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Family Caregiver Burde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Resourc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3, 2019년, pp.133 - 148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resources on family caregiver burden as it in tur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rking mother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cruited 325 married employed mothers age 40-50 years who live in Seou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일직선상에서 파악하여 생활 전반에 느끼는 정서적·인지적 차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기 취업여성의 심리적 복지감 증진에 필요한 가족정책 및 서비스 방안의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연령, 학력, 건강, 월 소득, 직업유형을 통제변인으로 하여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다.
  • 따라서 중년기 취업모를 중심으로 가족부양부담과 심리적복지감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원의 완충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는 그 시사점이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지지 자원이 중년기취업모의 부양부담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를 완충하는 긍정적 자원으로 기능하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가족부양부담의 문제를 노인부양의 문제나 미취학자녀의 양육을 분리하여 다룬 기존연구들에서 나아가 중년기에 경험하는 가족부양부담의 문제를 노인부양부담과 자녀부양부담의 이중구조를 함께 살펴보고자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취업모들이 경험하는 가족부양부담이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과 심리적 복지 감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규명해봄으로써 중년기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감 증진에 유용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족지지 자원이 중년기취업모의 부양부담과 심리적 복지감의 관계를 완충하는 긍정적 자원으로 기능하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특히 가족부양부담의 문제를 노인부양의 문제나 미취학자녀의 양육을 분리하여 다룬 기존연구들에서 나아가 중년기에 경험하는 가족부양부담의 문제를 노인부양부담과 자녀부양부담의 이중구조를 함께 살펴보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양을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설명하시오 김유경(2016)은 부양을 피부양자의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측면의 욕구충족을 위한 자원제공과 지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대처를 통해 욕구를 충족시키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부양은 또한 그 범위에 따라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되는데(김윤정, 1999),부양에 대한 협의의 개념은 인간이 어떻게 생활을 유지해가며 생존을 보장받고 있는가와 같은 일상적인 평범한 문제로 보는 것이며, 부양에 대한 광의의 개념은 유년, 노령, 실업과 같은 자연적 또는 사회적 원인으로 자기 자신의 능력만으로는 생활을 유지해나갈 수 없는 사람을 어떻게 보조, 보호하여야 하는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로 보았다. Seltzer & Wailing(1996)는 부양은 보통 ʻ노인ʼ의 지원과 관련된 개념이고 양육은 ʻ자녀의 성장과 발달의 지원과 관련된 개념으로 규정하였다.
기혼취업모의 상당수가 자녀의 양육과 노인 부양으로 인해 직업생활을 중단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무엇으로 판단되는가? 통계청(2018)발표에 따르면, 비취업여성 가운데 결혼과 임신, 자녀출산과 교육 등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단절여성은 184만7천명으로 보고되어 기혼취업모의 상당수가 자녀의 양육과 노인 부양으로 인해 직업생활을 중단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여전히 한국사회의 가족 부양의 책임이 여성의 몫으로 강조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본다. 전통사회에서 부양은 가족주의적 가족관의 영향으로 당연히 가족의 과업으로 이해되었지만 전통적 가족주의가 점차 개인주의, 평등주의, 합리주의 등의 근대적 가치와 함께 혼재됨에 따라 가족의 부양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가족지지란? 즉,가족은 구성원의 심리적 요구 충족과 성격유지, 안정화를 이루는 기능을 충족시켜 줌으로써 그 구성원들이 건강한 발달이나 성장을 지지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한다(Friedman, 1991). 또한, 가족지지는 최상의 지지체계로 역할 상실과 기능감퇴에 대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완충역할을 담당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들의 삶을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유지,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김귀분·조성은·이윤정, 2012;서희숙·정인숙, 2010). 또한 가족지지란 가족체계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돌봄, 사랑, 존중, 도움주기, 정보제공 등의 교환이라는 기능을 의미한다(Cobb,1976). 사회적지지 주요체계로 가족, 친구, 지역사회가 있는데 이 중 가장 자주 언급되고 있는 것이 가족이며 결국 중요한 사회적지지는 가족지지라 할 수 있다(유양경, 2004; Weeks & Cuellar,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3)

  1. 강기연(2001).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란혜(2008). 일본의 중년기 여성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1), 127-150. 

  3. 고은비(2016).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4. 권기갑.이재모(2009).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4, 1-19. 

  5.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6. 김경민.한경혜(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7. 김경신(2015). 가정관리학 관점에서의 가족교육현황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11), 3-34. 

  8. 김귀분.조성은.이윤정(2012). 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2(2), 487-499. 

  9. 김금운.윤가현(1998). 중년기 직장여성의 다중역할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3(1), 88-102. 

