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Lactobacillus bulgaricus SP5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by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against Pathogenic Bacteri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3, 2016년, pp.497 - 510  

김완섭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  양아름 (한경대학교 동물생명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분비물의 항균물질 탐색과 특성을 조사하고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제효과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L. bulgaricus로부터 얻어진 상징액에 대한 항균활성은 시험에 이용된 모든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11234, Salmonella. enteritidis 3313, S. enteritidis 12021, 그리고 S. typhimurium 40253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징액 중의 황균활성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pH 조정과 열처리 후,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징액의 열처리 후,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비열처리와 같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상징액의 pH를 4.6에서 중성이상으로의 변화는 항균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상징액의 항균활성은 pH 변화에 대해서 불안정하였으나, 열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상징액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은 박테리오신 같은 peptide 보다는 lactic, acetic, phosphoric, succinic, pyroglutamic, citric, malic, 그리고 formic acid 등 다양한 유기산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basic resources for the industrial us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upernatant obtained from Lactobacillus bulgaricus SP5 was tested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KCCM 11234, Salmonella enteritidis K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유산균주의 하나인 Lactobacillus bulgaricus SP5는 이전 연구에서 통증완화, 혈압강하, 이뇨작용, 신경안정효과,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 GABA (Gamma-Amino Butyric acid)를 쌀 함유 산양발효유에서 가장 많이 생산한다고 보고하였다(Woo and Kim,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ulgaricus SP5의 GABA 생산력 이외에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균물질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얻어진 항균물질의 pH 및 열 안정성에 대한 특성도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ulgaricus SP5의 GABA 생산력 이외에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균물질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얻어진 항균물질의 pH 및 열 안정성에 대한 특성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o-preservation은 어떤 방법을 지칭하는가? , 2006). 이 방법은 식품의 가열 또는 가압 등의 물리적 처리방법과 첨가물첨가 등의 화학적 처리방법 대용의 생물학적 방법을 말한다. 가축과 사람에 있어서 많은 미생물이 기생 또는 공존하고 있고, 특히 유산균은 구강, 소화관, 질 등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Probiotics란? 최근, 장내에서 이러한 유용물질을 생산하여 정장작용과 면역작용을 나타 내는 유산균을 probiotics로 불리우고 있다. Probiotics는 유산균과 같이 살아있는 균뿐만 아 니라 사멸된 유산균의 세포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또한 장내의 유해물질을 흡착하여 체외 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Yoshitaka et al., 2006).
유산균이 필요로 하는 것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소화기관, 각종 발효식품과 음료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부패미생물의 억제, 풍미와 향의 개발에 이용되어 왔다(Pfeiler and klaenhammer, 2007). 유산균은 당류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유산균은 인류생활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향미증진을 위한 대사산물, 인체에 건강증진을 위한 유용물질의 생산, 식품 보존성의 향상을 위한 유산균 발효, 의약품 및 가축의 사료 첨가제 등에 이르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erson, M. E. and R. T. Marshall. 1990.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s on beef tissues: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an acid mixture. J. Food Sci. 55: 903-905. 

  2. Bhunia, A. K., M. C. Johnson, and B. Ray. 1987. Direct detection and antimicrobial of Pediococcus acidilatici in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J. Ind. Microbiol. Biotechnol. 2: 319-322. 

  3. Daba, H. S., J. F. Pandian, R. E. Gossenelin, J. H. Simard, and C. Lacroix. 1991. Detection and activity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l. Environ. Microbiol. 57: 3450-3455. 

  4. Deegan, L. H., P. D. Cotter, C. Hill, and P. Ross. 2006. Bactriocins: Biological tools for bio-preservation and shelf-life extension. Int. Dairy J. 16: 1058-1071. 

  5. Drider, D., G. Fimland, Y. Hechard, L. M. McMullen, and H. Prevost. 2006. The continuing story of class IIa bacteriocins. Microbiol. Mol. Biol. Rev. 70: 564-582. 

  6. Fukushima Y., H. Kawta, A. Hara, and T. Mitsuoka. 1998. Effect of a probiotic in healthy children. Int. J. Food Microbiol. 42: 39-44. 

  7. Gill, C. O. and K. G. Newton. 1982. Effect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on growth on meat of gram-negative psychrotrophs from a meatworks. App. Environ. Microbiol. 43: 284-288. 

  8. Homma, N. 1998. Bifidobacteria as a resistance factor in human beings. Bifidobact. Microfl. 7: 35-43. 

  9. Jang, J. S., Y. D. Lee, and J. H. Park. 2003.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er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69-1173. 

  10. Jung, H. M. and H. H. Lee. 1991. Effects of organic acids on the storability of chilled beef.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79-387 

  11. Kim, S. Y., J. D. Kim, J.S. Son, S.K. Lee, K. J. Park, and M. S. Park., 2011. Biochem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46-452. 

  12. Laemmli, U.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London), 227: 680-686. 

  13. Lee, J. L., C. S. Huh, and Y. J. Baek. 1999. Utilization of fermented milk and it's health promotion. Korean Dairy Techno. 17: 58-71. 

  14. Nakae, T. 1986. Util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animal industry: recent outlook, Jpn. J. Zootech. Sci. 57: 279-287. 

  15. Peres, C. M., C. Peres, Hernandez-Mendoza, A., and F. X. Malcata. 2012. Review on fermented plant materials as carriers and sources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with an emphasis on table olives. Trends in Food Sci. Technol. 26: 31-42. 

  16. Pfeiler, E. A. and T. R. Klaenhammer. 2007. The genomics of lactic acid bacteria. Trends in Microbiology, 15: 546-553. 

  17. Ray, B. 1986. Impact of bacterial injury and repair in food microbiology: Its past, present and future. J. Food Prot. 49: 651-670 

  18. Ray, B. 1992. Nisin of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s a food biopreservative. In: Food biopreservatives of microbial origin. Ray, B. and Daeschel, M.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207. 

  19. SAS. SAS User's Guide. 2001.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0. Yoshitaka, H., M. Shinji, Y. Yoshihiro, Y. Yasunobu, and T. Tomomi. 2006. Daily intake of heat-killed Lactobacillus plantarum L-137 augments acquired immunity in healthy adults. J. Nutr. 136: 3069-3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