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 참여 촉진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Companies' ICT-Convergence Cluster Particip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8, 2016년, pp.151 - 161  

김용영 (건국대학교 경영경제학부) ,  김미혜 (충북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융합은 창조경제를 추진함에 있어서 기존 산업 및 제품과 서비스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까지 연구는 ICT융합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기업에 대한 세부적인 지원 정책 보다는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에 의존하여 ICT융합 클러스터의 전략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에 기반을 두고 비(非)R&D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끄는 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충북지역에 위치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한 181부를 바탕으로, 기술 지원, 참여여건 지원, 사업화 지원 등 비R&D 정책지원 요인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 사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의사에 차례로 정(+)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DA 모델을 정부와 기업 간 상황(G2B)에 적용하여 정부 정책의 홍보와 기업의 관심 유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비R&D 부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국가정책사업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끌어 내는 지 여부를 AIDA 모델을 활용하여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convergence cluster is considered as critical policy means because it can create higher value-added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comprehensive ICT-convergence cluster strategy based on Porter's diamond model. This paper adopted AIDA(Att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ICT융합과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 그리고 AIDA 모델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고자 한다. AIDA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도출하고,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경영학에서 제시하는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개발하여 비(非)R&D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끄는 지 여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이는 정부의 비R&D 정책과 관련된 홍보도 기업의 관심과 참여 의도를 이끌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간 정부정책의 홍보효과에 대한 의문이 매체를 통해 제기되어 왔으나 정책 홍보의 실질적 효과가 발생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T융합 클러스터를 조성함에 있어서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 요인이 무엇인지를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경영학에서 제시하는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개발하여 비(非)R&D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끄는 지 여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AIDA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도출하고,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이후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ICT융합과 클러스터에 대한 개념, 그리고 AIDA 모델과 관련된 문헌을 살펴보고자 한다. AIDA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도출하고,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ICT융합 클러스터 사업 대한 비R&D 분야의 정책적 홍보가 기업의 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본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하지만 비R&D 부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끌어 내는 지 여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DA 모델을 변형하여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비R&D 분야를 기술 지원, 사업화 지원, 참여여건 지원으로 나누고, 각 분류에 대한 6개, 9개, 4개의 세부항목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B2C 모델을 기초로 개발되었지만 이후 B2B상황으로 확장된 AIDA 모델을 정부와 기업 간(G2B) 상황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경쟁력 향상을 위해 전략을 기획하고 추진할 뿐만 아니라 개별 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 셋째, 본 연구는 정부의 사업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비R&D 부분의 정책지원이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비R&D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중소기업이 주로 분포되어 있는 지방의 경우 기업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유인책이라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고안된 최초의 모델은 주의, 흥미, 욕망, 행동의 과정을 제시한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26]이다. 이 모델은 본래 인적 판매 과정에서 판매원이 소비자들을 유도해 최종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AIDA 모델에서 고객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주의(A) → 흥미(I) → 욕망(D) →행동(A)”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친다고 전제하고 있다.
  •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B2B 거래를 주로 수행하는 중소기업이 글로벌 압박에 직면할 경우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융합의 과정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융합을 위해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챔피언이 존재하여 관계 개발을 촉진하고 클러스터 멤버들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구체적으로 경영학에서 제시하는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모델에 기반을 둔 연구 모델을 개발하여 비(非)R&D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사를 이끄는 지 여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즉, Porter가 제시하는 다이아몬드 모델 중 ICT융합 클러스터에 지역 기업의 참여를 성공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1: 기술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관심은 증대될 것이다.
  • 가설 1-2: 사업화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관심은 증대될 것이다.
  • 가설 1-3: 참여 여건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관심은 증대될 것이다.
  • 가설 2: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이에 대한 참여 의도는 증대될 것이다.
  • 기업의 긍정적 관심은 기업의 참여 의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AIDA 모델을 기업간 상황에 적용한 Wickham & Hall [28, 29]의 연구에서도 기업의 관심은 차례로 욕구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행동에 이르게 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ICT 융합은 어떤 의미였는가? ICT와 관련된 융합은 현대 사회가 과거와 달리 복잡화되면서 어느 한 분야의 지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현상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강조되어 왔다[13]. 초기 ICT 융합은 ICT 기술을 기반으로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등 이종기술간 융합을 통하여 신제품 또는 신서비스를 창출하거나 기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의미하였다[13]. 최근에는 범위가 확대되어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에 정보화와 지능화를 구현하기 위해 방안으로 ICT융합이 검토되고 있다[14].
ICT융합이 창조경제를 추진함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ICT융합은 창조경제를 추진함에 있어서 기존 산업 및 제품과 서비스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1]. ICT융합부문의 전세계 시장은 2020년 3조 6,000억 달러로 2010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2], 국내 ICT융합의 생산규모도 2020년에는 110조원으로 2011년에 비해 2.
ICT와 융합을 통해 기존 산업의 가치를 증진하고자 하는 방안 중에 하나는 무엇인가?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해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모두 ICT와 융합을 통해 기존 산업의 가치를 증진하고자 하는 방안을 활발히 모색하고 있다[1]. 이러한 방안 중의 하나가 지역에 ICT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다. ICT융합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조성·육성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지역 업체의 참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 Sohn, Y. Lee, J. Bae, J. Kim, & J. Ko, "Local ICT Industry Ecosystem Building Process Development," Gwangju Studies, pp. 53-61. 2014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 Strategy of IT Convergence Diffusion. 2010. 

