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Kaloula borealis 개체군 크기 추정
Population Size Estimation of the Kaloula borealis in the Daemyung Retarding Basi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4, 2016년, pp.684 - 693  

최서영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  노백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에 인접한 대명유수지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집단 산란처로 생물서식공간의 보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맹꽁이 개체군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획-재포획방법에 의해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수를 추정하며, 미지형과 식생분포를 토대로 분류한 서식처별 방형구 배치를 통해 맹꽁이의 공간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2013년부터 2년간 진행된 조사에서 맹꽁이는 5월초 출현하여 7월과 8월에 활동이 증가하고, 10월말에 동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군 크기 추정을 위해 실시된 2014년 1차 조사에 98개체를 포획하여 표식 후 방사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표지된 5개체를 포함한 68개체를 재포획하여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는 대략 535-2,131개체로 추정하였다. 또한 대명유수지의 맹꽁이 개체군 공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평지 식생군락, 사면부, 저습지 등의 서식처에 57개 함정트랩을 배치하여, 맹꽁이의 이동이 활발한 장마철 전후를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맹꽁이는 대명천과 인접한 사면부에서 출현밀도가 높고, 저지대는 출현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지대의 맹꽁이 출현밀도는 산란철에 상대적으로 높으나 산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산란 이후 은신처, 월동지로 이동하는 맹꽁이의 행동습성과 더불어 저지대가 지하수위 상승으로 대부분 침수되면서 서식환경이 악화되어 주변 경사지와 평지 식생군락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emyung retarding basin located near the confluence floodplain of the Nakdong and Kumho River is a large spawning site for the endangered Kaloula borealis, and needs for protecting the habitat of the endangered species are increasing. However, scientific studies are rarely conducted on the popu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양서류 특히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개체군 크기 및 변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11년 발간된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양서·파충류)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의 67개 지점에 대략 2,550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하였을 뿐 과학적인 근거자료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a).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맹꽁이의 국내 최대 산란처로 알려졌으나 각종 개발사업으로 서식 환경 악화가 우려되는 대명유수지를 대상으로 개체군 크기를 추정하고 공간적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즉 대명유수지에 서식하고 있는 맹꽁이의 개체수를 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추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각종 개발사업이 진행되어 멸종위기종의 보호와 지속가능한 개발, 서식지 보전을 위한 생태계 조사와 보전활동 추진에 필요한 지식기반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 국내 최대 산란처로 알려져 있으나 개체군 보전을 위협받고 있는 대명유수지를 연구대상지로 맹꽁이의 서식개체군 크기를 추정하고 대명유수지의 구역별 맹꽁이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맹꽁이가 멸종 가능성이 매우 큰 이유는 무엇인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Kaloula borealis)는 양서강(Amphibia) 무미목(Anura) 맹꽁이과(Microhylidae)에 속하는 동물로서, 현재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맹꽁이는 생태적 특성상 지역집단 간 원활한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각 지역집단 내 근친 교배가 높아질 수 있으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집단의 크기가 감소할 경우 유전적 부동효과의 증가와 함께 유전적 변이의 감소로 멸종 가능성이 매우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Stebbins and Cohen, 1995; Yang et al., 2001).
맹꽁이가 속하는 종의 분류 기준은 무엇인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Kaloula borealis)는 양서강(Amphibia) 무미목(Anura) 맹꽁이과(Microhylidae)에 속하는 동물로서, 현재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맹꽁이는 생태적 특성상 지역집단 간 원활한 교배가 이루어지지 않고 각 지역집단 내 근친 교배가 높아질 수 있으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집단의 크기가 감소할 경우 유전적 부동효과의 증가와 함께 유전적 변이의 감소로 멸종 가능성이 매우 큰 종으로 알려져 있다(Stebbins and Cohen, 1995; Yang et al.
대명유수지의 평지 식생군락에 서식하는 것은 무엇인가? 지형, 식생, 수문특성을 고려하여 대명유수지의 서식처 유형은 평지 식생군락, 사면부, 저습지로 구분할 수 있다. 평지 식생군락(Figure 1, A구역)은 메타세콰이어, 느티나무, 산초나무, 개망초 등 교목과 관목, 초본식물이 산재 되었으나, 지역주민이 산책로로 빈번하게 이용하고, 차량 통행량이 많은 도로가 인접해 있어 인위적 교란에 취약한 상태이다. 저습지(Figure 1, B구역)는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데, 물웅덩이와 갈대-달뿌리풀 군락지로 나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ford R. A. and S.J. Richards(1999) Global amphibian declines: a problem in applied ecology,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30: 133-165. 

