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385 - 390
최호경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박재명 (대한육상연맹 국가대표팀) , 김태규 (부경대학교 해양스포츠학과)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del fit of various versions of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EAS) developed for measuring quantitatively the attitude toward doping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Korean version of PEAS. One hundred and eighty elite athletic players participated in t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금지약물에 대한 태도를 확인위한 방법은? | 스포츠 활동에서의 금지약물(banned substances) 사용 행위는 운동선수의 금지약물에 대한 태도(attitude) 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이러한 이유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운동선수의 금지약물에 대한 태도를 확인 하여 금지약물 사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학적 요인(psychosocial factor)를 탐색하고자 하였다[5-7]. 이 중 2002년 Petróczi에 의해 개발된 Performance Enhance ment Attitude Scale(이하 PEAS)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performance-enhancing substances)의 필요성 등에 대해 예/아니오 등으로 응답하도록 설계된 설문지와는 달리 금지약물 사용 행위, 즉 도핑(doping)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quantitative)으로 측정하고자 생애주기 모델(life-cycle model)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 |
청소년선수에게는 사용한 모든 버전의 PEAS가 적합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어떻게 해야한다고 하였는가? | 1,154명의 영국선수를 대상으로 17문항의 PEAS에 대해 타당성을 확인한 선행연구[16]에서는 8문항의 PEAS가 성인선수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청소년선수에게는 사용한 모든 버전의 PEAS가 모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한민국 핸드볼선수를 대상으로 PEAS의 타당도를 확인한 연구[17]에서는 6문항의 PEAS가 성인선수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확인되었으며 청소년선수의 도핑에 대한 태도를 확인함에 있어서 청소년에게 적합한 설문지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렇듯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PEAS의 타당도와 관련하여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핸드볼과 같은 팀 종목의 선수가 육상과 같은 스피드 및 파워 (speed/ power)가 요구되는 종목보다 도핑에 대해 더 관대한 성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12]의 결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종목의 선수를 대상으로 PEAS의 타당도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스포츠 활동에서의 금기약물 사용 행위는? | 이러한 이유로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운동선수의 금지약물에 대한 태도를 확인 하여 금지약물 사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학적 요인(psychosocial factor)를 탐색하고자 하였다[5-7]. 이 중 2002년 Petróczi에 의해 개발된 Performance Enhance ment Attitude Scale(이하 PEAS)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약물(performance-enhancing substances)의 필요성 등에 대해 예/아니오 등으로 응답하도록 설계된 설문지와는 달리 금지약물 사용 행위, 즉 도핑(doping)에 대한 태도를 정량적(quantitative)으로 측정하고자 생애주기 모델(life-cycle model)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초기의 PEAS는 9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나[8], 2009년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적합하지 않은 80개의 문항을 제거하여 총 17문항으로 구성된 PEAS가 완성되었다[9]. |
N. Ntoumanis, J. Y. Ng, V. Barkoukis & S. Backhouse. (2014). Person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doping use in physical activity settings: a meta-analysis. Sports Medicine. 44(11), 1603-24.
D. Hauw & S. Mohamed. (2015). Patterns in the situated activity of substance use in the careers of elite doping athletes. Psychol Sport Exerc. 16, 156-63.
A. Petroczi. (2007). Attitudes and doping: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hletes' attitudes, sport orientation and doping behaviour.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2(1), 34.
C. Wiefferink, S. Detmar, B. Coumans, T. Vogels & T. Paulussen. (2007). Social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use of performance- enhancing drugs by gym users. Health Educ Res. 23(1), 70-80.
V. Barkoukis, K. Kartali, L. Lazuras & H. Tsorbatzoudis. (2016). Evaluation of an anti- dop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Findings from a school-based study. Sport Management Review. 19(1), 23-34.
A. Bloodworth & M. McNamee. (2010). Clean Olympians? Doping and anti-doping: The views of talented young British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21(4), 276-82.
D. F. Gucciardi, G. Jalleh & R. J. Donovan. (2010). Does social desirability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oping attitudes and doping susceptibility in athletes? Psychol Sport Exerc. 11(6), 479-86.
A. Petroczi. (2002) Exploring the doping dilemma in elite sport: Can athletes' attitudes be responsible for doping? Published Doctor of Philosophy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USA.
A. Petroczi & E. Aidman. (2009). Measuring explicit attitude toward doping: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Psychol Sport Exerc, 10(3), 390-396.
A. Elbe & R. Brand. (2016). The effect of an ethical decision-making training on young athletes' attitudes toward doping. Ethics Behav, 26(1), 32-44.
E. J. Vargo et al. (2014). Perceptions of assisted cognitive and sport performance enhance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ngland. Performance Enhancement & Health, 3(2), 66-77.
T. G. Kim & Y. H. Kim. (2017). Korean national athletes' knowledge, practices, and attitudes of doping: a cross-sectional study. Subst Abuse Treat Prev Policy, 12(1), 7.
M. J. Bae, J. J. Yoon, H. Y. Kang & T. G. Kim. (2017). Influences of perfectionism and motivational climate on attitudes towards doping among Korean national athletes: a cross sectional study. Substance abuse treatment, prevention, and policy, 12(1), 52.
G. Zucchetti, F. Candela & C. Villosio. (2015). Psychological and social correlates of doping attitudes among Italian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26(2), 162-168.
A. R. Nicholls et al. (2014). Coach perceptions of performance enhancement in adolescence: the sport drug control model for adolescent athletes. Performance Enhancement & Health, 3(2), 93-101.
A. R. Nicholls, D. J. Madigan & A. R. Levy. (2017).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 for adult and adolescent athletes. Psychol Sport Exerc, 28, 100-104.
J. M. Park & T. G. Kim. (2018).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performance enhancement attitude scale-Korean version for elite athlet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599-604.
E. K. Kim & T. G. Kim. (2014). Attitudes and Dispositions toward Doping in Korean National Player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3(1), 215-224.
P. M. Bentler.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 Bull, 107(2), 238.
M. W. Browne & R. Cudeck.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L. R. Tucker & C. Lewis. (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H. J. Lee. (2013). Doping Prohibition, Why It Reasonable Is? Critique of Doping Prohibition and Reflection of Doping Permis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 8(1), 57-81.
M. Anshel. (2005). Substance use: Chemical roulette in sport. The sport psych handbook. 255-76.
A. Alaranta, H. Alaranta, J. Holmila, P. Palmu, K. Pietila & I. Helenius. (2006). Self-reported attitudes of elite athletes towards doping: differences between type of sport. Int J Sports Med, 27(10), 842-846.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