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미를 활용하여 제조한 연제품의 겔 및 texture 특성
Gel and Texture Properties of Fish-meat Gel Prepared with Pagrus major in Comparison to Different Grades of Alaska Pollock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8 = no.196, 2016년, pp.955 - 962  

고아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정환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파티카라데니즈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슬기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형광 ((주)늘푸른바다) ,  김세종 ((주)늘푸른바다) ,  정준모 ((주)늘푸른바다) ,  천지현 ((주)늘푸른바다) ,  공창숙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연제품용 어육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과 고품질 연제품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되고 있는 도미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을 측정하여 도미의 연제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연제품 제조에 이용되는 어육원료는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저가의 연육이 일부 생산되고 있다. 수입 연육의 경우 대부분 동남아 및 북아메리카로부터 수입한 냉동 연육이 사용되고 있다. 연육의 품질과 등급은 수분함량, 백색도, 겔 특성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식어종인 도미(Pagrus major)를 원료로 하여 전통 수세법으로 연육을 제조하였으며, 도미 유래 연육을 이용하여 어육겔 형성능 및 품질 특성을 겔 강도, 텍스쳐 실험, 백색도, 수분유출정도 및 SDS-page pattern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이들 결과는 FA급과 RA급의 시판용냉동명태연육을 이용하여 제조한 어육 겔 특성과 비교하였다. 겔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연육에 2% NaCl를 첨가하여 전체 수분함량이 80%가 되도록 하여 90℃에서 20분간 가열한 소시지 형태의 어육 겔을 제조하였다. 도미 유래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은 stress-strain curve로부터의 겔강도, cutting strength, breaking force 등의 결과 및 텍스쳐 실험을 통한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brittleness 등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도미 유래 연육의 어육 겔 특성은 시판용 명태연육(FA급과 RA급)의 어육 겔 특성과 비교하였다. 도미연육의 사용은 RA급의 명태연육에 비해 높은 겔 형성능을 나타내었으며, FA급의 명태연육과는 비슷한 정도의 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미를 이용한 고품질 연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meat gel is an intermediate product used in a variety of surimi-based seafood. One of the most-used raw materials of fish-meat gel is Alaska Pollock due to its high-quality meat in terms of gel strength and texture. However, increasing demand for fish-meat gel, along with overexploitation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t is also being farmed heavily and supplied to local markets in high amounts. Accordingly, a comparison of fish meat-gel from P. major with that of different grades of Alaska Pollock in terms of gel and texture qualities i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on the way to find a reliable source for high quality fish-meat gel produc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njakul, S., Visessanguan, W. and Kwalumtharn, Y. 2004. The effect of whitening agents on the gel-forming ability and whiteness of surimi. Int. J. Food Sci. Technol. 39, 773-781. 

  2. Benjakul, S., Visessanguan, W. and Srivilai, C. 2001. Gel properties of bigeye snapper (Priacanthus tayenus) surimi as affected by setting and porcine plasma proteins. J. Food Qual. 24, 453-471. 

  3. Benjakul, S., Visessanguan, W., Tueksuban, J. and Tanaka, M. 2004. Effect of some protein additives on proteolysis and gel-forming ability of lizardfish (Saurida tumbil). Food Hydrocoll. 18, 395-401. 

  4. Bostock, J., Mcandrew, B., Richards, R., Jauncey, K., Telfer, T., Lorenzen, K., Little, D., Ross, L., Handisyde, N., Gatward, I. and Corner, R. 2010. Aquaculture: Global status and trends. Philosophical Trans. R. Soc. B 365, 2897-2912. 

  5. Chang-Lee, M. V., Lampila, L. and Crawford, D. L. 1990. Yield and composition of surimi from Pacific whiting (Merluccius productus) and the effect of various protein additives on gel strength. J. Food Sci. 55, 83-86. 

  6. Cheng, C. S., Hamann, D. D. and Webb, N. B. 1979. Effect of thermal processing on minced fish gel texture. J. Food Sci. 44, 1080-1086. 

  7. Crapo, C. and Himelbloom, B. 1994. Quality of mince from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rames. J. Aquat. Food Prod. Technol. 3, 7-17. 

  8. Galal-Khallaf, A., Ardura, A., Borrell, Y. J. and Garcia-Vazquez, E. 2016. Towards more sustainable surimi? PCR-cloning approach for DNA barcoding reveals the use of species of low trophic level and aquaculture in Asian surimi. Food Control 61, 62-69. 

  9. Huff-Lonergan, E. and Lonergan, S. M. 2005. Mechanisms of water holding capacity of meat: The role of post-mortem biochemical and structural changes. Meat Sci. 71, 194-204. 

  10. Jiang, S., Hsieh, J. and Ho, M. 2000. Combination effects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reducing agent, and protease inhibitor on the quality of hairtail surimi. J. Food Sci. 65, 241-245. 

  11. Kamath, G. G., Lanier, T. C., Foegeding, E. A. and Hamann, D. D. 1992. Non-disulfide covalent cross-linking of myosin heavy chain in “setting” of Alaska Pollock and Atlantic croaker surimi. J. Food Biochem. 16, 151-172. 

  12. Loret, J. 1998. Fish as a foodstuff-a catch 22, pp. 17-29. In: Tanacredi, J. T. and Loret, J. (eds.), Ocean Pulse: A Critical Diagnosis. Springer Publishing: New York, USA. 

  13. Okamoto, M., Kawamura, Y. and Hayashi, R. 1990.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to food processing : Textural comparison of pressure- and heat- induced gels of food proteins. Agric. Biol. Chem. 54, 183-189. 

  14. Panuncio, A. 2001. Study report for the course on handling and processing of marine product: Surimi and surimi products. Bull. Fish. Res. Inst. 22, 2-11. 

  15. Park, J. W. 2005. Surimi seafood: Products, market, and manufacturing, pp. 375-433. In: Park, J. W. (ed.), Surimi and Surimi Seafood, 2n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16. Peters, G., Morrissey, M. T., Sylvia, G. and Bolte, J. 1996. Linear regression, neural network and induction analysis to determine harvesting and processing effects on surimi quality. J. Food Sci. 61, 876-880. 

  17. Sasaki, S., Ogawa, Y., Ichinoseki, S., Tanabe, M., Nakade, K. and Miyaguchi, Y. 2015. Evaluation of the effect of 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on heat-induced myofibril gels by investigating actin-myosin interaction. Food Sci. Technol. Res. 21, 87-93. 

  18. Scott, D., Porter, R., Kudo, G., Miller, R. and Koury, B. 1988. Effect of freezing and frozen storage of Alaska Pollock on the chemical and gel-forming properties of surimi. J. Food Sci. 53, 353-358. 

  19. Stone, A. P. and Stanley, D. W. 1992. Mechanisms of fish muscle gelation. Food Res. Int. 25, 381-388. 

  20. Tina, N., Nurul, H. and Ruzita, A. 2010. Surimi-like material: Challenges and prospects. Int. Food Res. J. 17, 509-517. 

  21. Torres, M. O. and Felthoven, R. G. 2014. Productivity growth and product choice in catch share fisheries: The case of Alaska Pollock. Mar. Policy 50, 280-289. 

  22. Zhou, P., Mulvaney, S. J. and Regenstein, J. M. 2006. Properties of Alaska Pollock skin gelatin: A comparison with tilapia and pork skin gelatins. J. Food Sci. 71, 313-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