  2. Bae, D.Y., W.K. Moon, M.H. Jang, K.S. Jang, J.B. Seo, W.J. Kim, J.O. Kim and J.K. Kim(2012) Applying the Jolly-Seber model to estimate population size of Miho spine roach (Cobitis choii) in the Backgok Stream,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3): 322-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iley, L.L. and J.D. Nichols(2010) capture-mark-recapture, removal sampling, and occupancy models. In C.K. Dodd(ed.) Amphibian ecology and conservation: a handbook of techniques, pp.447-463. The Oxford University Press. 

  4. Choi, K.C., I.S. Kim and J.Y. Song(1972) Population ecological studies of Moroco oxycephalus BLEEKER in the Anseung stream - 1. On the estimation of population siz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5(3): 59-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2014) Report on saving the endangered narrow-mouthed toads. (private communication, Mr. Y.B. Seok, June 6, 2014) (in Korean) 

  6. Daegu Metropolitan City(2015) Design for ecological education facilities in Daemyung retarding basin. (unpublished data) (in Korean) 

  7. Dodd, C.K.(2010) Amphibian ecology and conservation: A handbook of techniques. The Oxford University Press. 

  8. Gamble, L.R., K. McGarigal and B.W. Compton(2007) Fidelity and dispersal in the pond-breeding amphibian, Ambystoma opacum: Implications for spatio-temporal population dynamics and conserv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39:247-257. 

  9. Heyer, W.R., M.A. Donnelly, R.W. McDiarmid, L-A C. Hayek and M.S. Foster(1993) Measuring and monitoring biological diversity: Standard methods for amphibians. Biological Diversity Handbook Series, Smithonian Institution. 

  10. IUCN.(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land and Cambridge, UK. 

  11. Jang, H.J. and J.H. Suh(2010) Distribution of amphibian speci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2: 4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B. and J.Y. Song(2010) Amphiban and Reptile in Korea. World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3. Kim J.B.(2009) Taxonomic list and distribution of Korean amphibians.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1(1):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 S.B., Ko, Y.M. and H.S. Oh(2011) Distribution of spawning sites of Kaolula borealis in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846-8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 S.B., M.H. Chang, J.Y. Song and H.S. Oh(2012a) Mete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breeding biology of Kaloula boreal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6): 876-8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 M.H., H.B. Song, S.H. Choi, H.Y. Song, D.W. Kang, S.J. Moon, S.J. Lee and I.C. Bang (2012b) Population estimates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4(3): 17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 S.B., Y.M. Ko and J.H. Lee(2014) Body size and age structure of mating couples in boreal digging frog(Kaloula boreal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3): 281-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rebs, C.J.(2009) Ecology. 6th Edition.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19. Lee, J.H., H.J. Jang and J.H. Suh(2011) Ecological guide book of Herpetofauna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in Korean) 

  20. Leopold, A.(1933) Game management, Charles Schribner's Sons, New York. 

  21. MacKenzie, D.I., J.D. Nichols, J.E. Hines, M.G. Knutson and A.B. Franklin(2003) Estimating site occupancy, colonization and local extinction probabilities when species are not detected with certainty. Ecology 84:2200-2207. 

  22. Ministry of Environment(2011) Final report on evaluation criteria and red list preparation of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a). Red data book of endangered amphibians and reptiles in Korea.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2b). Intensive ecological survey on endangered amphibian species of Narrowmouthed toads and habitat restoration assessment reports. 

  25. Park, K.J., Z.G. Kim and C.I. Zhang(2007) Abundance estimation of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using models of the detection function in a line transect.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0(4): 201-2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K.J. Y.R. An, Z.G. Kim, S.G. Choi, D.Y. Moon and J.E. Park(2009) Abundance estimates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East Sea,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2(6): 642-6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Rho, P.(2016)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of Kaloula borealis and meteorological factors based on habitat fe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3): 103-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im, J.H.(2001) Frog singing the beautiful life: amphibian story of Dr. Shim. Dareun-sesang publishing ltd. Seoul. (in Korean) 

  29. Shim, Y.J.(2010) A study on the wildlife habitat restoration model through develop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 focusing on narrow-mouth frog(Kaloula borealis).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 Chungcheong-Namdo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tebbins R.C. and W. Cohen(1995) A natural history of amphibi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31. Stevenson, B.C., D.L. Borchers, R. Altwegg, R.J. Swift, D.M. Gillespie and G.J. Measey(2015) A general framework for animal density estimation from acoustic detections across a fixed microphone array. Methods in Ecology & Evolution 6:38-48. 

  32. Sutherland, W.J.(2010) Ecological census techniques: a hand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33. Yang, S.Y., J.B. Kim, M.S. Min, J.H. Suh and Y.J. Kang(2001) Monograph of Korean Amphibia. Academy books. Seoul.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