  3. NIPA News,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2. 

  4. H. Yoo, J. Kim, S. Jun, J. Seo, & J. Yoo, "Study on the Selection Method of the Focused Supporting Industries for the Maximization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16, No. 1, 41-62, 2013. 

  5. M.E. Porter,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Free Press, New York, 1990. 

  6. M. Kim, J. Park, & Y. Cho, “Current Trends and Industrial Strategies of IT Convergenc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Vol. 25, No. 1, pp. 1-10, 2010. 

  7. C. Park, "Empowering Factor of IT Convergence Industry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10, No. 1, pp. 147-154, 2012. 

  8. N. Rosenberg, “Technological Change in the Machine Tool Industry, 1840-1910,”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Vol. 23, No. 04, pp. 414-443, 1963. 

  9. J. Choi, Y. Cho, & S. Jung, Measuring Technology Convergence and Analyzing Trend Using Patent Materials,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Issue Paper 2013-316. 

  10. H. Han, “An Exploratory Study on Paradigms, Policie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 pp. 455-461, 2012. 

  11. S. Noh, & K. Bang, “A Study on Creative Industry Development Vision Based on Digital Cont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2, pp. 47-53, 2012. 

  12. H. Suh, & S. Park, “Study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Characteristics for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4, pp. 51-67, 2011. 

  13. H. Kim, & S. Park, Analysis on Convergence R&D State and Activation Plan,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Issue Paper 2015-024. 

  14. D. Kim, K. Park, & K. Min, “A study on Smart Water Grid through IT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7, pp. 51-67, 2013. 

  15. S. Kim, ICT Convergence Market State and Future, 2015. 

  16. J. Im, Y. Kim, & S. Chung,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CT Convergence Innovation Cluster for Creative Econom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7, No. 1, pp. 1-24, 2014. 

  17. J. Moon, & K. Lee, “A study of Cluster Characteristics of NamDong in Incheon to the Effectiveness of a Fi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5, pp. 193-202, 2011. 

  18. OECD, Boosting Innovation, 1999. 

  19. M.E. Porter, Cluster of Innovation, 2001, pp. 77-90. 

  20. M.E. Porter,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 76, No. 6, pp. 77-90, 1999. 

  21. OECD, Innovative Clusters, 2001. 

  22. D. Yim, “Innovation Cluster of Indian Software Industry : Is It Evolved or Developed?,”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5, No. 2, pp. 167-188, 2002. 

  23. M. Kim, W. Cho, H. Jin, Y. Kim, & C. Lee, “Porter's Diamond Model-Based Competitiveness Analysis of the Korean Hog Industry,” Studies on Agricultural Economy, Vol. 51, No. 4, pp. 49-74, 2010. 

  24. J. Jung, “A Competitiveness Analysi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Movie Industry Using Generalized Double Diamond Model,” Journal of CEO and Management Studies, Vol. 11, No. 2, pp. 89-113, 2008. 

  25. C. Park, "Development and Leading Strategy of Future IT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5, pp. 89-98, 2011. 

  26. R.J. Lavidge, & G.A. Steiner,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Vol. 25, No. October, pp. 59-62, 1961. 

  27. M.B. Jensen, & A.L. Jensen, “Low Attention Advertising Processing in B2B Markets,” Journal of Business & Industrial Marketing, Vol. 22, No. 5, pp. 342-348, 2007. 

  28. L. Hall, & M. Wickham, “Organizing IMC Roles and Functions in the Business-to-Business Network Environment,”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Vol. 14, No. 3, pp. 193-206, 2008. 

  29. M. Wickham, & L. Hall, “An Examination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in the Business-to-Business Environment,”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Vol. 12, No. 2, pp. 95-108, 2006. 

  30. M. Enjolras, D. Galvez, M. Camargo, & L. Morel, "Supporting SME's IP Capabilities," World Patent Information, Vol. 40, pp. 21-29, 2015. 

  31. Defense Agency for Technology and Quality, Technology Dictionary on Defense Technology, 2011. 

  32. B. Lee, H. Seo, S. Lee, & J. Kim, “Analyzing Effects of Government Promoting Policies for IPTV Adoption,”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D, Vol. 17-D, No. 3, pp. 233-244, 2010. 

  33. C. Fornell, & D.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1981. 

  34. J.C. Nunnally, & I.H. Bernstein, Psychometric Theory(3rd ed.), McGraw-Hill, New York, 1994. 

  35. J.D. Thompson, Organizations in Action, Transaction Publishers, New Brunswick, 2011. 

  36. W.W. Chin,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Vol. 22, No. 1, pp. 52-104, 1998. 

  37. D. Gefen, D.W. Straub, & M.-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4, No. 7, pp. 1-77, 2000. 

  38. J.-B.E.M. Steenkamp, & H.C.M. van Trijp, “The Use of LISREL in Validating Marketing Construc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Vol. 8, No. 4, pp. 283-299, 1991. 

  39. W.W. Chin, & A. Gopal, “Adoption Intention in GSS,” SIGMIS Database, Vol. 26, No. 2-3, pp. 42-64, 1995. 

  40. R.F. Falk, & N.B. Miller, A Primer for Soft Modeling, University of Akron, Akron, OH, 1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