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존 어도의 개선에 관한 조사 연구 - 우리나라 동해안 하류 하천 내 어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Existing Fishways - Focusing on Fishways Located at Downstream of Eastern Coast Rivers in Korea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4, 2016년, pp.61 - 79  

이형래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기흥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혜련 (경남과학기술대학교대학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tructural and managemental problems of the existing fishways which affect the migrations of fishes, and at suggesting alternatives to improve the fishways' efficiency. The study focuses on the fishways constructed in the diversion weirs in the lower reaches of 41 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도 시스템이란 무엇을 총칭하는 말인가? 어도 시스템이란 어류 등의 소상(遡上)과 강하(降下)를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장애물이 하도에 있는 경우 어류 등의 소통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관련 시설물의 총칭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어도가 설치되어 있는 하천횡단구조물은 댐이나 하구언, 용수공급을 위한 보와 하상유지시설로서 만들어진 낙차공에 거의 국한되어 있다.
회유어 개체수가 격감했고 한정된 하류역 근방에서만 목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첫 번째로 하천의 종단방향으로 어도를 설치하여 생태축을 연결하였다고 하더라도 어도 자체의 구조적 결함 때문에 어류의 소상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 두 번째로는 하구로부터 어류의 서식공간으로 적합한 중․상류부까지 어도가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세 번째로는 치수안전을 위하여 제방을 돌이나 콘크리트로 견고히 하고 하상을 평탄화 하는 등하천 정비사업에 의한 물리적인 교란으로 인해하천을 매개로 살아가는 제반 생물들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서식공간(biotop)이 사라진 경우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5대강 수계의 지방하천 이상에 설치된 어도 수는 얼마인가? 최근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운용하고 있는 국가어도정보시스템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5대강 수계의 지방하천 이상에 설치된 어도 수는 계단식, 수로식, 기타 형식 등 3종류로 분류된 어도가 총 3,809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평균어도 설치율은 14.5%에 달한다. 반면, 여기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지자체가 관리하는 농업용 취수보를 포함하면 상당히 많은 어도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wang, JS. 1998, Fishway Research. 

  2. Japan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994. Design Guidelines of the Headwork Fishway. 

  3.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0. National Fishway Information System in Korea (http://fishway.go.kr). 

  4. Lee, HR.Kim, KH and Park, HC. 2014. A Study on the Efficiency Improvment of Existing Pool-Weir Fishway in Namgang Wei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2): 61-71.(in Korea with English summary) 

  5. Michel Larinier 2002. Fishways(biological basis, design criteria and monitering, FAO, CSP, Cemagref). 

  6. Nakamura, S. R..Wada, K 1992. Field Observation of Water Surface Oscillation in a Pool-Weir Fishway,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symposium, No.521 : pp. 207-215. 

  7. Nakamura, S. R. 1994. About the Fishway of the Japanese, Toyohashi University. 

  8. Nakamura, S. R. 1995. An Understanding of the Fishway, SANKAIDO. 

  9. Satou, K. S. 2004. Improving the Migration Environment of the Miyanaka Diversion Dam Fishway. River Front Research Report. No.15 : pp. 48-55. 

  10. Sasanabe, S. R. 1993. The Breadth Ratio of Fishway in Headworks and Other Facilities. Japan Society of Irrigation, Drainage and Rural Engineering symposium. No.61 : pp. 435-4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