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숍의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ence Elements on Store Identity, Shopp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Lifestyle Shop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4, 2016년, pp.685 - 700  

우승현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황진숙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erience elements on store identity, shopping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lifestyle shops. The respondents of the study were 300 adult males and females who visited lifestyle shop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for exploratory fac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Koh & Choi, 2009) 위주로, 매장 내 마케팅 활동과 소비자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해 다룬 연구는 부족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어떠한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정립하는데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 소비자의 체험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 2007; Reynolds & Beatty, 1999; Yang & Choi, 2014; Yi & Kim, 1998),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소비자의 쇼핑 만족이 매장에 대한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향후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의 스토어 아이덴티티가 쇼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쇼핑 만족이 향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라이프 스타일 숍의 아이덴티티 구축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이 단순히 쇼핑 공간이 아닌 포괄적인 쇼핑 경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 · 예술 공간으로 정의된다는 점을 반영하여(Kim et al., 2015b), Pine II & Gilmore의 체험 경제 이론에 근거한 각각의 체험 요소가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이 상업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특성을 반영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4개의 체험 요인을 제시하는 Pine II & Gilmore의 체험 경제 이론(Pine II & Gilmore, 1998)에 근거하여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체험 요소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 , 2007), 체험 마케팅은 스토어가 갖는 고유의 정체성, 즉 아이덴티티를 강조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Kim & Moon, 2011) 매장 내 체험 요소와 스토어 아이덴티티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세부적인 체험 마케팅전략을 구축하는데 필요할 것이다. 또한, 매장내 체험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가 고객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Kim and Lee(2011)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각 브랜드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갖게 해주는 아이덴티티가 고객 만족과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국내 라이프스타일 숍 시장 내에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 스토어가 제공하는 다양한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들에게 독특한 매장 환경을 제공하는 것 이상으로 브랜드에 대한 차별화된 이미지를 연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이 상업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특성을 반영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4개의 체험 요인을 제시하는 Pine II & Gilmore의 체험 경제 이론(Pine II & Gilmore, 1998)에 근거하여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체험 요소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스토어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요소로 외관적인 요소보다는 마케팅 활동에 초점을 맞춰 소비자 중심의 체험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아이덴티티를 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고, 스토어 아이덴티티의 지각 여부가 소비자들의 쇼핑 만족 및 재방문과 추천의도를 포함하는 미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의류브랜드의 체험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의 인지도와 이미지를 포함하는 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Kim et al., 2014; Shin & Kim, 2010)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체험 요소가 각 브랜드만의 독특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스토어의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생활용품 뿐만아니라 패션, 가구등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유통업계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체험 요소,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의 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최근 6개월 이내에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방문 경험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라이프스타일숍의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생활용품 뿐만아니라 패션, 가구등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유통업계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의 체험 요소,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의 변수 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고 최근 6개월 이내에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방문 경험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제시된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라이프스타일숍의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축과 소비자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및 결과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모형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Pine II & Gilmore의 체험 경제 이론을 토대로 한 4개의 각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과 스토어 아이덴티티가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쇼핑 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며,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가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2015b).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능동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라이프스타일 숍에서 명확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체험 요소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즉, 소비자에게 타 매장과는 차별화된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지각시키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감성을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매장 환경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패션 라이프스타일숍으로의 진화 [The evolution of fashion lifestyle shop]”, 2015).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쇼핑 만족과 긍정적인 쇼핑 행동을 이끌어 낼 것으로 판단되는 라이프스타일 숍의 아이덴티티 형성을 위한 소비자 중심의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체험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2015)는 체험이 재방문과 추천의도를 포함하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로모형을 설정하여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매개로 소비자의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 1999) 만족과 행동의도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프스타일 숍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미래 행동의도인 매장 재방문 의도와 추천의도를 변수로 선정하여 체험 요소와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만족을 포함하는 본 연구의 변수 간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유통업계의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숍의 매장 디스플레이나 외관적인 요소가 아닌 매장 내 소비자의 감성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스토어의 아이덴티티가 소비자의 쇼핑 만족과 행동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향후 차별화된 브랜드와 스토어 마케팅 전략 방향을 결정하는데 의미를 갖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장 내 체험 요소와 스토어 아이덴티티 및 스토어 아이덴티티와 소비자 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체험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매개로 하여 소비자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유통업계의 주요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는 라이프스타일 숍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체험 마케팅을 위해서는 본 연구가 필요한 시점으로 사료된다. 특히, 패션브랜드가 라이프스타일 숍 시장에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전체 라이프스타일 숍 시장에 대한 이해와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체험 요소 구축을 통해 차별화된 스토어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가 있기에, 본 연구는 체험 경제 이론을 적용한 소비자 조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숍의 세부적인 체험 마케팅 전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a. 엔터테인먼트 체험은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첫째, Pine II & Gilmore의 체험 경제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4개의 체험 요소 중 엔터테인먼트 체험과 현실 도피 체험은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교육적 체험과 미적체험은 스토어 아이덴티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장 내 쇼핑의 즐거움과 흥미로움을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체험은 스토어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체험 요소라는 점에서 라이프스타일숍의 체험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자면,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갖추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중 '어라운드 더 코너'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단순히 여러 상품군만을 모아 판매하는 편집 매장의 형식이 아닌 예술, 패션, 음악, 디자인, 카페를 복합적으로 즐길 수 있는 형태의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다(Jang, 2015). 예를 들어, 패션업계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중 ‘어라운드 더 코너’는 매장 내에 베이커리나 카페 공간을 입점시켜 쇼핑을 하러오는 고객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Jang,2015), 가구업계 브랜드인 ‘리바트’에서는 가구 이외의 라이프스타일을 지향하는 가구 주변 상품 구성에 집중하고 있다(Chung, 2014). 이렇듯 산업군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혹은 전혀 색다른 형식의 산업군을 결합시키는 방식의 실험적인 스토어까지 등장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숍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소비자의 의식과 소비형태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개성을 소비공간에서 충족시켜 주는 라이프스타일 숍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주요 유통채널로 부상하고 있다(“패션라이프스타일숍으로의 진화 [The evolution of fashion lifestyle shop]”, 2015). ‘라이프스타일 숍(Lifestyle Shop)’이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토탈 상품인 의류, 액세서리, 가구, 생활용품, 팬시 등의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소비자가 원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 주는 형식의 매장으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해 오고 있는 유통채널로 정의된다(Choi, 2005). 즉, 라이프스타일 숍은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추고 있으며 다채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한 공간 내에서 높은 수준의 쇼핑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원스탑 쇼핑(One-stop Shopping)’을 가능하게 해준다(Kim et al.
라이프스타일이 리빙 및 가구업계뿐만 아니라 패션업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는 어떠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가? 이렇듯 라이프스타일 숍 시장 규모의 팽창이 유통업계의 큰 흐름을 좌우하면서, 라이프스타일을 대표하는 리빙 및 가구업계뿐만 아니라 패션업계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Kang, 2015). 이러한 트렌드는 의류나 액세서리뿐 아니라 리빙, 키친, 팬시 및 가구 등 다양한 카테고리가 패션을 지향하면서 패션 화되는 현상을 보여줌과 동시에 패션업계 입장에서는 의류를 포함하는 패션제품만으로는 소비자의 높아진 생활수준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Lee, 2014). 이처럼 삶의 질을 중시 하는 라이프스타일형 소비행태의 변화는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 그 이상의 쇼핑 환경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자 니즈에 맞게 기업은 매장 내 다양한 쇼핑 경험을 이끌어 내기 위한 마케팅 노력을 다각화하고 있는 중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NY: Free Press. 

