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임부복 구매 실태
Survey of Maternity wear Purchasing Status in Pregnant Wome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4, 2016년, pp.489 - 497  

오희경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 파이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st appropriately develop maternity wear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specific age groups of pregnant women. The specific age groups were women in their twenties, early thirties, and late thirties.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Seou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고령 임산부 증가에 따른 임신과 출산과정을 안전하게 도와줄 수 있는 고령 임부복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특히 임산부를 연령군별로 나누어 각각의 감성에 적합하고 체형을 보조해 줄 수 있는 각 연령층별의 임부복 개발 특화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를 20대(21~29세), 30대 전반(30~34세), 30 대 후반(35~39세)의 연령층을 나누어 각 연령층별 임부복 착용 실태와 구매 선호도 차이를 살펴 연령층별 선호하는 임부복 개발 및 특히 증가하는 고령 위험군에 속하는 30대 후반의 고령 임산부를 배려하는 임부복 제작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계출산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076명으로까지 떨어진 것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하여 발표한 것이다(“Statistic Korea”, 2015; “The Korea Times”, 2011). 이에 정부는 2005년 9월에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법을 제정하고, 2006년 7월에는 제1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 계획인 ‘새로마지 플랜 2010’을 수립하는 등 출산장려정책을 본격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년 전국의 합계출산율은 1.
데이빗 콜먼이 말한 코리아 신드롬이란 무엇인가? 2006년 인구문제 전문가 데이빗 콜먼은 코리아 신드롬(Korea syndrome)이라 명명하며 한국은 저출산으로 지구상에서 가장 먼저 사라지는 최초의 나라가 될 것이라 하였다. 이는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Total Fertility Rate: TFR))이 1970년 4.
쾌적한 임부복의 착용은 어떻게 우울을 감소시키는가? 쾌적한 임부복의 착용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체형을 보조해 주며 신체적 변화가 정상적인 증상임을 이해하고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지각하면 임산부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자아 존중감이 높아져 우울이 낮아질 수 있다(Lee & Park, 2013). 더 나아가 기능성뿐만 아니라 긍정적 신체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신체 변화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자신감을 갖을 수 있다(Han,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H. R. (2011). Proposal for the design criteria of maternity support belts for pregnant women and the fe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oung Women's University, Seoul. 

  2. Choi, H. S., Kim, S. R., & Choi, J. H. (2000). A study on suitability of maternity dress on the market - Spring & summer cloth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5), 65-75. 

  3. Han, M. K. (2013). A study on satisfaction of maternity clothing according to female consumer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4. Han, S. H., Kim, D. H., & Seok, H. J. (2006). A study on the actual wearing condition and fit preference trend of maternity underwea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0(4), 45-54. 

  5. Higuchi, Y., & Chiba, K. (1991). The working wear for pregnant women. The Journal of Japan Ergonomics Society, 27(5), 253-259. 

  6. Jang, J. M. (2006). A study on parent efficacy and rearing knowledge of parents in pregna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Jang, E. C., Shon, E. S., Lim, H. T., Kim, K. J., Lee, H. H., & Choi, J. H. (2002). A clinical study in pregnant women over the age of 3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5(5), 816-822. 

  8. Kang, H. M. (2008). The developing design of the maternity dress by the alteration of the form and the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9. Kim, D. S. (2011). 고령 임산부의 임신 결과 및 정책 지원 방안 [Policy support for pregnancy outcome of older pregnant women]. Gender Review, 22, 85-88. 

  10. Kim, J. O. (2014). 고위험 임산부 지원사업 [High-risk pregnant women support project].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KDI Public Investment Management Center]. Retrieved August 25, 2014, from https://www.kdi.re.kr/research/subjects_view.jsp?pub_no13962 

  11. Kim, M. O., Shu, M. A., & Lee, Y. H. (2010). Development of maternity wear trousers with improved body fi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5), 715-725. 

  12. Kim, Y. H., & Cho, O. H. (2012). Factors influencing fatigue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ity Child Health, 16(1), 80-88. 

  13. Kioka, E., & Mori, Y. (1994). Basic study on designing maternity wear corresponding to change of body form in the later stage of pregnancy (part 2) - Experimental study on suitability of maternity dress -. The Journal of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45(2), 147-155. 

  14. Kwon, H. S. (1997). A pract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ernity wear design for working women: Focused on fashion leadership and clothing behavior. The Journal of Design, 5, 69-90. 

  15. Lee, E. J., & Park, J. S. (2013).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8), 3897-3906. doi:10.5762/KAIS.2013.14.8.3897 

  16. Lee, E. Y. (1994) 임부복 구매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직업 여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maternity purchasing behavior - Focused career woman-] Journal of Graduate School Research Paper, 209-256. 

  17. Lee, K. H. (1990). A study on the functions of maternity gird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Lee, S. Y. (2014). Policy challenges for pregnancy after the age of 35 year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13, 24-35. 

  19. Lee, Y. S., & Yang, K. S. (2012). A study on pregnant women's preference for design development of natural dyed maternity dresses - Focusing o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1), 61-67 

  20. Mori, Y., & Koika, E. (1994). Basic study on designing maternity wear corresponding to change of body form in the later stage of pregnancy (Part 1) - Characteristics of body form in the later stage of pregnancy -. The Journal of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45(2), 137-146. 

  21. Na, M. H., Oh, H. S., & Lee, Y. S. (1994). A longitudinal study on the body form of pregnant women for garment desig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5), 628-636. 

  22. Okabe, K., & Sugimoto, H. (2007). A study on how to design comfortable maternity trousers which adjust to body changes during pregnancy. The Journal of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8(12), 763-770. 

  23. Park, H. S. (2008). A development of design for fashion oriented maternity wea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24. Park, H. S. (2010). A study on maternity fashion in a changing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4), 30-44. 

  25. Park, Y. H. (2003). A study on the realities of purchasing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maternity dress on the mark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7(4), 67-77. 

  26. Statistics Korea. (2015). 2015년 출생 통계(확정) [2015 Birth Statistics(confirmed)]. Statistics Korea. Retrieved August 25, 2014,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5736 

  27. Shinozaki, A. (1991). Maternity foundation. The Journal of Japan Ergonomics Society, 27(5), 261-267. 

  28. The Korea Times. (2011). 코리아 신드롬과 한국정치 [Korea syndrome and Korean politics]. The Korea Times. Retrieved June 13, 2011, from http://www.koreatimes.com/article/667247 

  29. Wang, M. J., Lim, S. W., Jun, S. H., & Cha, N. H. (2009). A study on characteristic factors related to low back pain and mental health of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3), 381-3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