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In the quest for improved capacity and accelerated dehydration speed of drum type washing machines, an increase in vibration emerges as a major challenge. In an attempt to derive a new design with reduced vibration, a full finite element model of wash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with experimental verification. After modal analyses of several design variants, a new design of the cabinet has been proposed. Forced vibration analysis of the new model suggests that 19% reduction in cabinet vibration amplitude can be achieved with this desig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평면 형상의 캐비닛 측면을 곡면 형상으로 변화시켜 세탁기의 고유 진동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캐비닛 측면 형상 외에 비드 형상, 비드 깊이 등 다른 설계인자들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캐비닛의 강성 | 드럼 세탁기의 외곽 케이스 역할을 하는 캐비닛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
탈수 시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진동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의 역기능으로 구동 부품의 파손과 제품의 진동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드럼 세탁기의 외곽 케이스 역할을 하는 캐비닛의 강성이 부족할 경우 탈수 시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진동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세탁기의 진동과 관련한 연구 |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 기존의 세탁기의 진동과 관련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
이득희1는 드럼 세탁기의 해석 모델링을 진행한 후, 캐비닛 측면의 비드 개수와 깊이에 따른 진동 저감을 연구하였다. 차상태 등2은 드럼 세탁기의 해석 모델을 통하여 구동부의 스프링상수와 감쇠계수, 스프링 자유장의 최적 조합을 통한 진동 감소 방법을 연구하였다. 김근주등3은 일반적인 움직이는 터브 방식이 아닌, 고정 터브 방식을 적용하여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apadopoulos등4은 소형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터브 어셈블리에 2개의 질량을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Spelta Cristiano등5은 자기 유동 댐퍼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켜 제품의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강귀현 등6은 실험을 통하여 세탁기의 캐비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소음으로 방사됨을 검증하였다. 김지만 등7,8은 드럼세탁기의해석 모델을 통하여 탈수 시 구동부 등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을 규명하였고, 이 가진력을 이용하여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세탁기의 진동과 관련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득희1는 드럼 세탁기의 해석 모델링을 진행한 후, 캐비닛 측면의 비드 개수와 깊이에 따른 진동 저감을 연구하였다. 차상태 등2은 드럼 세탁기의 해석 모델을 통하여 구동부의 스프링상수와 감쇠계수, 스프링 자유장의 최적 조합을 통한 진동 감소 방법을 연구하였다. 김근주등3은 일반적인 움직이는 터브 방식이 아닌, 고정 터브 방식을 적용하여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apadopoulos등4은 소형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터브 어셈블리에 2개의 질량을 추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Spelta Cristiano등5은 자기 유동 댐퍼를 적용하여 구동부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되는 양을 감소시켜 제품의 진동을 저감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강귀현 등6은 실험을 통하여 세탁기의 캐비닛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소음으로 방사됨을 검증하였다. 김지만 등7,8은 드럼세탁기의해석 모델을 통하여 탈수 시 구동부 등에서 발생되는 가진력을 규명하였고, 이 가진력을 이용하여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캐비닛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
드럼 세탁기 | 최근 드럼 세탁기의 발전 방향은 어떻게 되는가? |
용량이 증가하고 탈수 속도가 고속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드럼 세탁기는 용량이 증가하고 탈수 속도가 고속화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의 역기능으로 구동 부품의 파손과 제품의 진동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