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 을왕동 패총 출토 말백합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의 성장선 분석을 이용한 패류 채집의 계절성 연구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determined by growth-line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Lamarck) recovered from th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2 no.1, 2016년, pp.25 - 30  

안덕임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  류동기 (군산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wth-line analysis was carried out on 80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from the Neolithic Age Eurwang-dong Shell Midden, Incheon, Korea, to determine the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Growth increments and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pecimens were examined.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 말백합은 신석기시대부터 식용되어 온 이매패류로서 이러한 연구 목적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을왕동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의 성장선 분석을 바탕으로 당시의 패류 채집 활동과 유적 점유 계절을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 성장선 분석법을 바탕으로 신석기시대에 형성된 인천 을왕동 패총에서 출토된 말백합(Meretrix petechialis) 의 채집 계절과 유적이 점유된 계절을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류의 채집 계절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가? 패총을 구성하는 패류의 채집 계절은 패류 채집 활동과 식생활, 주거 및 이동 양상 등 고고학적으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문제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과거 사람들의 생계활동 전략, 주거 양상 등 고고학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패총을 구성하고 있는 패류의 채집 활동이 이루어진 계절성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을왕동 유적의 패총 구성은 어떻게 되는가? 2). 패총을 구성하는 식용패류는 굴 (Crassostreagigas), 말백합,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 동죽(Mactra veneriformis), 피뿔고둥 (Rapana venosa venosa)이다. 이 가운데 굴의 비중이 가장 높다. 굴은 을왕동 패총의 조성 연구를 위해 발굴 조사 과정 중 채취된 9점의 패각층 블록시료에 포함된 식용패류 가운데 71.6-99.3%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말백합의 빈도 및 비중이 높다. 말백합은 패각층 시료에 포함된 식용패류 가운데 0.7-13.5%의 비중을 차지하며, 모든 시료에 포함되어 있다 (안, 2006). 을왕동 유적의 방사성탄소 연대는 BP 4,510 ± 90, 4,220 ± 70년이다 (中央, 2006).
패총이란 무엇인가? 패총 (貝塚) 은 인류가 식료로서 채집한 조개를 소비할 때 발생하는 패각 쓰레기가 퇴적되어 형성된 일종의 생활 유적이다. 세계적으로 패총이 출현하는 것은 구석기시대부터인 것으로 알려졌다 (Waselkov,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D.I. and Lee, I.S. (2001) Seasonality of mollusk collecting at Daejuk-ri shell midden using oxygen isoto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Neolithic Society, 2: 13-20 (in Korean). 

  2. An, D.I. and Ryu. D.K. (2010)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and site occupation based on growth increment analysis of the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recovered from the Konam-ri shell middens.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69: 5-18 (in Korean). 

  3. An, D.I. and Ryu. D.K. (2013) Seasonality of shellfish collection determined by growth-line analysi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lis) recovered from the Daejuk-ri Shell Middens, Sosa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9(1): 77-82 (in Korean). 

  4. Hanseo University Museum (2001) The Excavation Report of Daejukri Site (in Korean) 

  5. Horwitz, L., Maggs, T. and Ward, V. (1991) Two shell middens as indicators of shellfish exploitation patterns during the first millennium AD on the Natal north coast, Natal Museum Journal of Humanities, 3: 1-28. 

  6. Kim, J.S., Woo, K.S., Hong, W., An, D.I. and Kim, S.T. (2011) Paleolclimatic reconstruction using bivalves (Veneridae) from the Daejukri (Seosan) and Heohyonri (Gimhae) shell mound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7(5): 485-497 (in Korean). 

  7. Kim, J.S. and Yang, S.H. (2001) New Understandings of th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Chronology and Shellmidden Exploitation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45: 5-44 (in Korean). 

  8. Koike, H. (1980) Seasonal Dating by Growth-line Counting of the Clam, Meretrix lusoria, The University Museum, The university of Tokyo, Bulletin No.18. 

  9. Koike, H. and Matsushima, Y. (1984) Intensity of Shell Collection Activities among the Jomon Shellmound People: an Estimation based on Paleotopography and Recent Fishery Data, In 50,000 Years of Japanese Prehistory: A Transcript of the Symposium of November 1, 1978, University of Manitoba, G. G. Monks, ed., pp. 55-85, Anthropology Papers No. 29,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Manitoba. 

  10. Kwon, O.K, Park, G.M., and LEE, J.S. (1993) Coloured Shell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mpany (in Korean). 

  11. Ryu, D.K., Chung, E.Y. and Kim, Y.M. (2006) Age and Growth of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1(4): 152-157 (in Korean). 

  12. Waselkov, G. A. (1987) Shellfish Gathering and Shell Midden Archaeology, In; Schiffer, M.B., Advances in Archaeological Method and Theory, Vol. 10. pp. 93-210, Academic Press. 

  13. 서광수, 조경수 (2000) 대산지역에 위치한 패총의 연대 측정과 서해안의 古水溫 硏究, 瑞山 大竹里 貝塚, 忠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pp. 165-190. 

  14. 안덕임 (2006) 을왕동패총의 패각층 분석,仁川 乙旺洞 遺 蹟, 中央文化財硏究院, pp. 219-234. 

  15. 안덕임 (2010) 서산 대죽리 패총의 패각층 분석,瑞山 大竹里 貝塚, 백제문화재연구원, pp. 41-52. 

  16. 안덕임 (2013) 당진 가곡리 패총의 패각층 분석,唐津 佳谷里 貝塚遺蹟, 백제문화재연구원, pp. 79-93. 

  17. 林尙澤 (1998) 패총 유적의 성격 -적응전략과 관련된 유적의 성격을 중심으로-, 科技考古硏究 3: 7-64, 아주대학교 박물관. 

  18. 장호수 (1988) 조개더미 유적의 성격, 백산학보, 35: 201-17. 

  19. 中央文化財硏究院 (2006) 仁川 乙旺洞 遺蹟.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