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흥해배씨 종가 금역당(琴易堂)의 건축과 조선후기의 구조 변화 -건축이념 및 실용성과 관련하여-
Construction of Geum'yeok-dang, the Heung'hae Bae Clan House, and its Structural Chang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On the Architectural Ideology and Issue of Practicali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4, 2016년, pp.31 - 44  

이종서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um'yeok-dang house in Andong was originally constructed in 1558. The original floor plan of the upper base featured a 90-degree tilted '日' shape, and had inner court(內庭) on each side of 'Jungdang(中堂, center hall)' building that was placed on the south-north axis. When designing the building, the 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가에 전해지는 금역당구가도의 획선으로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구가도는 1812년 간기가 있는 「상례비요(喪禮備要)」의 건(乾) 권 후면의 빈 종이에 그려져 있다. 가도의 획선을 보면 건축을 위한 설계도면이 아니라 기존의 가도를 옮긴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금역당에는 현 종손의 9대조 배집(1710∼1755)이 종가를 대폭 개축했다는 구전이 있다.
현존하는 조선전기 주택의 보편적 형태는 어떠한가? 그러나 조선전기 양반층 주택의 구조는 이와 전혀 달랐다. 현존하는 조선전기 주택들을 보면 남녀의공간 구분이 엄격하지 않은 ‘口’자형 평면이 보편적이었다. 이에 금역당의 건축주는 『가례』에서 확인되는 ‘청사·외청’, ‘정침·중당’을 그가 이해한 구조대로 건축하였다.
금역당 구가를 개축를 개축하게 된 핵심 이유는 무엇인가? 금역당 구가를 개축하게 된 핵심적 이유는 온돌 난방의 보편화였다. 금역당 구가를 건축할 1558년에는 상류주택에 온돌이 보편화되지 않았으므로 온돌을 고려하지않고 평면과 입면을 설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홍승재, 조선시대 예서에 나타난 건축적 도면의 해석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권, 2호, 1992 

  2. 김종헌.주남철,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 

  3. 이정미.이재헌, 영남지역 전통상류주거건축의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영남학파의 예학사상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9권, 1호, 2003 

  4. 이종서, 조선전기의 주거용 층루 건축 전통, 역사민속학, 22호, 2006 

  5.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방한설비와 취사도구, 역사민속학, 24호, 2007 

  6. 이종서, 조선전기 '향단형(香壇型)' 주택의 건축과 공간구획의 특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32권, 7호, 2016 

  7. 주자가례; 임민혁 옮김, 주자가례: 유교공동체를 향한 주희의 설계, 예문서원, 1999 

  8. 沙溪集, 臨淵齋集, 退溪集, 荷塘集;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 종합DB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