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명지지구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군 생태연구
Ecological Study of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Population at Myeongji Distri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9 no.1, 2017년, pp.172 - 179  

홍성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안치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오기철 (낙동강유역환경청) ,  박선영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이훈복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맹꽁이의 현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맹꽁이를 포획하고, 맹꽁이 개체군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일원에 서식하는 맹꽁이를 2013년 8월 2일부터 2013년 11월 7일까지 포획하였고, 함정 트랩 240개(30 cm height ${\times}$ 20 cm width)를 주요 식생을 위주로 7가지의 맹꽁이 주요 서식지로 구분하고 설치하여 맹꽁이를 포획하였으며, 서식지별 환경 특성 요소들(토양 구성요소, 토양 습도, 대기 습도, 토양온도)을 측정하였다. 맹꽁이의 서식지는 대부분 초지와 아까시나무가 자생하는 평지 초원이었으며, 곳곳에 습지를 포함하고 있는 환경이었다. 맹꽁이는 846개체를 포획하였으며 VIE-tag을 몸에 투입시켜 다시 새로운 서식지에 방사하였다. 맹꽁이 개체군은 물억새군락에서 가장 많은 포획율을 나타냈으며, 나지에서 가장 낮은 포획율이 나타났는데, 이는 한낮의 뜨거운 햇빛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며, 또한 천적으로부터 은폐하기에 부적합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포획한 맹꽁이 중 127개체의 성별을 암컷 76개체, 수컷 51개체로 나타났고, 전장 및 무게를 측정한 결과 평균 길이는 암컷 $45.2{\pm}0.32(mm)$, 수컷 $41.8{\pm}0.26(mm)$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무게를 측정한 결과, 암컷 $13.2{\pm}0.17(g)$, 수컷 $11.1{\pm}0.13(g)$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맹꽁이의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은 주는 기상 요건은 온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본 연구 결과 $15.6^{\circ}C$ 이하의 온도에서는 활동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보다 더 온도가 낮아질 경우 동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명지지구 개발로 인하여 서식지 파괴 및 개체군의 절멸의 위험에 있던 명지지구에 일원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군의 생존연속성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서식지 분석을 통하여 추후 명지지구 내에 생태공원 조성시 맹꽁이가 선호하는 서식환경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original habitat and to conserve the narrow-mouthed toad populations. For this study, we used 240 pitfall traps (30 cm height ${\times}$ 20 cm width) to catch the narrow-mouthed toads that inhabit in Myeongji-dong, Gangseo-gu, in Busa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8년도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택지개발 사업의 하나인 부산광역시 명지지구 개발 사업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군을 보존하기 위해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여 이주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맹꽁이의 서식지 특성을 조사하고 맹꽁이가 선호하는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맹꽁이 서식지 복원 및 대체서식지 조성 시 기초적인 생태자료로 이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2008년도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택지개발 사업의 하나인 부산광역시 명지지구 개발 사업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군을 보존하기 위해 대체 서식지를 조성하여 이주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맹꽁이의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든 이유는? 양서류의 종수 감소 및 개체수의 감소는 세계인구의 급증과 관련이 깊은데, 인구 증가로 인하여 주거 지역의 확대 및 산업시설의 확장으로 인해서 양서류의 서식지 감소 및 서식지의 단편화 등으로 인한 양서류의 생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과거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맹꽁이(Kaloula borealis)는 택지개발, 농경지 개발, 과도한 농약사용 등으로 인해 맹꽁이의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든 종이다(Yang et al., 2000).
맹꽁이를 비롯한 야생동물들의 서식지 감소 및 서식지 단편화는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 가? 맹꽁이를 비롯한 야생동물들의 서식지 감소 및 서식지 단편화는 생태계 네트워크의 단절을 가져왔으며, 결과적으로 개체수 감소, 종 다양성 감소를 가져왔다(Hwang, 2000). 따라서 야생동물 서식지가 불가피하게 훼손되거나 소실될 상황에 있는 경우에는 서식지 복원 및 대체 서식지 조성이 필요하다.
서식지 별 토양 특성에 따른 맹꽁이 활동성을 알아본 결과, 맹꽁이가 선호하는 식생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서식지 별 토양 특성에 따른 맹꽁이 활동성을 알아 본 결과, 땅속에서 생활하는 맹꽁이의 특성상 입자가 작고 부드 러운 토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명지지구 내에서 채집한 토양의 경우 각 식생에 따른 서식지 별 토양의 입자가 크게 다르지 않고 비슷한 비율로 구성된 것을 알 수있었다. 연구 결과 맹꽁이가 선호하는 식생은 물억새군락으로 나타났으며, 물억새군락의 경우 자갈의 비율이 평균보다 낮고, 모래와 마사의 비율이 평균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분함량과 습도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ollins, JP and Storfer, A (2003). Global amphibian declines: sorting the hypothese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9(2), pp. 89-98. 

  2. Duellman, WE and Trueb, L (1994). Biology of amphibians, JHU press. [the United States Literature] pp. 677. 

  3. Hwang, YS (2000). Study in the Korean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In-situ Conservation, JHU press, 9(2), pp. 89-98. 

  4. Kim, JB and Song, JY (2010). Amphibians and reptiles of Korea, World science. [Korean Literature] 

  5. Kim, JC and Lee, GJ (2010). A Study on Habitat Improvement for Narrow-mouth frog(Kaloula borealis) In-situ Conser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 pp. 152-153. 

  6. Ko, SB (2012). Ecological Study of Kaloula borealis on Jeju Island, The Korean Research Society of Herpetologists, pp. 14-16. 

  7. Ko, SB, Jang, MH, Yang, GS and Oh, HS (2012a). Feeding Habits of the Kaloula borealis during the Breeding Seas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pp. 333-341. 

  8. Ko, SB, Ko, YM and Oh, HS (2011a). Distribution of Spawning Sites of Kaloula borealis in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6), pp. 846-852. 

  9. Lee, JH and Park, DS (2008).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s and age on the order of entrance of Hynobius leechii to a breeding pond.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1(3), pp. 183-191. 

  10. Lips, KR (1998). Decline of a tropical montane amphibian fauna, Conservation Biology 12(1), pp. 106-117. 

  11. MOE (2011). A Guideline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r the Constructing and Managing Substitute Habitats, pp. 51-52. 

  12. Oh, YJ (2006). Korean herbivorous plant, Sungshin Women's University a publishing department. [Korean Literature] 

  13. Park, SY (2009). Korean Naturalized Plant Illustrated Book, Ilchokak. [Korean Literature] 

  14. Toft, CA (1980). Feeding ecology of thirteen syntopic species of anurans in a seasonal tropical environment. Oecologia, 45(1), pp. 131-141. 

  15. Toft, CA (1981). Feeding ecology of Panamanian litter anurans: Patterns in diet and foraging mode. Journal of Herpetology, 15(2), pp. 139-144. 

  16. Yang, SY, Kim, JB, Min, MS, Suh, JH and Kang, YJ (2000).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ula borealis (Anura, Microhyl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4(1), pp. 39-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