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온천을 중심으로 본 물을 매개로 하는 치유의 경관에서의 여성적 요소
The Feminine Factor of the Therapeutic Landscape by Water from a Perspective of the Japanese Hot Spring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3, 2016년, pp.529 - 552  

박수경 (상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물을 매개로 하는 물리적 치유의 경관이 갖는 신체적, 문화적, 공간적, 경제적 의의가 어떤 형태로 여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에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이를 여성을 위한 쉼터로서의 기능, 여성을 위한 배려의 기능, 여성을 형상화한 기능으로 나눠 검토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여성을 위한 쉼터로서의 기능에는 신체적 의의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온천수와 온천욕, 분위기, 부대시설, 안전한 밤문화 등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매개를 통해 여성은 자유로움, 온천수가 온전한 상태로 회귀시켜주는 힘, 끊임없이 제공받는 치유의 장치,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것, 마음을 열고 자연스럽게 타인과의 교류 등을 느끼게 된다. 다음으로 여성을 위한 배려의 기능에서는 물을 매개로 하는 치유의 경관이 갖는 문화적 의의가 두드러지게 되는데, 이는 온천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화이기도 하지만, 배려에 바탕을 둔 일본의 문화가 자연스럽게 혼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영버스, 오카미상 혹은 나카이상의 서비스, 장식품, 장난스러운 설치물, 개인공간의 확보 등을 통해서 다양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누군가 지지해주고 혹은 지켜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며, 신체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아름다움까지도 추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여성을 형상화한 기능은 문화적, 공간적, 경제적 의의 등 폭넓게 나타나는데, 광고매체, 온천과 관련된 표식, 신사, 오브제, 상품화된 매개체 등을 통해 다양하게 드러난다. 이러한 기능은 건강함, 쉼, 편안함, 친숙함 혹은 익숙함, 사랑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행복한 결혼 생활로 이어진다는 이미지 등으로 승화된다. 이상을 통해 온천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여성을 위한 치유의 요소는 자유로움, 안전함, 신체를 뛰어넘는 효과, 즐거움, 치유의 지속성, 아름다움, 희망 등으로 수렴되며, 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여성의 온전하지 않음은 온전함으로 회복되는 치유의 효과가 드러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ter as to how the meaning of the physical therapeutic landscape by water, which is associated with physical, cultural, spatial, and economical aspects, appears in the space centering on women and is to look into the feminine factors in term of a rest a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리적, 정신적, 영적인 형태로 구분된 치유의 경관은 각각 어떤 것을 의미하나? 치유의 경관을 처음으로 이론화하여 정립한 지리학자는 미국의 Gesler(1992)로 그는 치유의 경관을 크게 물리적, 정신적, 영적인 형태로 구분하였다. 물리적 치유의 경관은 병원, 공원, 온천 등과 같은 신체적 활동을 원활히 하도록 하는 곳이고, 정신적 치유의 경관은 정신병동, 심리상담센터 등과 같이 정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하며, 마지막으로 영적인 치유의 경관은 프랑스의 루르드나 스페인의 산티아고 등의 순례지 등과 같이 종교적으로 치유하거나, 요가, 명상센터 등 형태의 심리적인 안정을 느낄 수 있는 지리적 범위를 말한다(박수경, 2016, 145-146 재인용).
치유의 효과란? 다만 여성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 예를 들어, 가시적인 것보다는 비가시적인 공감, 지지, 응원, 격려 등을 더 선호하는 점, 다른 사람이 소유한 것과 차별된 자신만을 위한 그 무엇이 존재하기를 희망 하는 점, 특별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환경을 요구한다는 점 등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여성 스스로가 납득할 수 있는 궁극적인 치유 수준에 닿을 수 있으며, 그러한 만족감이 펼쳐지는 범위가 바로 여성을 위한 치유의 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국의 저명한 여성심리학자인 Bem(1974)은 여성이 가진 주요한 특징을 감정적인, 민감한, 표현적인, 온화한 안정감이 있는, 동정적인, 따뜻한, 아름다운 것에 대한 관심, 직관적인, 가정과 가족 중심적인, 관능적인, 예술과 문학을 잘하는 등의 표현으로 정의한 바 있는데, 치유의 효과란 앞서 나열한 여성 본연의 특징과 얼마나 부합하느냐, 혹은 부족함을 느끼는 특징을 얼마나 만족스럽게 채워주느냐 하는 문제로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치유의 효과가 지속되는 공간적인 범위를 바로 치유의 경관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오늘날까지 여성의 역할은 모순되게도 흔히 남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인내심과 독립이 요구되는 반면, 나약하고 수동적이며 의존적이 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여성이 가진 주요한 특징은 어떤것이 있나? 다만 여성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 예를 들어, 가시적인 것보다는 비가시적인 공감, 지지, 응원, 격려 등을 더 선호하는 점, 다른 사람이 소유한 것과 차별된 자신만을 위한 그 무엇이 존재하기를 희망 하는 점, 특별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환경을 요구한다는 점 등과 같은 요소를 고려해야 여성 스스로가 납득할 수 있는 궁극적인 치유 수준에 닿을 수 있으며, 그러한 만족감이 펼쳐지는 범위가 바로 여성을 위한 치유의 경관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국의 저명한 여성심리학자인 Bem(1974)은 여성이 가진 주요한 특징을 감정적인, 민감한, 표현적인, 온화한 안정감이 있는, 동정적인, 따뜻한, 아름다운 것에 대한 관심, 직관적인, 가정과 가족 중심적인, 관능적인, 예술과 문학을 잘하는 등의 표현으로 정의한 바 있는데, 치유의 효과란 앞서 나열한 여성 본연의 특징과 얼마나 부합하느냐, 혹은 부족함을 느끼는 특징을 얼마나 만족스럽게 채워주느냐 하는 문제로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치유의 효과가 지속되는 공간적인 범위를 바로 치유의 경관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오늘날까지 여성의 역할은 모순되게도 흔히 남성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인내심과 독립이 요구되는 반면, 나약하고 수동적이며 의존적이 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권숙인, 김현미 옮김, 2008, 여성.문화.사회, 한길사(Rosaldo, M. Z. and Lamphere, L., 1974, Woman, Cultur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California). 

