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군 훈련병의 근골격계 증상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in Military Personnel during Basic Combat Train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23 - 533  

이정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광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physical, psycho-social, and individual factors influencing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Korean military trainees. Methods: Using a correlation study design, military trainees who had completed almost of all the basic combat training (BCT) days were recru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육군 훈련병의 근골격계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훈련병이 훈련 기간 중 7일 이상 지속적으로 신체의 10개 부위 중 하나라도 통증, 뻣뻣함, 쑤심, 화끈거림 등의 증상을 중간 강도 이상 경험한 비율은 전체 연구 참여자의 29.
  • 본 연구는 육군 훈련병이 경험하는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 본 연구가 간호학 실무와 연구 측면에서 가지는 의의를 논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훈련병의 근골격계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 연구로써 간호실무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첫째, 건강관리자나 훈련 관계자는 훈련병이나 고강도 신체훈련을 받게 되는 대상자의 근골격계 손상을 방지하고 신체적 부담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중재를 계획할 때 본 연구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련병이 경험하게 되는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기초군사훈련 중의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최소화하는 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선행 연구에서 훈련 중 체중부하 비중[18], 훈련량의 누적[7] 등이 기초군사훈련 중의 근골격계 손상과 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반복성, 과도한 힘, 부자연스러운 자세 등의 신체적 부담 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루지 못하여 기초군사훈련 중의 근골격계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련의 신체적 부담감과 근골격계 증상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훈련에 대한 신체적 부담감은 근골격계 증상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훈련병을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손상 예방 중재가 시급히 도입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근골격계 손상은 군인의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군인이 훈련이나 임무수행을 하는 데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그 후유증으로 인해 남은 군 복무 기간 중의 장애나 조기 전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건강문제이다[1,2]. 특히, 기초군사훈련 기간중 근골격계 손상을 입은 군인들은 훈련을 마친 후 임무수행 부대에 배치되고 나서도 손상의 재발을 경험하거나, 복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의병 전역을 하게 될 위험성도 높다[1,3]. 훈련병은 군대에 입문하는 시기에 갑작스럽게 고강도의 신체활동에 노출되므로 근골격계 손상의 고위험군 중 하나이다. 국외의 경우 훈련병 중 상당 수(12~46%)는 6~16주 동안 달리기, 행군과 같은 체중부하 훈련을 많이 수행하고, 무거운 장비를 자주 다루게 되면서 요통, 염좌, 건염, 스트레스 골절과 같은 하지 부위 질환을 주로 경험한다[4-7].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에서도 해병대 훈련병의 13%가 기초군사훈련 6주간 주로 하지 부위에서 1가지 이상의 근골격계 손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2]. 또한 대규모 상해 보상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훈련병의 손상률이 훈련을 마친 일반 군인의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8]. 따라서, 훈련병을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손상 예방 중재가 시급히 도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신체적 부담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유발하는가? 특히, 작업 환경 내의 물리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는 작업자의 근골격계 증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요인이며[11,13,14] 개인의 신체적 특성과 달리, 조직 수준의 중재를 통하여 교정 가능한 요인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13,14]. 작업 환경 내의 물리적 스트레스로서 신체적 부담(physical demands)은 과도한 힘, 부자연스러운 자세, 반복되는 동작 등이 포함된 작업의 특성으로서 다양한 신체 부위에 각기 다른 강도, 빈도의 근골격계 증상을 유발한다[11,12,15]. 작업장 내의 심리적 스트레스는 그 자체로서 근골격계 증상의 인지와 호소를 유발하거나 물리적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근골격계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작업장 내의 사회적 지지는 근골격계 증상 발생 경로에서 증상 발생을 억제하는 보호요인으로서 고려된다[13,16].
근골격계 손상이 군인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근골격계 손상은 군인의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군인이 훈련이나 임무수행을 하는 데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그 후유증으로 인해 남은 군 복무 기간 중의 장애나 조기 전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건강문제이다[1,2]. 특히, 기초군사훈련 기간중 근골격계 손상을 입은 군인들은 훈련을 마친 후 임무수행 부대에 배치되고 나서도 손상의 재발을 경험하거나, 복무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의병 전역을 하게 될 위험성도 높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wedler DI, Knapik JJ, Williams KW, Grier TL, Jones BH. Risk factors for medical discharge from United States army basic combat training. Military Medicine. 2011;176(10):1104-1110. http://dx.doi.org/10.7205/MILMED-D-10-00451 

  2. Choi SW, Park JS, Jung SO.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among the marine corps enlisted train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0;22(2):146-153. 

  3. Taanila H, Suni J, Pihlajamaki H, Mattila VM, Ohrankammen O, Vuorinen P, et al.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physically active conscripts: A one-year follow-up study in the Finnish defence forces.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9;10:89. http://dx.doi.org/10.1186/1471-2474-10-89 

  4. Finestone A, Milgrom C, Evans R, Yanovich R, Constantini N, Moran DS. Overuse injuries in female infantry recruits during lowintensity basic trai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8;40(11 Suppl):S630-S635.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1892ff9 

  5. Havenetidis K, Paxinos T.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injuries among Greek army officer cadets undergoing basic combat training. Military Medicine. 2011;176(10):1111-1116. http://dx.doi.org/10.7205/MILMED-D-10-00448 

  6. Jones BH, Cowan DN, Tomlinson JP, Robinson JR, Polly DW, Frykman PN. Epidemiology of injuries associated with physical training among young men in the arm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993;25(2):197-203. 

