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부의 걷기운동 참여가 융복합차원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housewives' Self-esteem, Stress, Depression in terms of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2, 2015년, pp.453 - 460  

김해미 (중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부의 걷기운동의 참여가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으로 30대 후반에서 40대 중반의 주부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을 선정하여, 걷기운동을 15주동안 주3회씩 총45회, 1일 지속운동시간을 30분 이상, 1일 일만보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아 존중감, 스트레스, 우울증 개선에 집단간 주효과와 측정시점에 대한 주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측정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운동경험이 없는 주부에게 걷기운동의 참여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융복합측면에서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주부들은 지속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housewives' Self-esteem, Stress, or Depression. Among 35-45 year-old housewives 24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12. Total of 45 experiments on walking exercise program were cond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5주 동안의 걷기운동을 통하여 주부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걷기운동 참여가 주부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통하여 걷기운동 참여가 주부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 박세윤(2014)의 연구결과 근력과 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 만성질환과 우울증의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으며[14], 백일훈, 김병조, 박강희(2012)는 중강도 이상의 운동이 우울증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15]. 이에 본 연구는 주부를 대상으로 걷기운동을 통해 융복합적 차원에서 주부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및 우울증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이 우울증 같은 정서의 취약성이 지속되는 이유는? 이중 남성보다 여성의 우울증 유병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최근 현대화된 사회문화 환경, 교육 환경의 개선 등으로 여성의 지위가 향상되었으나, 남편, 시가와의 갈등, 자녀 양육의 문제 등의 스트레스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한 직업여성으로서의 스트레스가 부가되어 우울증을 포함한 정서의 취약성은 지속되고 있다[2].
활발한 신체활동은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가? Martisen(1990)은 활발한 신체활동은 긴장이완, 우울증감소, 불안 및 자신감, 통제력과 심리적 행복감에 기여하며, 성인의 자아존중감(self-esteem) 향상에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5], 이러한 신체활동은 뇌를 적당히 자극하기 때문에 자율신경의 작용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6].
걷기운동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다양한 신체활동 중 걷기는 인간의 본능이자 가장 자연스러운 움직임으로 실행과 강도 조절의 용이하고 달리기와 등산 등 지상에서 실시되는 다른 유산소에 비해 관절에 가해지는 물리적 스트레스가 적어 다양한 연령층에게 안전하고 적합한 신체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7,8]. 이러한 걷기운동은 경제적 부담 없이 실시 할 수 있는 매우 안전한 유산소 운동이며, 인간의 신체 움직임을 추구하는 것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활동이며[9], 매일 걷기운동은 기분을 유쾌하게 하고 편안한 잠을 가져다주기도 하는 등 스트레스에 의해 생긴 나쁜 몸의 상태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 해소되어버린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2. S. K. Kim, Psychopathological, Stress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Housewife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Vol 15, No 1,2, pp. 45-54, 2006. 

  3. Trzesniewski, K, H., Donnellan, M, B., & Robins, R, W. Stability of self-esteem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4, No. 1, pp. 205-220, 2003. 

  4. K. S. Han, P. S. Lee, Y. M. Lee, Influencing Factors on Symptoms of Stress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6, pp. 1427-1436, 2000. 

  5. Martisen, E. W. Benefits of exercise for the tretment of depression. Sport Medicine, 9, pp. 380-389. 1990. 

  6. K. Y. Lee, W. Shin, M. J. Ji,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Exercise Program. J. Basic Sciences Vol. 31, pp. 93-106, 2014. 

  7. B. C. Choi, A. W. Pak., J. C. Choi, E. C. Choi, Daily step goal of 10,000 step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and Invertigative Medicine, 30(3), pp. 46-51. 2007. 

  8. K. J. Ko,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factors in elderly wome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10, No. 1, pp. 81-91, 2015. 

  9. H. M. Jang, H. S. K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Spiritual Healths according to Walking Trainees' Participation Patterns. The Korea Journal of Sport, Vol. 10, No. 3, pp. 15-23, 2012. 

  10. W. C. Bake, S. K. Kim, The Causal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Women's Sport Participation Variables, Self-Esteem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3, No. 6, pp. 249-260, 2004. 

  11. M. S. Kim, S. H. Kim, S. H. Le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for wellness convergence in the digital age - Based on physical activity.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5, pp. 365-374, 2015. 

  12. S. K. Kim, W. J. Jung, K. Y. Kim, Y. Y. Choi,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 of Walk Exercise Participant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39 No, 2, pp. 823-835, 2010. 

  13. P. H. Kim, S. B. Ju, J. H. Choo, The body image of women participants in the convergence Walking impact o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happiness from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6, pp. 317-325, 2015. 

  14. S. Y. Park, Associations with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Vol. 25, No. 2, pp. 249-258, 2014. 

  15. I. H. Baek, B. J. Kim, K. H. Park, The Effect of Circuit Class Training on the Synthesis of Central Serotonin in People with Post-stroke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ol. 7, No. 4, pp. 451-458, 2012. 

  16. Hudson, W. W., The WALMYR Assessment Scales Scoring Manual. Tallahassee, FL: walmyr Publishing Co. 1997. 

  17. J. S. Lee, K. O. Yang, The Clinical intervention research model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30, pp. 165-198, 1996. 

  18. Y. H. Sin, The Collectiv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practice for raising ability of the abused wife.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19.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pp. 385-396. 1983. 

  20. P. S. Lee, Correlational Study among Anger,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6, pp. 856-864, 2003. 

  21. W. H. Lee, C.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Stress, Fatigue and Anger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6, pp. 925-932, 2006. 

  22. H. O. Kim, Y. J. Koo, E. A. Park,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y their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perfectionism, and self esteem.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3, No. 2, pp. 257-266, 2015. 

  23. W. K. Zung,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chieves of General Psychiatry, 12, pp. 63-79. 1965. 

  24. W. K. Park, The Study on Depression and stress are perceived hemiplegia due to stroke. MS.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988. 

  25. S. J. Jo, Y. B. Kim, H. W. Yim, Y. M. Park, W. C. Lee. Internet Us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reventive Program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 1, pp. 1-16, 2007. 

  26. Y. S. Yook, The Influence of Combined Healing Exercise Program on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Depressed Patient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23, No. 4, pp. 253-273, 2012. 

  27. I. H. Kim, Exercise Therapy and Mental Health for Stress Management. The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9, No 3, pp. 328-344, 2000. 

  28. G. Y. Kwon, K. L. Han, The Effect of Participating Yoga of Married Wome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Life Stres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 26, No. 3, pp. 101-114, 2012. 

  29. Y. G. Huh, W. S. Jung, M. G. Lee, Effects of a 13-week outdoor group walking exercise on depress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No. 2, pp. 1351-1364, 2014. 

  30. S. R. Cho, H. I. Cho, Y. H. So, The Influence of Health Belief on Quality of Sleep and Happiness Index according to Exercise Participatio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Vol. 27, No. 1, pp. 45-61, 2013. 

  31. Y. O. Park, H. M. Heo, An Analysis on Monetary Value of Physical.Mental Health Effec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Followed by Participation Variables of Sports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Vol. 21, No. 2, pp. 443-461,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