L. C. Hartman, R. Pearce, B. Scherman, S. Johansson, P. W. Thomas, L. A. Wareing, and M. Owens, "Effects of multi-sensory stimulation for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3, No. 5, pp. 465-477, 2003. 

  23. J. Ferrero-Arias, M. Goni-Im?zcoz, J. Gonzalez-Bernal, F. Lara-Ortega, A. da Silva-Gonzalez, and M. Diez-Lopez, "The Efficacy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Dementia-related Apathy,"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Vol. 25, No. 3, pp. 213-219, 2011. 

  24. L. N. Gitlin, M. Corcoran, L. Winter, A. Boyce, and W. W. Hauck,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home environmental interventioneffect on efficacy and upset in caregivers and on daily function of persons with dementia," Gerontologist, Vol. 41, No. 1, pp. 4-14, 2001. 

  25. L. N. Gitlin, L. Winter, M. Corcoran, M. P. Dennis, S. Schinfeld, and W. W. Hauck,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al Skill-Building Program on the Caregiver-Care Recipient Dyad: 6-Month Outcomes From the Philadelphia REACH Initiative," Gerontologist, Vol. 43, No. 4, pp. 532-546, 2003. 

  26. L. N. Gitlin, L. Winter, J. Burke, N. Chernett, M. P. Dennis, and W. W. Hauck, "Tailored activities to manage neuropsychiatric behaviors in persons with dementia and reduce caregiver burden: a randomized pilot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16, No. 3, pp. 229-239, 2008. 

  27. L. N. Gitlin, L. Winter, M. P. Dennis, N. Hodgson, and W. W. Hauck, "A biobehavioral home-based intervention and the well-being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the COPE randomized trial,"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304, No. 9, pp. 983-991, 2010. 

  28. N. Gormley, D. Lyons, and R. Howard, "Behavioural management of aggression in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ge Ageing, Vol. 30, No. 2, pp. 141-145, 2001. 

  29. R. Hebert, L. Levesque, J. Vezina, J. P. Lavoie, F. Ducharme, C. Gendron, M. Preville, L. Voyer, and M. F. Dubois, "Efficacy of a psychoeducative group program for caregivers of demented persons living at h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Gerontology, Vol. 58, No. 1, pp. 58-67, 2003. 

  30. C. J. Hsieh, C. Chang, S. F. Su, Y. L. Hsiao, Y. W. Shih, W. H. Han, and C. C. Lin, "Reminiscence group therapy on depression and apathy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mild-to-moderate dementia,"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Medicine, Vol. 2, No. 2, pp. 72-78, 2010. 

  31. M. H. Hsu, R. Flowerdew, M. Parker, J. Fachner, and H. Odell-Miller, "Individual music therapy for managing neuropsychiatric symptoms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feasibility study," BioMed Central Geriatrics, pp. 1-19, 2015. 

  32. H. L. Huang, L. M. Kuo, Y. S. Chen, J. Liang, H. L. Huang, Y. C. Chiu, S. T. Chen, Y. Sun, W. C. Hsu, and Y. I. Shyu, "A home-based training program improves caregivers' skills and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1, No. 11, pp. 1060-1070, 2013. 

  33. 황기철, 감진아, "의도적인 다감각환경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49권, 제3호, pp. 109-130, 2010. 

  34. T. Ito, K. Meguro, K. Akanuma, H. Ishii, and E. Mori,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group reminiscence approach in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Dementia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 24, No. 1, pp. 48-54, 2007. 

  35. 권미화, 정다해, 김수경, "집단 회상치료가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6권, 제2호, pp. 11-18, 2012. 

  36. L. C. Lam, V. W. Lui, D. N. Luk, R. Chau, C. So, V. Poon, P. Tam, R. Ching, H. Lo, J. Chiu, A. Fung, and F. S. Ko, "Effectiveness of an individualized functional training program on affective disturbances and functional skills in mild and moderate dementia-a randomized control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5, No. 2, pp. 133-141, 2010. 

  37. Y. Lin, H. Chu, C. Y. Yang, C. H. Chen, S. G. Chen, H. J. Chang, C. J. Hsieh, and K. R. Chou,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intervention against agitated behavior i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6, No. 7, pp. 670-678, 2010. 

  38. T. Majic, H. Gutzmann, A. Heinz, U. E. Lang, and M. A. Rapp, "Animal-assisted therapy and agitation and depress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a matched case-control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1, No. 11, pp. 1052-1059, 2013. 

  39. W. Moyle, M. L. Cooke, E. Beattie, D. H. Shum, S. T. O'Dwyer, and S. Barrett, "Foot massage versus quiet presence on agitation and mood in people with dementia: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1, No. 6, pp. 856-864, 2014. 

  40. M. Sakamoto, H. Ando, and A. Tsutou, "Comparing the effects of different individualized music interventions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severe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25, No. 5, pp. 775-784, 2013. 

  41. L. Teri, S. M. McCurry, R. Logsdon, and L. E. Gibbons, "Training community consultants to help family members improve dementia ca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erontologist, Vol. 45, No. 6, pp. 802-811, 2005. 

  42. Y. Treusch, T. Majic, J. Page, H. Gutzmann, A. Heinz, and M. A. Rapp, "Apathy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results from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Psychiatry, Vol. 30, No. 2, pp. 251-257, 2015. 

  43. J. J. Wang, "Group reminiscence therapy for cognitive and affective function of demented elderly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 22, No. 12, pp. 1235-1240, 2007. 

  44. E. Grasel, J. Wiltfang, and J. Kornhuber, "Non-drug therapies for dementia: and over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gard to proof of effectivenes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Vol. 5, No. 3, pp. 115-125, 2003. 

  45. L. Gill, K. Lynsey, L. H. Elanor, B. Gianluca, M. Stephen, P. Nishma, Z. O. Rumana, K. Cornelius and C. Claudi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gitation in dementi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205, No. 6, pp. 436-442, 2014. 

  46. A. M. de Oliveira, M. Radanovic, P. C. de Mello, P. C. Buchain, A. D. Vizzotto, D. L. Celestino, F. Stella, C. V. Piersol, and O. V. Forlenz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to Reduc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 2015, pp. 1-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