  7. Havenetidis K, Kardaris D, Paxinos T. Profile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among Greek army officer cadets during basic combat training. Military Medicine. 2011;176(3):297-303. http://dx.doi.org/10.7205/MILMED-D-10-00196 

  8. Davidson PL, Chalmers DJ, Wilson BD, McBride D. Lower limb injuries in New Zealand defence force personnel: Descriptive epidemiolog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008 ;32(2):167-173. http://dx.doi.org/10.1111/j.1753-6405.2008.00195.x 

  9. Brushoj C, Larsen K, Albrecht-Beste E, Nielsen MB, Loye F, Holmich P. Prevention of overuse injuries by a concurrent exercise program in subjects exposed to an increase in training loa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1020 army recruit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8;36(4):663-670. http://dx.doi.org/10.1177/0363546508315469 

  10. Knapik JJ, Trone DW, Swedler DI, Villasenor A, Bullock SH, Schmied E, et al. Injury reduction effectiveness of assigning running shoes based on plantar shape in Marine Corps basic training.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0;38(9):1759-1767. http://dx.doi.org/10.1177/0363546510369548 

  11. Huang GD, Feuerstein M, Kop WJ, Schor K, Arroyo F. Individual and combined impacts of biomechanical and work organization factors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3;43(5):495-506. http://dx.doi.org/10.1002/ajim.10212 

  1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Internet]. Cincinnati, OH: Author; 1997[cited 2016 June 11].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iosh/docs/97-141/pdfs/97-141.pdf. 

  13. Bongers PM, Kremer AM, ter Laak J. Are psychosocial factors, risk factors for symptoms and signs of the shoulder, elbow, or hand/wrist?: A review of the epidemiological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2;41(5):315-342. http://dx.doi.org/10.1002/ajim.10050 

  14. Lee KH, Yoon JH, Kim SK, Cho IJ, Oh SS, Kim SH, et al.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mongst male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12;24(1):72-85. 

  15. Lee H, Wilbur J, Conrad KM, Miller AM.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female flight attendants: Using a focus group to prepare a survey. AAOHN Journal. 2006;54(4):154-164. http://dx.doi.org/10.1177/216507990605400405 

  16. Parkes KR. Social support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is. Norwich, UK: Crown copyright,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08. Report No.: Research Report RR594. 

  17. Lincoln AE, Smith GS, Amoroso PJ, Bell NS. The effect of cigarette smoking on musculoskeletal-related disability.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03;43(4):337-349. http://dx.doi.org/10.1002/ajim.10195 

  18. Knapik JJ, Hauret KG, Canada S, Marin R, Jones B. Association between ambulatory physical activity and injuries during United States army basic combat training.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2011;8(4):496-502. 

  19. Morken T, Mageroy N, Moen BE. Physic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a low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the Royal Norwegian navy: A cross sectional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7;8:56. http://dx.doi.org/10.1186/1471-2474-8-56 

  20. Sharma J, Golby J, Greeves J, Spears IR. Biomechanical and life-style risk factors for medial tibia stress syndrome in army recruits: A prospective study. Gait and Posture. 2011;33(3):361-365. http://dx.doi.org/10.1016/j.gaitpost.2010.12.002 

  21. Kim DS, Moon MK, Kim KS. A surve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 risk factors for the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activiti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0;29 (2):211-216. http://dx.doi.org/10.5143/JESK.2010.29.2.211 

  22. Dawson AP, Steele EJ, Hodges PW, Stewart S. Developm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an extended version of the Nordic Musculoskeletal Questionnaire (NMQ-E): A screening instrument for musculoskeletal pain. The Journal of Pain, 2009;10(5):517-526. http://dx.doi.org/10.1016/j.jpain.2008.11.008. 

  23. Kim DY, Lee JA. Gender comparison of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RPE) as a predictor of exercise intensit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ife Science. 2011;21(1):9-14. http://dx.doi.org/10.5352/JLS.2011.21.1.9 

  24. Matteson MT, Ivancevich JM. Organizational stressors and heart disease: A research model.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79;4(3):347-357. http://dx.doi.org/10.5465/AMR.1979.4289092 

  25. Kang S, Ko J, Kim YJ. Development of the stress diagnostic scale on samples of Korean military personne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2):345-367. 

  26. Park HC.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improvement of soldier: Focusing on the stressor, social support[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27. House C, Reece A, Roiz de Sa D. Shock-absorbing insoles reduce the incidence of lower limb overuse injuries sustained during royal marine training. Military Medicine. 2013;178(6):683-689. http://dx.doi.org/10.7205/milmed-d-12-00361 

  28. Konitzer LN, Fargo MV, Brininger TL, Lim Reed M. Association between back, neck,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pain and the individual body armor. Journal of Hand Therapy. 2008;21(2) :143-148. http://dx.doi.org/10.1197/j.jht.2007.10.017 

  29. Feuerstein M, Nicholas RA, Huang GD, Dimberg L, Ali D, Rogers H. Job stress management and ergonomic intervention for work-related upper extremity symptoms. Applied Ergonomics. 2004;35(6):565-574. http://dx.doi.org/10.1016/j.apergo.2004.05.003 

  30. Kamper SJ, Apeldoorn AT, Chiarotto A, Smeets RJ, Ostelo RW, Guzman J, et al. Multidisciplinary bio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chronic low back pain: Cochran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15;350:h444. http://dx.doi.org/10.1136/bmj.h4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