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389 - 396  

김현주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help improve day care qualitatively to offer base data for applying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improve th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teacher's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n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this, we examined teacher's recog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운영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의 변인(경력, 학력, 교육참여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둔다.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운영실태를 알아보고, 교사의 변인(경력, 학력, 교육 참여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을 통한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국가수준의 보육과정 개발과 개선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 국가의 보육과정은 그 나라 보육의 방향을 규정하고, 미래의 국가경쟁력인 능력 있는 민주시민 양성의 초석이 되기 때문에 선진국들은 국가수준의 보육과정 개발과 개선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15].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에 「영유아보육법 시행규칙」 제 30조와 관련하여 표준보육과정을 개발, 고시한 바 있으며 2013년 1월 21일에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이 고시되었다.
우리나라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0∼5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집에서 운영해야 할 보편적 보육내용을 문서로 제시한 것으로, 영유아의 연령 및 발달수준에 적합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어린이집 영유아의 보육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가수준의 보육과정이다. 따라서 어린이집에서는 국가수준의 보육과정에 의거하여 각 어린이집의 실정, 영유아의 실태, 영유아의 환경, 보육교직원의 실태 등을 감안하여 어린이집 보육과정을 편성·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는 각 어린이집의 보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사 수준의 보육과정을 편성·운영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ng, Hyun Mi, & Hwang, Hae Ik, "A Preliminary Study into the Infant Observation Scal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Korea Journal of child studies, vol. 32, no. 5, pp. 167-183, 2011. DOI: http://dx.doi.org/10.5723/KJCS.2011.32.5.167 

  2. Kim, Sun Kyu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andard Edu-care Course and the New(7th) Kindergarten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2009. 

  3. Kim, Su Yeon,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mended in 2013 has reflected on the site and to look into childcare teachers' interests, understanding level, its operation condition, participation rates of the related education or training and their requirement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unsan University, 2014. 

  4. Kim, Suk Ja, & Kim, Hee Kyung, "Analysis of Economic Concepts Presented in the Childcare progra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3, no 6, pp. 367-389, 2009. 

  5. Kim, Suk Ja, & Kim, Yun Yi, "Analysis of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hildcare Progra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5(3), 441-457, 2011. 

  6. Kim, Suk Hee, "A Qualitative Study on the Field Operation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6th Kindergarten Curriculum" : Focused on the Free Pla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Young nam University, 2002. 

  7. Kim, Woo Yong, "(A)Study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n the Revision of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2007",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am University, 2010. 

  8. Park, So Young,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tate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Levels of Child Care Centers according to National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9, no. 2, pp. 71-85, 2010. 

  9. Park, Jong Mi, "A study on the practice level and barriers of the infant under 2 years child care teachers for Standard Childcare cours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11. 

  10. Park, Ji Hyun,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and Managemen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hid welfare graduate school of Gyengnam National University, 2011. 

  11. Byun, Sun Ju, Kim, Suk Ja, Kim, Hyun Jung, & Jung, Mi Hyun, "Analysis of Child"s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in Child -Care Progra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7, no. 2, pp. 471-494, 2013. 

  12. Park, Hye Yong, "Nurse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3rd Standard Chuldcare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umoh National Institute Technology, 2014. 

  13. Ministry of health & weltare,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2013. 

  14. Son, Ji Yeon, "A survey on Nuri Curriculum operating state for 3-5 year old children in childcare center",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2014. 

  1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Seoul, 2005-26. 

  16.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of education program, Seoul, 2007. 

  17. Yun, Jong Hee, "necessary on-site day care environment and the professional commitment of day care teach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kmin University, 2011. 

  18. Yeom, Ji Sook. "Kindergarten Teacher as an Initiato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5. no. 6, pp.295-31, 2011. 

  19. Lee, Dong Ryul,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and management of Standard child care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yungwoon National University, 2009. 

  20. Lee, Soon Ja, "The study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field problems occurring during manag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4, pp. 1-21, 2003. 

  21. Lee, Jung Wuk, & Park, Jin Lee, "An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NURI, for ages 3-5 in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3, no. 6, pp. 339-365, 2013.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3.33.6.015 

  22. Lee, Han Eun,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performance degree",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omen's University, 2008. 

  23. Lee, Hyun Ju, "Comparison Study of Kindergarten Curriculum and Child care center Standard Childcare cou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angwon University, 2012. 

  24. Lee, Hoon Hi, "Ouklook of daycare teachers o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hildcare centers and the state of curriculum managemen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08. 

  25. Lee, Eun Sil,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bia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of a multi-cultural childcare progra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nal University, 2011. 

  26. Lee, Hee Kyung, & Lee, Kun Hee,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s for Kindergarten Curriculum Management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7, no. 1, pp. 195-224, 2013. 

  27. Lim, Seon Mi, "The Actual State of the Use of the National Standard Educare Curriculum by Child Care 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and their Requests for Support",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yeongnam University, 2010. 

  28. Jung, Su Mi, "Percept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cusing on the child care teachers for 3-5 year-old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yeongwon University, 2009. 

  29. Jung, Ul Soon, "Percept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cusing on the child care teach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Aju University, 2009. 

  30. Jo, Hee Ja, "Childcare Teachers'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n the Standard Chidcare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wangju University, 2011. 

  31. Ju, Hyun Mi,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s adout the Third Standard Child Care Center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Gongju University, 2014. 

  32. Han, Su Yean,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childcare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test of its effect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Uiduk University, 2011. 

  33. Ham, Hyun, "An analysis of child-care teachers' understanding & practices of the national chil-care curriculum",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09. 

  34. Hwang, Hye Kyung, "A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standard childcare course by childcare teach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hild welfare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