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성별에 따른 치료추구지연과 관련 경험의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Delay Seeking Treatment and Related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8 no.4, 2016년, pp.459 - 469  

원미숙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  신나미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김은숙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comparative descriptive study was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in delay seeking treatment and related experiences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Methods: Ninety-seve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Results: Mean age of 47 women was $7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른 AMI 환자의 치료추구지연의 차이를 조사하고, 증상경험과 증상반응요인 및 퇴원 한 달 후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여 AMI 증상 발생 시 특히 여성들이 초기 대처를 개선할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AMI 환자가 증상 발현 후 처음 병원을 찾기까지 걸린 시간과 증상경험과 증상반응요인 및 퇴원 한 달 후의 예후에 대한 성별 간 차이를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AMI를 진단받고 입원 중인 환자들의 성별에 따른 치료추구지연의 차이와 증상경험과 증상반응요인 및 퇴원 한 달 후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증상반응요인은 심근경색증 환자의 치료추구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로 조사하였다. 이 도구는 사회적, 행동적, 인지적, 정서적 요인의 총 4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심근경색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심혈관질환 가운데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미국에서는 사망 원인 1위인 질환으로, 국내에서도 AMI의 유병율과 사망률은 증가하는 추세이다[1]. 급성심근경색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폐쇄된 관상동맥의 재관류를 빠른 시간 내에 회복시키는 것이다[2].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의 재관류 요법은 괴사가 진행 중인 심장 근육을 구하고 심실의 혈역학적 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심근경색 후 장단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3].
국내에서는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를 어떻게 관리하고있는가? 한국도 AMI 환자의 신속한 치료와 사망률 감소를 위해 전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AMI 적정성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데, 2013년에는 AMI 환자의 병원 도착 후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까지 걸린 시간이 평균 61분으로[6] 미국심장협회에서 권고한 90분[5]보다 빨랐다. 이러한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흉통 발생부터 병원 도착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종종 골든타임인 120분을 넘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6]. 이와 같이 AMI 환자가 증상 발현 후 병원 도착까지 걸린 시간의 지연으로 시기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는 사실은 국내외 연구[7,8]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재관류 요법은 어떤 효과가 있는가? 급성심근경색증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폐쇄된 관상동맥의 재관류를 빠른 시간 내에 회복시키는 것이다[2].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의 재관류 요법은 괴사가 진행 중인 심장 근육을 구하고 심실의 혈역학적 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심근경색 후 장단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3]. 재관류 요법은 증상 발현 후 2시간 이내에 시행되었을 때 생존율을 극적으로 증가시키므로, 급성심근경색증의 골든타임(golden time)으로 불리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tistics Korea.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Sept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0181&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2. Le May MR, Davies RF, Dionne R, Maloney J, Trickett J, So D, et al. Comparison of early mortality of paramedic-diagnosed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with immediate transport to a designated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center to that of similar patients transported to the nearest hos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6;98(10):1329-33. http://dx.doi.org/10.1016/j.amjcard.2006.06.019 

  3. Steg PG, Bonnefoy E, Chabaud S, Lapostolle F, Dubien PY, Cristofini P, et al. Impact of time to treatment on mortality after prehospital fibrinolysis or primary angioplasty: data from the CAPTIM randomized clinical trial. Circulation. 2003;108(23):2851-6. http://dx.doi.org/10.1161/01.CIR.0000103122.10021.F2 

  4. Cannon CP, Gibson CM, Lambrew CT, Shoultz DA, LevyD, French WJ, et al. Relationship of symptom-onset-to-balloon time and door-to-balloon time with mortality in patients undergoing angioplasty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AMA. 2000;283(22):2941-7. 

  5. Levine GN, Bates ER, Blankenship JC, Bailey SR, Bittl JA, Cercek B, et al. 2011 ACCF/AHA/SCAI guideline fo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and the Society for Cardiovascular Angiography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1;58(24):e44-122. http://dx.doi.org/10.1016/j.jacc.2011.08.007 

  6.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Evaluation resul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ternet]. Seoul: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3. [cited 2014 February 3].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e/diag/asmWrptPopup.do?evlCd01&pgmidHIRAA030004000000 

  7. Hwang, SY.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seeking behavior in younger and older patients with firsttime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888-98.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88 

  8. Goldberg RJ, Steg PG, Sadiq I, Granger CB, Jackson EA, Budaj A, et al. Extent of,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lay to hospital presentation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disease (the GRACE registry).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2;89(7):791-6. 

