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실현 방안으로서 Nature-Study에 대한 이론적 고찰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6년, pp.581 - 589  

박다혜 (대구관남초등학교) ,  박종석 (경북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Nature-Study 사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관련 문헌을 수집 분석하고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도출하였으며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 과학교육을 전공하는 박사과정생 4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또 Nature-Study가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인지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은 첫째,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과학교육의 역할을 확립하고, 둘째,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과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으로 구체화하였다. '확장된 인성의 가치 영역 모델'은 지금까지 '자신, 주변인, 대중'이 중심이었던 '관계맺음'의 대상을 '생명과 환경, 영적대상'으로까지 확대한 것이고, '실천 중심의 인성 발현 메커니즘'은 '가치-판단-실행'의 인성 발현 과정에서 '관계맺음, 실제 상황, 실천 의지'의 단계 이행 매개와 '공감'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강조하는 Nature-Study를 제시하였다. Nature-Study는 교육 목적에도 인성교육의 요소가 나타날 정도로 인성이 강조되었던 과학교육 방법이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관계맺음과 실천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에서 도출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교육은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을 통해 인성교육에서의 역할을 확립하고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실현해야 하며 이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과학교육의 방법은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을 실현하는 Nature-Study이 된다. 따라서 Nature-Study는 학교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find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o analyze Nature-Study theoretically as one of the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fer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따라 Nature-Study가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에 제시된 Nature-Study의 교육목적이나 목표에서 인성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했다.
  • 이처럼 Nature-Study는 ‘자연을 통한 과학학습’이라는 가장 과학다운 방법으로 인성교육을 융합할 수 있는 교육이라고 하겠으며 이는 Nature-Study의 교육 목적과 여러 Nature-Study 문헌을 통해 명확하게 드러난다. 더 세부적으로 앞서 논의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확장된 관계맺음, 실천중심의 인성교육)과 NatureStudy 사상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연구를 바탕에 두고 인성의 가치 영역 확장과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을 과학교육에서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Nature-Study를 제시하였다. Nature-Study는 자연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과학이라는 학문의 본질에 가장 가까우면서 교육 목적에도 인성교육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과학다운 방법으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 먼저 인성교육과 Nature-Study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고 이를 고찰하여 교육계에서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흐름을 분석하였으며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할 인성교육 방향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Nature-Study을 분석함으로써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Nature-Study를 제시하였다.
  • 오늘날 교육과정과 교육연구 전반에서 인성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것에 반해 과학교육에서 ‘과학답게’ 인성교육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론적, 실제적으로 제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과학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Nature-Study 사상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따라서 과학교육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성교육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육의 입장에서 인성교육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Nature-Study 사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자신, 주변인, 대중’과 같은 인간 사회 구성원 이외에 ‘나’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지만 사람이 아닌 주변 ‘생명’,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 초월적 대상으로서의 ‘영적 대상’에 이르기까지 ‘나’와의 ‘관계맺음’의 대상을 확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과학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앞으로의 과학교육은 ‘과학’ 뿐만 아니라 ‘교육’에도 집중해야한다. 지금까지의 과학교육은 ‘과학’을 크게 강조하면서 지식 위주의 암기식 학습으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교육’은 사전적으로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
학교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학교 교육은 학업지도와 인성교육이라는 두 개의 큰 축으로 이루어진다(Ahn, 2005; Berkowitz & Simmons, 2003). 그러나 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과 수많은 정보의 증가로 인해 학교에서 습득해야하는 지식의 양은 점차 늘어나 학교 교육은 학업지도 쪽으로 기울어지게 되었다.
과학교육의 입장에서 인성교육을 바라볼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교육에서 어떻게 인성교육을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실제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은 어떤 의미인지, 과학교육을 통해 인성은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관한 본질적인 논의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학교육에서 인성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부자연스럽고 억지스럽게 보일 것이며, 일시적인 유행으로 사라질 것이다. 또 인성교육만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면 과학교육이 단순히 인성교육의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과학교육의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그 속에서 인성교육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육의 입장에서 인성교육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hn, B. (2005).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education in US schools. Studies in Humanities, 13, 133-169. 

  2. Armitage, K. C. (2009). The nature study movement: The forgotten popularizer of America's conservation ethic. Lawrence: University Press of Kansas. 

  3. Bailey, L. H. (1903). The nature-study idea: Being an interpretation of the new school movement to put the child in sympathy with nature. New York: Doubleday, Page & Company. 

  4. Bailey, L. H. (1911). The nature-study idea: An interpretation of the new school movement to put the child in sympathy with nature (4th ed., Rev.).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5. Berkowitz, M. W., & Simmons, P. (2003).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Zeidler, D. L.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117-138). Dordrecht, Boston, New York and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6.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No. 13004 (2015). 

  7. Cho, Y., Kim, A., Im, H., Sin, D., Cho, A., & Kim, I. (1998). Component factors of desirabl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8, 131-152. 

