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Examining depressive symptoms of visually impaired adul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666 - 676  

김혜미 (인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적 시각장애인에 대한 우울 실태와 이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실태조사 2014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출생 1년 이후부터 시각장애를 가지게 된 20~60세 사이의 성인이며 최종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 수는 235명이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실시 결과,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약 20%가 우울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 경험을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 성별, 결혼여부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흡연여부,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 주관적 건강상태가 유의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장애관련 요인으로는 장애기간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준이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종합적으로 본 결과는 국내 거주하는 후천적 성인 시각장애인의 많은 수가 우울과 같은 심리적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예방 및 개입 방안 마련이 시급함을 알려준다. 아직까지 장애인 복지 및 장애인 대상 서비스 분야에서 이들에 대한 관심 및 서비스 마련이 미흡한만큼 추후 중도에 실명 혹은 시각손실을 경험하게 된 장애인에 대한 제도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pressive symptoms of individuals who became visually impaired and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ymptom.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2014 was used.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years w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각장애인 중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시급한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이들의 정신건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생 이후 실명 혹은 시력손실을 경험한 성인기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 경험을 파악하고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지원 마련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직까지 조명되지 못한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급격한 사회변화가 가져오는 위험 요소와 환경문제 증가로 인해 장애출현율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장애인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 본 연구는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2차 분석연구이다. 장애인실태조사는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시행령에 근거한 조사로 한국의 장애인구, 장애출현율 파악과 장애인의 기본 생활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는 연구이며 1980년도부터 시작하여 매 3~5년의 주기로 실행되는 전국적 조사이다.
  • 또한 후천적 시각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우울 경험과 이와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후천적 시각장애인이 날로 증가하는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이들의 심리적 기능과 관련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보건 및 복지 지원체계 마련에 필요한 근거자료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실태조사란? 본 연구는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우울증상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 2차 분석연구이다. 장애인실태조사는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복지법시행령에 근거한 조사로 한국의 장애인구, 장애출현율 파악과 장애인의 기본 생활 실태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는 연구이며 1980년도부터 시작하여 매 3~5년의 주기로 실행되는 전국적 조사이다. 2014년 실태조사는 2011년에 이은 9차 조사로 200개의 지역 내 거주하는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중 총 38,560가구 내 6,824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가 완료되었다(완료율 79.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에 더 취약하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특히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경우 장애에 대한 충격과 불안, 이전 삶에 대한 그리움과 현재 삶에 대한 분노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시각경험이 없는 선천성 시각장애인과 달리 장애 이전의 시각적 삶에 익숙하기 때문에 촉각 및 청각 등 다른 감각기관에 의존해서 일상을 영위해야 하는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해 거부반응을 보이고, 이는 종종 사회적 기능 및 대인관계의 단절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가 많다[6]. 결과적으로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에 더 취약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2014년 등록된 장애인 수와 그 중 후천적 장애인의 비율은? 장애는 크게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선천적 장애와 각종 사고 및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후천적 장애로 구분되고 있는데 실제 장애인의 대다수는 후천적 장애인으로 구분되고 있다[1]. 우리나라에 2014년 등록된 장애인 수는 2,706,910명이며 사고 및 질병으로 인해 후천적으로 장애를 얻게 된 장애인은 이 중 88.9%로 나타나고 있다[1]. 특히 출생 이후 질병, 유전 혹은 사고 등의 이유로 실명하거나 시력이 손실된 후천적 시각장애인은 2005년 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H. Kim et al., "A national report on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 Y. C. Byun et al. "A national report on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3. S. H. Kim et al., "A national report on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4. K. J. Lee, "Observing the process of newly blinded person's reconstruction of self identity through life history method and research on the issue", Korea journal of 21th Century Social Welfare, 6, 45-72, 2009. 

  5. P. Stanford., H. A. Waterman., W. B. Russell, R. E. Harper, "Living with age related muscular degeneration",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27, 2, 129-146. DOI: http://dx.doi.org/10.1177/0264619609102216 

  6. B. K. Kim,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employment needs of persons with severe visual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2004. 

  7. E. M. Kim,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efficiency of sight-losing people and it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2005.. 

  8. K. T. Park, "A study on desire for employment and a proper job of the persons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2008. 

  9. N. H. Song, "A phenomenological study on lived experiences of persons afflicted with midlife visual impai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10. W. J., Kang, K. S., Park, "The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2, 146-179, 2011.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1.31.2.146 

  11. S. Kim et al.,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retinitis pigmentosa",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90, 5, 1-6, 2013. DOI: http://dx.doi.org/10.1097/OPX.0b013e31828dee0a 

  12. J. W. Shim, S. H. Han, "Preventive health examination, health behavior, and psychological health in visu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Ophthamology Society, 52, 12, 1870-1878, 2012. DOI: http://dx.doi.org/10.3341/jkos.2012.53.12.1870 

  13. G. E. Cho et al., "Visual impairment of Korean population: Prevalence and impact on mental health",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56, 8, 4375-4381, 2015. 

  14. T., Lupsakko, M. Mantyjarvi, H., Kautiainen, R. Sulkava, "Combined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a population aged 75 years and older",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 808-813, 2002. DOI: http://dx.doi.org/10.1002/gps.689 

  15. J. Bookwala, B. Lawson, "Poor visio, functioning, and depressive symptoms: A test of the activity restriction model", The Gerontologist, 51, 6, 798-808, 2011. DOI: http://dx.doi.org/10.1093/geront/gnr051 

  16. S. R. Nyman, M. A. Gosney, C. R. Victor, "Psychosocial impact of visual impairment in working-age adults",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94, 1427-1431, 2010. DOI: http://dx.doi.org/10.1136/bjo.2009.164814 

  17. B. E. Kim et al.,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6, 1, 473-496, 2016. 

  18. D. S. Davis, "Lifestyle risks for three disease outcomes in spinal cord injur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4, 314-342, 2002. DOI: http://dx.doi.org/10.1191/0269215502cr443oa 

  19. Bae. K. H, O. N. Kim, "Drinking behavior of adult mentally retarded persons-variables associated with gender, age, and the pattern of employ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5, 88-102, 2003. 

  20. H. J. Lee, S. K. Kah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ors, psychosocial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33, 193-217, 2009. 

  21. Y. Kw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depending on types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and psychological diso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on-Sei University, 2014. 

  22. J. H. Jeon, "Stud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35, 8, 51-80, 2010. 

  23.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P],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2013. 

  24. J. H. Le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r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s, 32, 1, 23-32, 2015. 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15.32.1.23 

  25. B. K., Kwon, H. S. Park,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of female adults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1,169-192, 2005. 

  26. J J. Kim, "A study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KSATO, 3, 65-7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