  2. Arnold, M., Reynolds, K. E., Ponder, N., & Lueg, J. E. (2005). Customer delight in a retail context: Investigating delightful and terrible shopping experien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8), 1132-1145. doi:10.1016/j.jbusres.2004.01.006 

  3. Bai, B., Law, R., & Wen, I. (2008). The impact of websit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s: Evidence from Chinese online visi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7(3), 391-402. doi:10.1016/j.ijhm.2007.10.008 

  4. Chang, H. (2010). A study on directing space for experience by experienced element: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Perspect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 min University, Seoul. 

  5. Choi, E. H. (2015, January 19). 2015년 패션 화두 '라이프스타일숍'이 뜬다! [Fashion topic in 2015 'lifestyle shop' is on the rise!]. Consumer Times. Retrieved October 31, 2015, from http://www.c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837 

  6. Choi, S. W., & Choi, S. D. (2015). The influence of theme park service's experience on brand equity - Analyzed through Pine II Gilmore's Experience Economy Theory -. The Journal of Tourism Studies, 27(3), 61-82. 

  7. Choi, Y. K. (2005). A study on design strategies by establishing brand identity of total interior shop.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8. Chung, Y. H. (2014, November 16). 젊은 1인가구 증가... 월세시대... 주거문화 변화 바람에 라이프스타일시장 뜬다 [Increase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ge of monthly rent… the change of residental culture prompts lifestyle shop on the rise]. SEN Plus. Retrieved October 19, 2015, from http://www.sentv.co.kr/news/view/4499471 

  9. Fashion Specialty Materials Compilation Committee. (1997). FASHION 전문 자료사전 [Fashion specialty materials dictionary].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Publishing. 