  2. 김시중, 2005, 온천관광지 이미지, 속성 및 선호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 4, 497-51. 

  3. 김시중, 2010, 온천관광지 선택속성이 방문객 만 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덕산온천 관광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 2, 145-161. 

  4. 김주현, 2009, 외모꾸미기 미학과 페미니즘, 책세상. 

  5. 박수경, 2016, 영적 치유의 경관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한국 천주교 순례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 1, 143-166. 

  6. 성해준, 감영회 옮김, 2004, 일본여성사, 도서출판 어문학사(井上?, 1961. 日本女性史, 三一書房, 東京). 

  7. 여성과 공간 연구회 옮김,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아카데미(McDowell, L., 1999, Gender, Identity and Place: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Polity Press Ltd., Cambridge). 

  8. 이승준, 한의석 옮김, 2015, 현대 일본의 이해, 명인 문화사(McCargo, D., 2013, Contemporary Japan, Palgrave Macmillan Ltd., London). 

  9. 이영희, 2000, 관광지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수안보온천의 활성화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5, 3, 473-488. 

  10. 이영희, 2003, 관광지 라이프사이클 모형의 검증 - 영국의 바스 온천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38, 3, 413-425. 

  11. 이은주 옮김, 2013, 주부의 탄생-일본여성들의 근 대와 미디어, 소명출판(木村?子, 2010, 主婦の誕生-婦人?誌と女性たちの近代, 吉川弘文館, 東京). 

  12. 장연집 옮김, 2001, 여성 건강 심리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Nicolson, 1992, Towards a Psychology of Women's Health and Health Care In Nicolson, P. and Ussher, J. (ed.), The Psychology of Women's Health and Health Care, Palgrave Macmillan Ltd., London). 

