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를 고려한 무장애공간 계획기준 및 적용실태 연구 - 어린이 재활병원의 외래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sign Guidelines and Implementations of Barrier-free Space for Children - Focused o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4 = no.117, 2016년, pp.113 - 124  

조민정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s domestic and oversea's barrier-free design guidelines provided exclusively for children and their implementations in the common spaces of the outpatient clinics in two pediatric rehabilitation hospitals in Seoul.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hecklist was developed to comp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계획기준이 어린이의 신체 조건이나 장애 유형에 따른 다양한 접근성의 문제를 적절히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다양한 무장애계획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어린이의 접근성을 고려한 무장애공간 계획기준을 비교하고, 국내 어린이 재활병원을 대상으로 어린이를 고려한 무장애 시설 요소의 설치 실태를 점검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장애공간계획이 신체적 능력의 저하 및 질환으로 인해 장애를 겪는 이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계획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 이유는? 유니버설 디자인 건축물은 모든 구성 요소가 장애를 가지지 않는 것 (ability)과 장애를 가진 것(disability)의 정도를 구별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장애 디자인 (Barrier-free design)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한 원리이다.18) 무장애공간계획은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요 원리인 지원성(Supportiveness), 수용성(Adaptability), 접근성 (Accessibility), 안전성(Safety)19) 중에서 접근 가능한 디 자인(Accessible design)과 맥락을 같이 하는데, 이는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로서 사람에게 방해가 되거나 위험한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20) 따라서 무장애공간계획은 신체적 능력의 저하 및 질환으로 인해 장애를 겪는 이들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계획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양질의 시설을 갖춘 의료 환경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어린이 시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발달과 학습 능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서, 어린이의 균형적인 성장과 건강한 발달 위해 적절한 물리적 의료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양질의 시설을 갖춘 의료 환경은 어린이가 병원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감소와 치료 효과의 증대, 나아가 웰빙 의식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특히, 장애 어린이의 경우에는 전문화된 의료시설에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조기 치료를 받음으로써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국내 장애 어린이의 숫자 추세는? 1) 특히, 장애 어린이의 경우에는 전문화된 의료시설에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조기 치료를 받음으로써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2) 그러나 국내 장애 어린이의 숫자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3) 전문적인 의료 재활시설의 부재와 질적 수준의 문제는 매우 심각하여 적절한 의료 환경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4) 뿐만 아니라, 장애 어린이 전문 의료 재활시설은 일반 어린이병원이나 성인 재활병원에 비해 장애 어린이의 이용이 월등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환경이 어린이의 신체적 특성 및 장애 유형에 대응하도록 계획되었는지에 대한 검토 또한 부족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sley, J., Creating Accessible Schools,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2000 

  2. Connell, B.R., Jones, M., Mace, R.L., Mueller, J., Mullick, A., Ostroff, E., & Vanderheiden, G., About UD: Universal design principles. Center for Universal Desig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997 

  3. Holmes-Siedle, J., Barrier-free Design: A Manual for Building Designers and Managers, London, New York: Routledge, 1996 

  4. Mace, R.L., Universal design, barrier-free environments for everyone, Los Angeles: Designers West, 1985 

  5. Mace, R.L., Hardie, G.J., & Place J.P., Accessible Environments: Toward Universal Design, In Vischer, J.C., Preiser, W., & White, E. (Eds.), Design Intervention: Toward a More Humane Architectur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0 

  6. Null, R.L. & Cherry, K.F., Universal Design: Creative Solutions for ADA Compliance, Professional Publications Incorporated, 1996 

  7. Preiser, W.F. & Ostroff, E. (Eds.), Universal Design Handbook, New York: McGraw Hill, 2001 

  8. Story, M.F., Mueller, J.L., & Mace, R.L., The Universal Design File: Designing for People of All Ages and Abilities. Revised Edition, the Center for Universal Design, NC State University, 1998 

  9. Weisman, L. K., 2001, Creating the universally designed city: Prospects for the new century, In Preiser, W.F. and Ostroff, E. (Eds.), Universal design handbook, New York: McGraw Hill, 2001 

  10. 김미점, 장애아동을 위한 의료재활서비스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003 

  11. 송은우, 아동발달 및 통합놀이환경을 위한 상상어린이공원 분석 연구, 경희대 석사논문, 2013 

  12. 이지예, 일본 장애아보육시설의 제도 및 물리적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 석사논문, 2008 

  13. 장선윤, 장애아동복지관의 실내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 논문, 2004 

  14. 정유진,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한양대 석사논문, 2008 

  15. 정은영, 재활병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04 

  16. 강병근, 장애학생을 고려한 통합학교 계획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권 3호, 2007 

  17. 강병근.성기창.박광재.윤영삼.김상운.김은경.이기정, 무장애 놀이공간 계획을 위한 설치유형별 놀이공간 실태분석 : 무장애 놀이공간의 계획기준 설정 및 모형개발 연구1,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제15권 4호, 2009 

  18. 김건형.박재승, 서울시 어린이 전문병원 외래진료부의 공간구성방식과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6권 3호, 2010 

  19. 김민경.주서령, 장애아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법적 기준 및 문헌 연구-한국, 미국, 호주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6호, 2007 

  20. 박준용.박재승, 소아병원 외래진료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소아환자 동선 및 행태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지, 제7권 12호, 2001 

  21. 이현희.양승정, 일본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신(新)법의 의미와 건축적 역할에 대한 연구, 재활복지, 제13권 4호, 2009 

  22. 정민정.서주은,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재활치료 서비스 현황 및 욕구조사에 관한 연구: 바우처 사업 수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4호, 2010 

  23. 정유진.손여림.황연숙, 재활전문병원 로비공간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양대 생활과학연구, 제29권 1호, 2009 

  24. 정은영.이특구, 재활병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10권 2호, 2004 

  25. David, T.G., & Weinstein, C.S. (Eds.), Spaces for children: The built environment and child development,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6. Geller, G. & Warren, LR., Toward an optimal healing environment in pediatric rehabilitation, The Journal of Alternative Complementary Medicine, Vol.10 2004 

  27. Jo White, B. & Annis, P., Universal design facility: State of the art teaching tool, Housing and Society, Vol.22 No.1-2, 1995 

  28. Varni, J.W., Rapoff, M.A., Waldron, S. A., Gragg, R. A., Bernstein, B.H., & Lindsley, C.B., Chronic pain and emotional distres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Developmental & Behavioral Pediatrics, Vol.17 No.3, 1996, 

  29. Ward-Begnoche, W.,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Vol.12 No.2, 2007 

  30. Woolley, H., Now being social: The barrier of designing outdoor play spaces for disabled children, Children & Society, Vol.27 No.6, 2013 

  31. http://disability.seoul.go.kr/ 

  32. http://www.mlit.go.jp/ 

  33. http://www.bca.gov.sg/friendlybuilding/ 

  34. https://www.access-board.gov/guidelines-and-standards 

  35. http://infostore.saiglobal.com/sto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