  9. Nguyen HL, Saczynski JS, Gore JM, Goldberg RJ. Age and sex differences in duration of prehospital dela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systematic review. Circulation Cardiovascular Quality and Outcomes. 2010;3(1):82-92. http://dx.doi.org/10.1161/CIRCOUTCOMES.109.884361 

  10. Moser DK, McKinley S, Dracup K, Chung ML. Gender differences in reasons patients delay in seeking treatment fo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ymptom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5;56(1):45-54. http://dx.doi.org/10.1016/j.pec.2003.11.011 

  11. LeMone, P, Burke, K, Bauldoff, G, Gubrud, P. Nursing care of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Medical-Surgical Nursing: Clinical reasoning in patient care. 6th ed. New Jersey: Pearson; 2015. p. 887. 

  12. Kosuge M, Kimura K, Ishikawa T, Ebina T, Hibi K, Tsukahara K, et 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clinical features of ST-segment eleva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Journal. 2006;70(3):222-6. http://dx.doi.org/10.1253/circj.70.222 

  13. McNamara RL, Wang Y, Herrin J, Curtis JP, Bradley EH, Magid DJ, et al. Effect of door-to-balloon tim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06;47(11):2180-6. http://dx.doi.org/10.1016/j.jacc.2005.12.072 

  14. Dracup K, Moser DK, Eisenberg M, Meischke H, Alonzo AA, Braslow A. Causes of delay in seeking treatment for heart attack symptoms. Social Science & Medicine. 1995;40(3):379-92. 

  15. Dracup K, Moser DK. Beyond sociodemographics: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seek treatment for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 Lung: The Journal of Critical Care. 1997;26(4):253-62. 

  16. Gook HI, Joung MH, Im SR, Park HY. Current trend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Korea (From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between 2006-2013). 2014;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31&cid60873&ctype6 

  17. Park JS, Kim YJ, Shin, DG, Jeong MH, Ahn YK, Chung WS, et al. Gender differences in clinical features and in-hospital outcomes in ST-segment eleva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from the Korea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KAMIR) study. Clinical Cardiology. 2010;33(8):E1-6. http://dx.doi.org/10.1002/clc.20557 

  18. Rosamond W, Flegal K, Friday G, Furie K, Go A, Greenlund K, et al.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07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Statistics Committee and Stroke Statistics Subcommittee. Circulation. 2007;115(5):e69-171.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6.179918 

  19. Kim YJ, Kwak CY.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findings from the 2005, 200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11;11(3):169-76. 

  20. King KB, McGuire MA. Symptom presentation and time to seek care in women and men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Heart & Lung. 2007;36(4):235-43. http://dx.doi.org/10.1016/j.hrtlng.2006.08.008 

  21. Moser DK, Kimble LP, Alberts MJ, Alonzo A, Croft JB, Dracup K, et al. Reducing delay in seeking treatment by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nd strok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and stroke council. Circulation. 2006;114:168-82.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6.176040 

  22. Lee KH, Jeong MH, Ahn YK, Kim JH, Chae SC, Kim YJ, et al. Sex differences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arly management in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Korean Circulation Journal. 2007;37(2):64-71. http://dx.doi.org/10.4070/kcj.2007.37.2.64 

  23. Chung HJ. Symptoms and response related to treatment-seeking time amo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8. p. 37-42. 

  24. Oh HS, Jang KS, Jeong MH. Decision tree model of treatmentseeking delay among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008;8:235-44. 

  25. MacInnes JD. The illness perceptions of women following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self-regulatory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Journal of the Working Group on Cardiovascular Nursing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2006;5(4):280-8. http://dx.doi.org/10.1016/j.ejcnurse.2006.02.003 

  26. Song YB, Hahn JY, Gwon HC, Kim JH, Lee SH, Jeong MH, et al. The impact of initial treatment delay using primary angioplasty on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from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8;23(3):357-64. http://dx.doi.org/10.3346/jkms.2008.23.3.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