  10. 김미영(2013).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및 탄력성의 구조방정식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미혜.신경림.강미선.강인(2006). 고령화 한국사회의 부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별 부양체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노년학, 26(3), 617-639. 

  12. 김수정(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향상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영숙.최규련(2006). 중년기 여성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173-199 

  14. 김영철.정향균.이시형(1989). 일반 성인에서의 생활 스트레스가 정신증상 및 신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8, 282-291. 

  15. 김유경(2016). 부양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부양 특성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5), 62-79. 

  16. 김유경.이진숙.손서희.조성호.박신아(2018).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17. 김유정.안정신(2011).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노년학, 31(3), 445-461. 

  18. 김윤정(1999). 대학생의 노인부양 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지민(2018). 맞벌이 남성과 여성의 배우자 지지 및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일-가정 향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지현(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혜선.박효진(2016).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7), 555-563. 

  22. 김혜신.김경신(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 갈등과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17-131. 

  23. 박순미.손지아.배성우(2009).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3), 1-24. 

  24.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21-139. 

  26. 보건복지부(2019). 소득하위 20% 134만 5000명에 기초연금 30만 원 지급. 보도자료, 2019.4.25 

  27. 서희숙.정인숙(2010).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12(1), 1-9. 

  28. 손서희(2004). 기혼자녀와 부모간의 친밀감에 따른 부양행동 및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송경미(2016).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송다영(2004).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07-233. 

  31. 신화용.조병은(2001).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1), 39-51. 

  32. 심세연(2016). 근로자의 직장-가정 전이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심현정.정나라(2018). 5가지 키워드로 본 5060세대의 가족과 삶. 2018 미래에셋 은퇴라이프 트렌드 조사 보고서. 서울: 미래에셋은퇴연구소. 

  34. 오연례(2016). 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유양경(2004). 재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2), 297-306. 

  36. 이동호(2010).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1), 93-108. 

  37. 이선아(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인정(2001). 노인간병가족의 부담요인 및 부담완화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와 실천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6, 319-348. 

  39. 이윤경(2018).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259, 77-89. 

  40. 이혜경(2009).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46(겨울). 315-336. 

  41. 이희정(2009), 취업모의 삶의 질에 관한 변인 탐색 : 전문직과 사무직 집단의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 65-88. 

  42. 장영은(1998). 방과후 보호형태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과 취업모의 양육 부담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장윤옥.정서린(2016).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부정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직업관련 변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2), 65-83. 

  44. 정규형(2013).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이 개인의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정지연(2008).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정창수(2009).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조복희.정민자.김양은(200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 89-109. 

  48. 조상희(2011), 노인의 여가활동이 사회적 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0.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생산직과 사무직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2), 145-158. 

  51. 주상애(2006). 노인부양 스트레스가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최인영.최혜경(2009).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81-109. 

  53. 통계청(2018). 2018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경력단절여성 현황, 대전:통계청 

  54. 통계청 (2019). 2018 사회조사, 대전: 통계청. 

  55. 황혜원(2012). 어린자녀를 둔 저소득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47-64. 

  56. Bengtson, V. L., Rosenthal, C., & Burton, L. (1990). Families and aging: Diversity and heterogeneity.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3, 263-287. 

  57. Bryant, F. B., & Veroff, J. (1982). The struct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log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653-673. 

  58. Campbell, A.(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59. Cantor, M. H.(1983).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The Gerontologist, 23, 597-604. 

  60.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61.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 

  62. George, L. K., & Gwyther, L. P. (1986). Caregiver weil-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 26(3), 253-259. 

  63. Ellison C.G, (1991). Religious invol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1, Mar; 32(1): 80-99. 

  64. Friedman, J. H. (1991).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The annals of statistics, 19(1), 1-67. 

  65. Hampe, S. O. (1975). Needs of the grieving spouse in a hospital setting. Nursing Research, 24(2), 113-120. 

  66. Holahan, C. J., & Moos, R. H. (1990). Life stressors, resistance factors, and improved psychological functioning: An extension of the stress resistan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909. 

  67. Hollen, P. (1981). A holistic model of individual and family health based on a continuum of choi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4), 27-42. 

  68. Koropeckyj-Cox, T.(2002). Beyond parental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and old 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57-971. 

  69. Park. J., & Liao, F. T. (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s change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89. 

  70. Pearlin, L. I., Mullan, J. T., Semple, S. J., & Skaff, M. M. (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71. Seltzer, M. M., & Wailing, L. L. (1996). The transitions of caregiving: Subjective and objective definitions. The Gerontologist, 36(5), 614-626. 

  72. Spitze, G. (1988). Women's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5-618. 

  73. Weeks, J. R., & Cuellar, J. B. (1981). The role of family members in the helping networks of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21(4), 388-3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