  10. Ha, D. H. (2009). Effects of Daegu-Gyeongbuk's foreign tourist experience on enjoyment, satisfaction, and loyalty: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4(5), 359-380. 

  11. Ha, J., & Hwang, J. S. (2014). The impact of Korean country image on brand identi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case for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2), 251-265. doi:10.5850/JKSCT.2014.38.2.251 

  12. Ha, J., Woo, S. H., & Hwang, J. S. (2015). A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untry image, people image, and brand identity of Korea and France -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46, 171-184. 

  13. Hwang, J., Kim, M., & Koo, J. (2014). An impact of life-style shop's internal-external factors causing sensory experience on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3), 474-485. 

  14. Hwang, Y. C., & Hong, W. S.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e & art products experiential factor, experiential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fter purchase by consumer's lifestyle.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6(4), 559-580. 

  15. Jang, W. S. (2015, May 6). 쇼핑부터 커피까지 한 번에, 라이프스타일샵 뜬다 [From shopping to coffee at once, lifestyle shop is on the rise]. Daily Hankook. Retrieved October 27, 2015, from http://daily.hankooki.com/lpage/life/201505/dh20150506082116138850.htm 

  16. Jang, Y. Y., & Seo, W. S. (2014). Examining the impact of effects on experience to foreign visitors' satisfac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Pine & Gilmore's Experience Economy Perspective.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8(10), 199-219. 

  17. Jeoung, S. S., & Lee, J. Y. (2011). The analysis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museum visitors' motivations: Case of national museum visitor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2), 175-193. 

  18. Kang, H. E. (2012). The impact of user interface and emotional experience on brand identity-Focu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1), 1-12. 

  19. Kang, S. S. (2015, January 30). [기획조명] 패션업계 新 화두 '라이프스타일 숍'이 뜬다 [[Project spotlight] New topic of fashion industry 'lifestyle shop' is on the rise]. News2day. Retrieved November 11, 2015, from http://www.news2day.co.kr/n_news/news/view.html?no63501 

  20. Kim, C. G. (2013).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all attributes on shopping value, consu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20(1), 63-86. 

  21. Kim, D. K., Kim, Y. B., & Chang, K. R. (2014). The impact of experiences at sports brand flagship store on brand equity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9(2), 1-15. 

  22. Kim, J. H., & Lee, H. (2011). The influences of experient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brand image and customer satisfaction.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14(4), 29-52. 

  23. Kim, J. I., & Kang, H. S. (2012). Research and strategy development of servicescape model for the construction of store identity-Focused on cosmetic brandshop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5, 277-289. 

  24. Kim, J. W., & Kim, I. (2011). The effects of VMD and instore experience of brand flagship stores on brand attitude and intent of purch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1(4), 25-39. 

  25. Kim, M. Y., & Moon, J. M.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expression for brand identity in space - Focus on flagship stores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32, 413-422. 

  26. Kim, N. (2015, January 22). "라이프스타일숍, 차별화가 관건" ["Lifestyle shop, Differentiation is the key"]. Kukinews. Retrieved October 31, 2015, from http://news.kukinews.com/news/article.html?no241921 

  27. Kim, S. J. (2015, January 23). 라이프스타일숍은 왜 블루오션으로 떠오를까 [Why lifestyle shop comes up with blue ocean]. Business Post. Retrieved October 31, 2015, from 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69 

  28. Kim, S. J., Lee, K. J., & Park, D. H. (2015a). A study on the relations among experience elemen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he Chinese tourist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7(1), 1-19. 

  29. Kim, S. J., Lee, S. B., & Lee, H. H. (2015b). Investigating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 fashion brands' extended retail format-Focusing on lifestyle sho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151-168. 

  30. Kim, S. M. (2015, June 12). 유통가 '라이프스타일' 시장 선점 위해 격전 펼친다 [Distributors are competing for prior occupation of 'lifestyle' Market]. ChosunBiz. Retrieved October 31, 2015, from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6/12/2015061200860.html 

  31. Koh, E., & Choi, K. (2009). A study on a VMD of lifestyle shop applying experiential marketing - VMD case studies on IKEA, MUJI, and Kosne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0(6), 28-37. 

  32. Kotler, P. (2003). Marketing insights from A to Z: 80 Concepts every manager needs to know (1st ed.). Hoboken, NJ: Wiley. 