  8. Choi, J., Park. C., Yeon, K., Min. Y., Lee. E., Jung, W., Seo, J., Cha, D., Hur, J., & Lim, C. (2009). The problem of character education and alternative approach in korea(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9(2), 89-112. 

  9. Choi, K. (2011). Practical principles of character education. Proceedings of Korean Educational Idea Conference, 53, 85-115. 

  10. 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CASEL). (2003). Safe and sound: An educational leader's guide to evidence 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programs. Chicago: CASEL. 

  11. Comstock, A. B. (1911). Handbook of nature-study for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Cornell nature-study leaflets. Ithaca: Comstock Publishing Company. 

  12. Farnham, A. W. (1907). The relation which school-gardens may bear to industrial and commercial geography. The Nature-Study Review, 3(3), 76-85. 

  13. Gardner, H. (2002). Intelligence reframed. (Moon, Y. Tran.). Seoul: Gimmyou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14. Greenawalt, C. E. (1996).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 Commonwealth Foundation for Public Policy Alternatives, Harrisburg, PA. ED398327. 

  15. Hamilton, D. W. (1915). Lesson topics in nature study and elementary agriculture for rural schools. McGill University: MacDonald College. 

  16. Hershman, W. H. (1898). Manual of nature study by grades: To accompany the course of study for the city and town schools of Indiana. Chicago: A. Flanagan, Publisher. 

  17. Hong, H., Yoon, H., & Woo, A. (2012).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s applied to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4), 887-908. 

  18. Huh, S. (2016). The current problem and task of humani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Learning Strategy Intervention, 7(1), 37-49. 

  19. Hwang, S. (2016). Instrument developing study for the result evaluation after practing personality program.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50, 85-111. 

  20. Jang, J., Mun, J., Ryu, H., Choi, K., Krajcik, J., & Kim, S. (201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7), 1124-1138. 

  21. Jordan, D. S. (1896). Nature study and moral culture. Science, 4(84), 149-156. 

  22. Kang, S., Park, E., Kim, G., Song, S., Chung, Y., Kim, Y., & Ko, M. (2008).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vision of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0, 1-38. 

  23. Kim, H. (2005). A reconnaissance research on developing tools for assessing students' character.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21, 283-306. 

  24. Kim, H., & Lim, H. (2014).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decision-making activities on socioscientific issues. The Journal of Education, 34(3), 237-252. 

  25. Kim, J., Son, Y., & Kim, D. (2012).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analysis of textbook contents and actual cases of class applicatio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18(4), 111-138. 

  26. Kim, M. (2010).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moral curriculum.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27. Kim, Y. (2002). Holistic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6(1), 439-448. 

  28.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9). Redesign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developing future Koreans' core competences (RRC 2009-10-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9.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1). A study on how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s education and creative extra curricular activities (RRC 2011-7-1).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30. Lee, H., & Chang, H. (2011). Enlargem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SI teaching through a teach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5(4), 911-930. 

  31. Lee, W., & Kang, H. (1999). Comprehensive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character education. Thesis Collection, 34, 291-317. 

  32.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the MEHRD.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33. Ministry of Education. (2011).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4. Ministry of Education. (2014a). Policy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vision in character education. Seoul: Jinhan M&B. 

  35. Ministry of Education. (2014b). A Study of development of character index. Seoul: Jinhan M&B. 

  36.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 Ethics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EST. Seoul: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37. Nam, Y., & Lee H. (2013). The effect of science lesson emphasized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on the creativity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131-141. 

  38.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n.d.). Retrieved June 15, 2015, from http://stdweb2.korean.go.kr. 

  39. Park, D. (2015). Historical analysis of Nature-Study and reinterpretation with modern perspectives : NABI (NAture-study Based Ideas) program as an implication.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40. Park, D., & Park, J. (2015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ABI (NAture-study Based Ideas) program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6), 961-970. 

  41. Park, J., & Park, S. (2014). The formation process of Nature-Study in U. S.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1), 118-125. 

  42. Park, S. (2011). Development of humanity program based on ecological approach for adolescen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9(1), 203-220. 

  43. Park, S., & Park, J. (2015b).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ture-Study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9(1), 45-53. 

  44. Park, S., & Huh, S. (2012).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humanity scale for adolesc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3), 35-47. 

  45. Ryu, C., & Jin, H. (2006). Analysis of character virtue factors for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26(1), 139-166. 

  46. Scott, C. B. (1900). Nature study and the child. Boston: D. C. Heath. 

  47. Seo, K., Choi, J., Noh. S., Kim, S., Lee, J., & Hyun S. (201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disposition assessment instr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147-176. 

  48. Song, S. (2002). New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for a reorientation of education.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6(1), 131-163. 

  49. Yang, J., Kim, H., Gao, L., Kim, E., Kim, S., & Lee, H. (2012).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 113-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