  13. 조성호, 이경자, 1998, 일반 한국 온천관광목적지 의 수명주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4, 2, 165-181. 

  14. 조애리, 강문순, 김진옥, 박종성, 유정화, 윤교찬, 이혜원, 최인환, 한애경 옮김, 2015, 젠더란 무엇인가, 한울 아카데미(Ryle, R., 2014, Questioning Gender, SAGE Publications, London). 

  15. 최석완 옮김, 2006, 지위와 역할을 통해 본 일본여성의 어제와 오늘, 어문학사(?合女性史?究?, 1993, 日本女性の?史-女のはたらき, 角川書店, 東京). 

  16. Andrews, G. and Holes, D., 2007, Gay Bathhouses: The transgression of health in therapeutic places, In Williams, A. (ed.) Therapeutic Landscapes, Ashgate, Aldershot. 

  17. Bell, S. L., Phoenix, C., Lovell, R. and Wheeler, B. W., 2015, Seeking everyday wellbeing: The coast as a therapeutic landscap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42, 56-67. 

  18. Curtis, S., Gester, W., Fabian, K., Francis, S., and Priebe, S., 2007, Therapeutic landscapes in hospital design: a qualitative assessment by staff and service users of the design of a new mental health inpatient unit, Environmental and Planning C: Government and Policy, 25(4), 591-610. 

  19. English, J., Wilson, K. and Keller-Olaman, S., 2008, Health, healing and recovery: Therapeutic landscapes and the everyday lives of breast cancer survivor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7, 68-78. 

  20. Finlay, J., Franke, T., McKay, H. and Sims-Gould, J., 2015, Therapeutic landscapes and wellbeing in later life: Impacts of blue and green spaces for older adults, Health and Place, 34, 97-106. 

  21. Foley, R., 2010, Healing Waters-Therapeutic Landscapes in Historic and Contemporary Ireland, Ashgate, Surrey and Burlington. 

  22. Foley, R., Wheeler, A. and Kearns, R., 2011, Selling the colonial spa town: The contested therapeutic landscapes of Lisdoonvarna and Te Aroha, Irish Geogrpahy, 44(2-3), 1-22. 

  23. Foley, R., 2014, The Roman -Irish Bath: Medical/ health history as therapeutic assemblag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06, 10-19. 

  24. Kearns, R. and Moon, G., 2002, From medical to health geography: novelty, place and theory after a decade of chang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6(5), 605-625. 

  25. Geores, M. E., 1998, Surviving on metaphor: How 'HealthHot Springs' created and sustained a town. In Kearns, R. and Gesler, W. M. (ed.) Putting htealth into place: Landscape, identity and well-being, Syracuse University Press, New York. 

  26. Gesler, W. M., 1992, Therapeutic landscapes: medical geographic research in light of the new cultural geograph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4(7), 735-746. 

  27. Gesler, W. M., 1993, Therapeutic landscapes: theory and a case study of Epidauros, Greece,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11, 171-189. 

  28. Gesler, W. M., 1996, Lourdes: healing in a place of pilgrimage, Health and Place, 2 (2), 95-105. 

  29. Gesler, W. M. and Kearns, R., 2002, Culture, Place and Health,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30. Liamputtong, P. and Suwankhong, D., 2015, Therapeutic landscapes and living with breast cancer: The lived experiences of Thai wome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28, 263-271. 

  31. Little, J., 2013, Pampering, well-being and women's bodies in the therapeutic spaces of the spa, Social and Cultural Geography, 14(1), 41-58. 

  32. Serbulea, M. and Payyappallimana, U., 2012, Onsen (hot springs) in Japan-Transforming terrain into healing landscapes, Health and Place, 18, 1366-1373. 

  33. Straughan, E. R., 2012, Touched by water: The body in scuba diving, Emotion, Space and Society, 5, 19-26. 

  34. Williams, A., 1998, Therapeutic Landscapes in Holistic Medicin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6, 9, 1193-1203. 

  35. 일본온천협회, 2015, http://www.spa.or.jp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