  33. Kuo, Y. F., Wu, C. M., & Deng, W. J. (2009).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intention in mobile value-added services. Computer in Human Behavior, 25(4), 887-896. doi:10.1016/j.chb.2009.03.003 

  34. Lee, B., & Lee, J. K. (2013). A study on low-priced cosmetics brand in space direction of applying the theory of marketing experience Pine & Gilmo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8(2), 49-58. 

  35. Lee, E. S. (2007). The impact of Biennale visitors' motivation on behavioral intention: Focusing on travel pattern of 2006 Pusan Biennale visitors.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1(3), 349-361. 

  36. Lee, E. S. (2008). The effect of exhibition venue's service environment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2006 Gwangju Biennale.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2(3), 71-85. 

  37. Lee, H. G., & Kwon, K. N. (2012). The causal model among experience value (4Es), perceived value, image and loyalty in urban beach resor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3), 251-261. 

  38. Lee, H. S., & Lim, J. H. (2011).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8.0/19.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19.0]. Seoul: Jyphyunjae. 

  39. Lee, J. A., Park, K. E., & Lee, S. B. (2015). The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service flagship store on brand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KJHT), 24(1), 1-22. 

  40. Lee, J. H. (2013). Influence of VMD components at a cosmetic store on the brand image and an intention of revisiting the store - Comparative study on masstige and mas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41. Lee, J. H., Oxk, J. W., & Park, H. H. (2008). The study on relationship of arousal, pleasure, and behavior intention from a store environment: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hopping value.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13(4), 21-46. 

  42. Lee, J. M., & Hwang, J. (2010).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the brand equity of low-priced cosmetics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8), 100-117. 

  43. Lee, K. B., & Lim, S. K. (2011). Creative communication for brand experiential marketing.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4(1), 193-198. 

  44. Lee, S. (2014, March 7). '라이프스타일 숍' 시대 활짝 열렸다 [Age of 'lifestyle shop' widely opened]. Fashion Insight. Retrieved October 25, 2015, from http://www.fi.co.kr/main/view.asp?SectionStrMarket&idx46267&NewsDate 

  45. Lee, S. E. (2015). Evolution of branding: Communicating brand identity through brand experienc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1), 169-176. 

  46. Lee, Y. J., Sa, Y. J., & Kim, K. S. (2015). A study on the formation elements of the identity in flagship store -Focused on the SPA brand-.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6(1), 479-490. 

  47. Mitchell, V. W., Davies, F., Moutinho, L., & Vassos, V. (1999). Using neural networks to understand service risk in the holiday produc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6(2), 167-180. doi:10.1016/S0148-2963(98)00020-4 

  48.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4), 460-469. doi:10.2307/3150499 

  49. Park, S. K., Park, J. H., & Cha, T. H. (2007). Effects of experience on enjoymen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Pine and Gilmore's Experience Economy Perspective. Advertising Research, (76), 55-78. 

  50. Pine II, B. J., & Gilmore, J. H. (1998).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97-105. 

  51. Reynolds, K. E., & Beatty, S. E. (1999). Customer benefits and company consequences of customer-salesperson relationships in retailing. Journal of Retailing, 75(1), 11-32. doi:10.1016/S0022-4359(99)80002-5 

  52. Shin, S., & Kim, D. H. (2010). A study on the experiential marketing effect on brand equity-Focus on brand ambassador for public rel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2), 242-251. 

  53. Son, E. J., Choi, J. G., Hwang, S. A., & Li, H. B. (2011). A study on the reward programs for unsatisfied hotel guests and its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trust, and revisiting intention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KJHT), 20(2), 137-155. 

  54. Son, I. K. (2003). Brand identity. Seoul: Kyungyoungjungsin. 

  55. Song, Y. (2015, May 15). [발언대] 커지는 라이프스타일 시장 [[Opinion column] Growing lifestyle market]. Sedaily. Retrieved November 10, 2015, from http://www.sedaily.com/NewsView/1HPGGDEX26 

  56. Yang, H., & Choi, E. J. (2014). The effect of shopping value on fashion shopping satisfaction and future behavioral intention in fashion social commer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3), 293-304. doi:10.5850/JKSCT.2014.38.3.293 

  57. Yi, Y. J., & Kim, W. C. (1998).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on service quality perception: A comparative study. Korea Marketing Review, 13(1), 61-86. 

  58. Yu, J. P.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Prof. Yu Jong Pil's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Academy. 

  59. 패션 라이프스타일숍으로의 진화 [The evolution of fashion lifestyle shop]. (2015, March 1). Fashion Channel. Retrieved October 31, 2015, from http://www.fashionchannel.co.kr/main09/news.php?tablepapernews&queryview&uid669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