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
Factors on the Economic Burden of Middle Age Householder Supporting the Fami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555 - 563  

김혜선 (신구대학교 사회복지전공) ,  박효진 (협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 사회의 중 장년층의 고용환경은 안정적이지 않다. 그에 더하여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들은 본인의 노후준비도 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큰 세대이다. 이 과정에서 불안정한 고용환경에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는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노후준비에 소홀하게 되고, 향후 노인빈곤층으로 유입될 우려가 높아진다.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빈곤층의 증가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사회구성원 전체에게 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40대-60대 중 장년기 가구주 중 노부모와 자녀의 경제적 부양을 동시에 하고 있는 사람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미취업, 주거자가보유, 취업가구원수, 원소득, 가족관계만족도의 요인들이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경감을 위해서는 교육정책, 사회보장 및 소득재분배정책, 고용정책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conomic burden of middle age householders supporting their family. They could not prepare for their later life because they are supporting their parents and children in their unstable employment.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crease the burden of middle age householders. U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중ㆍ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 부담은 노부모와 자녀를 모두 포함하는 이중적 특성이 있고, 노후준비나 경제적 부양 부담 역시 개인적 차원보다 가구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이러한 요인을 동시에 살펴보는 것이 의미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부모 및 자녀를 부양하는 중ㆍ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부모 및 자녀를 부양하는 중ㆍ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중ㆍ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구특성, 가족관계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향후 각 변수들과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추가 연구가 진행된다면 실제로 정책수립을 하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부모의 경제적 부양부담과 가족갈등은 어떤 관계인가 노부모 부양부담은 중년 여성들의 부부관계 및 삶의 만족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19, 25], 노부모의 경제적 부양부담과 가족갈등은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26].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비추어볼 때, 한 가구의 경제적 부양부담은 특정 가족구성원의 문제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문제이므로 경제적 부양부담과 가족관계특성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한 가구의 경제적 부양부담이 주는 영향은? 노부모 부양부담은 중년 여성들의 부부관계 및 삶의 만족 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며[19, 25], 노부모의 경제적 부양부담과 가족갈등은 정적 상관관계에 있다[26].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비추어볼 때, 한 가구의 경제적 부양부담은 특정 가족구성원의 문제로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전체의 문제이므로 경제적 부양부담과 가족관계특성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겠다.
국민생활실태조사의 소득자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복지패널은 2006년 국민생활실태조사의 소득자료를 기준으로 7,072가구를 표본을 선정하여 2016년 1월 현재 10차 조사까지 진행되었으며 9차 데이터까지 공개되어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한국복지패널은 일반적인 사항 외에도 가구의 생활비․재산․소득․부채․주거 등의 경제적 요인 및 경제활동상태, 건강상태, 가족관계, 생활실태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본 연구의 목적인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정도 및 영향요인을 살펴보는데 적합한 데이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9차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OECD, Society at a Glance 2014 : OECD Social Indicators, 2014. 

  2. J. M. Kim, K. W. Um, "A Study on economic preparation for the elderly life of baby-boomers focused on families'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16, No. 4, pp.197-221, 2014. 

  3. W. S. Choi, J. S. Lee,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for work plan of female babyboom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4, No. 1, pp.299-327. 2014.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4.34.1.299 

  4. S. M. Kim, S. K. Koh, "Intergenerational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in the middle-aged",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6, No. 2, pp. 59-76, 2012. 

  5. H. S. Jeon, M. Y. Kim, "The Relationships of the Caregiving Awareness, Caregiving Appraisal for Middle-aged and Senescent Life Plan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2, No. 2, pp. 206-231, 2012.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2.32.2.206 

  6. H. J. Kho, S. H. Jung, "A Study on the typology of Korean retirees by wsing the method of mixture model", Consumtion Culture Study, Vol. 16, No. 1, pp. 61-88, 2013. 

  7. J. K. Kim, "Economic Burden of Support by the Baby Boom Generation", Monthly Labor Review, Vol. 63, pp. 21-36, 2010. 

  8. Y. M. Jang, Y. L. Hur, M. S. Jung, "A study on the Wellness Change of Life in the Baby Boom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3, pp. 215-220,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3.215 

  9. J. Y. Park, B. J. Kim,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and cost of private tutoring for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21, No. 1, pp. 285-308, 2012.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11. Statistics Korea, 2015. 

  12. S. D. Chung, H. H. Le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A comparison of babyboomers and the pre-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58, pp. 209-231, 2012. 

  13. K. H. Jeong, S. Y. Park, "The effects of family care giving-burden on middle-aged people's preparation for old age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3, pp. 115-147, 2014. 

  14. OECD, "Pension at a Glance 2015", 2015. 

  15. B. S. Kim, "A poverty of the older workers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income replacement rate of pension", Monthly Labor Review, Vol. 120, pp. 100-102, 2015. 

  16. S. J. Lim, S. Y. Auh, "The influences from the retirement provision in terms of financial, relational, and residential aspect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 aged Korean",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Vol. 20, No. 3, pp. 45-64, 2015. 

  17. Y. B. Kim, S. H. Lee, "The Depressive Symptom and Poverty in Later Life :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verty and Informal Social Relationship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2, pp. 401-411,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2.401 

  18. Y. B. Kim, J. S. Park, "The Family Network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 24. No. 1, pp. 169-185, 2004.. 

  19. S. G. Lee, "Factors Affecting Baby Boomer's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73-86,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73 

  20. S. C. Ha,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of income transfer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Focusing on parents as beneficiaries and children as providers", Family and Culture, Vol. 24, No. 2, pp. 101-136, 2012. 

  21. S. K. Koh, "Intergenerational Resource Transfers in the Middle and the Early Old Aged : An Effect of Financial Resources",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5, No. 1, pp. 157-175. 2011. 

  22. S. D. Chung, Y. S. Kim, " Factors Influencing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Baby-boomers and the Pre-elderly: Focused on Sex Role Perception and Caregiving Burd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 18. No. 4, pp. 181-197, 2014.. 

  23. N. I. Sung, S. W. Hong, "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Household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Vol. 10. No. 3, pp. 183-212, 2009. 

  24. J. S. Jung, H. H. Kim, "Analysis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18. No. 3, pp. 89-122, 2009. 

  25. Y. J. Kim, J. A. Kim, H. S. Ka,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Married Adult Children of Kore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 563-570,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0.563 

  26. Y. J. Park, I. U. Song,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the burden of family conflict, family support and caregiving burde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39. pp. 53-7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