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119 Rescue party'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461 - 6468  

신상열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정지연 (호원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전 응급의료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2012년 7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전북지역의 119 구급대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 조사결과 대상자의 57.9%가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한 자각증상을 호소하였으며 신체부위별로는 허리와 엉덩이 부분에 통증이 있다는 응답이 47.2%로 가장 많았다. 또한 이러한 통증의 원인이 구급업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에서 성별(t=16.579, p=.000), 연령(t=102.344, p=.000), 학력(t=5.363, p=.027), 음주(t=6.999, p=.030), 흡연(t=6.266, p=.009)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적 특성에서는 경력(t=67.684, p=.000), 구급차량 탑승인원(t=7.717, p=.004), 자격 및 면허(t=25.480, p=.000), 직급(t=74.615, 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investigate musculoskeletal diseases' that can be developed in paramedics body whose are in charge of emergency situations before they arrive at the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of paramedics from July 2, 2012 to July 31, 2012. As a result, 57.9% of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 전 응급의료 현장을 담당하고 있는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구급대원들의 근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119구급대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19 구급대가 신체적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는? 이러한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119 구급대는 업무의 특성상 육체적 힘을 많이 요구할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에서 출동신호에 따라 급격하게 육체적 동작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신체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 신체리듬의 정상적인 흐름을 저해하게 되어 각종사고 및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2]. 또한, 소방공무원의 직무 수행 시 노동 강도는 신체적 에너지 소모 및 작업강도가 유사한 타 직종의 근로자보다 작업수행의 예측성이 낮고, 작업환경이 다양한 장해요인으로 인한 급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이 높다[3].
응급의료서비스 수요 증가의 배경은? 최근 국내의 각종 재난사고 등으로 응급의료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국민의 병원 전 응급의료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간의 구급활동 실적과 증가추세를 보면, 2002년 구급활동 중 이송건수 944,775건에서 2012년에는 1,405,263건으로 10년 전 대비 460,488건으로 약 47.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질환은 어떤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가?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경우, 통증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 심리적 어려움, 질병과정의 불확실성 등으로 여러 가지 인간의 기본활동 감소와 수행포기에 이르게 되어 건강 관련 삶의 질은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작업환경이나 노동 강도가 높은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삶의 질이 감소되는 보건문제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또한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는 작업 수행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Fire Servic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Statistical data, 2012. 

  2. S. H. Le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recogni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ire fighter's" GyeongBuk Fire Service Academi, 11, pp. 147-176, 2007. 

  3. Kern J, Mustajbegovic J, Schachter EN, Zuskin E, Vrcic-Keglevic M, EblingZ, Senta A."Respiratory findings in farmworkers", J Occup Environ Med, 43(10), pp. 905-913,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43764-200110000-00010 

  4.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re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 Ergonomics, 1996. 

  5. D. G. Kim, I. H. Ha, C. H. Lee,"Work-related diseases and health management of fire fighters," Korean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113, pp.27-34, 1997. 

  6. Waal JM, Terwee CB, Windt DAWM, Bouter LM and Dekker J."The impact of non-traumatic hip and knee disorde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measured with the SF-36 or SF-12. a systematic review", Qual Life Res, 14(4), pp. 1141-1155, 2005. DOI: http://dx.doi.org/10.1007/s11136-004-4599-9 

  7. J. W. Bahk , No, S. C. Roh,"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2), pp. 156-163, 2007. 

  8. NIOSH. Stress at work DHHS(NIOSH) Publication, 1999. 

  9. S. Y. Shin,"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12) pp. 3870-3878,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12.3870 

  10. D. K. Kim, "Work-related disease and health management of firefighters". Occupational health, Vol 113. pp. 27-34, 1997. 

  1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a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imity, and Low Back. DHHS Publication, pp. 97-141, 1997. 

  12. Brown JR.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ow back pain in industrial workers", Am Ind Hyg Assoc, 36(1), pp. 26-31, 1975. DOI: http://dx.doi.org/10.1080/0002889758507203 

  13. Peter O, James M, Richard M, "Firefighters' Safety and Health". Occopational Medicine, 10(4), pp. 735-746. 

  14. S.G Hong, "Effect on Occurrence of Low-Back Pain by Duty Type of Fire Fighting Civil Servant on Outside Duty", Unpublished master's thsis, Gacheon University, 2007 

  15. Levy and Wegman. Occupational Health.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16. Derek P. Smith, Mihashi M, Adachi Y, Koga H, Ishitake T. "A detailed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factors among Japanese nurse". Journal of safety reserch, 37(2), pp. 195-200, 2006 

  17. Smiyh MJ, "Psychosocial aspects of working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VDTs) and employee physical and mental health", Ergonomics. 40(10), pp. 1002-15, 1997. DOI: http://dx.doi.org/10.1080/001401397187568 

  18. Mc Gill HC Jr, "The Cardiovascular Pathology of Smoking", AM Heart J, 115 pp. 250-257, 1988. DOI: http://dx.doi.org/10.1016/0002-8703(88)90645-X 

  19. Wergeland EL, Veiersted B, Ingre B, Akerstedt T, Bjornskau T and Varg N,"A Shorter workday as a means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9(1), pp. 27-34, 2003. DOI: http://dx.doi.org/10.5271/sjweh.701 

  20. S. K. Lee, "Correlation between job and life style related factor and musuloskeletal disorders in fire fighters" master's thesis, Uni. of Gachon.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