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업의 개방형 혁신이 혁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외부 지식 탐색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pen Innovation on Innovation Productivity: Focusing on External Knowledge Search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17 no.1, 2016년, pp.49 - 72  

이종선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  박지훈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  배종태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ant research on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is limited in measuring the innovation productivity, in which they measured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by using either inputs or outputs of innovation. The present study complemented the extant research by emplo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기존 문헌에서 기업의 혁신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제시하고 있는 바 (Chesbrough, 2003), 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이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EA를 활용하여 기업의 혁신 생산성을 보다 엄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이 가졌던 혁신 생산성 측정의 한계를 보완하고, 혁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 중 하나인 개방형 혁신―외부 지식 탐색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기여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경영자의 외부 지식 탐색활동 의사결정 및 정책입안자의 관련 지원 정책 수립에도 함의를 주므로 실무적·정책적으로도 기여한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DEA를 활용하여 기존 연구들이 가진 혁신 생산성 측정의 한계를 보완하고 혁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인 개방형 혁신―외부 지식 탐색활동―이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활동을 그 폭과 깊이로 구분하여 각각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외부 지식 탐색활동의 ‘깊이’가 혁신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활동 중에서도 기업이 여러 지식을 조합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 내는 문제 해결 활동으로서의 외부 지식 탐색활동에 집중하고자 한다 (search for new products; Katila & Ahuja, 2002).
  • 이에 본 연구는 DEA를 활용한 혁신 생산성 측정을 통해 기존 연구들이 가진 혁신 생산성 측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한다. 더불어 기존 문헌에서 기업의 혁신 생산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제시하고 있는 바 (Chesbrough, 2003), 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이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혁신은 현 시대와 같이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의 기업의 성장과 생존을 위해 그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개별 기업의 산업 내 혁신 생산성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 요인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혁신을 생산성 혹은 효율성 측면에서 접근하고 이러한 혁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선행 요인을 밝히는 연구가 더욱 활발해 지기를 기대해 본다.
  •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기업의 외부 지식 탐색활동을 그 ‘폭’과 ‘깊이’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에 따라 기업의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다른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특히, 시장 중심의 탐색은 모방에 가까운 혁신, 과학 중심적 탐색은 시장 최초 혁신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외부 지식 원천에 따른 기업의 탐색활동이 혁신 생산성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 따라 혁신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식 원천들을 크게 ‘시장 중심적 탐색 (marketdriven search)’과 ‘과학 중심적 탐색(science-driven search)’으로 분류하여 각각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 걸친 ‘R&D 패러독스’ 상황을 고려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통해 기업의 개방형 혁신의 일환인 ‘외부 지식 탐색활동(external knowledge search)’이 기업의 혁신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1: 기업의 외부 지식에 대한 탐색의 폭은 혁신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음으로 ‘탐색의 깊이’란 ‘기업이 서로 다른 외부 지식원으로부터 지식을 얼마나 심도 있게 탐색하는지’를 의미하며 (Laursen and Salter, 2006: 134), 탐색의 폭과 마찬가지로 기업의 보다 심도 있는 탐색활동도 기업의 혁신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2: 외부 지식에 대한 탐색의 깊이는 혁신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시장 중심적 탐색은 혁신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과학 중심적 탐색은 혁신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시장 중심적 탐색은 과학 중심적 탐색이 혁신 생산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것이다.
  • <표 4>의 모델 2에서 4는 탐색의 폭(search breadth)과 탐색의 깊이(search depth)를 포함한 분석 결과이다. 모델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탐색의 폭은 혁신 생산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은 바 탐색의 폭이 혁신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 1은 지지되지 않았다. 반면 탐색의 깊이는 혁신 생산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 <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D 패러독스란 무엇인가? 1배)에 비해 현저 하게 낮은 수준이다 (정민, 2015). 이를 종합하여 보면 현재 우리나라는 산업 전반에 걸쳐 R&D 투자규모는 크나 그에 상응하는 성과는 거두지 못하는 이른바 ‘R&D 패러독스’에 빠져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산업 전반에 걸쳐 낮은 수준의 R&D 효율성을 개선할 해결책 중 하나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확대가 제시되고 있다 (오준범·주원, 2015).
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이 혁신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Chesbrough (2003)는 이러한 기업 혁신활동의 변화를 ‘개방형 혁신 (open innovation)’이라 명명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업이 혁신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외부 지식을 조달하여 활용하거나 자사의 지식을 외부 시장에 내 놓아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의 혁신활동을 일컫는다. 기업은 이러한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해 혁신활동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업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뿐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개방형 혁신활동 추세는 기업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업들이 각자 보유하고 있는 자원(i.e., 기술, 지식)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다 좋은 신제품 개발을 가능케 한다 (서리빈·윤 현덕, 2012; Chesbrough, 2003; Faems, De Visser, Andries, and Van Looy, 2010). 따라서 기업의 개방형 혁신활동은 혁신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의 개방형 혁신은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이러한 상황 가운데 산업 전반에 걸쳐 낮은 수준의 R&D 효율성을 개선할 해결책 중 하나로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확대가 제시되고 있다 (오준범·주원, 2015). 기업의 개방형 혁신은 혁신활동(R&D)에 투입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업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뿐 아니라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효과를 가져와 혁신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Chesbrough,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김영훈.김선근 (2011), 우리나라의 R&D 생산성 및 효율성 분석: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9권, 제1호, 1-27. 

  2. 김현호 (2007),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의 기술혁신활동 및 생산성 비교분석,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 서리빈.윤현덕 (2012), 개방형 혁신과 조직학습 특성이 벤처기업의 기술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제13권 제2호, 73-93. 

  4. 양지연.노태우 (2015), 중소기업의 개방형 탐색 전략과 혁신활동, 지식경영연구, 제16권, 제4호, 1-16. 

  5. 오준범.주원 (2015), Open R&D, 창조 경제를 담보한다, 현대경제연구원. 

  6. 정민 (2015), 한중일 상장기업 R&D투자 효율성 비교 - 한국기업 R&D투자의 질적 향상이 시급하다, 현대경제연구원. 

  7. Banker, R. D., A. Charnes, and W. W. Cooper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1078- 1092. 

  8. Beise-Zee, M. (2001), Lead Markets: Country-Specific Success Factors of the Global Diffusion of Innovations, Physica, Heidelberg. 

  9. Cassiman, B. and G. Valentini (forthcoming), Open Innovation: Are Inbound and Outbound Knowledge Flows Really Complementa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doi:10.10021smj:2375. 

  10. Charnes, A., W. W. Cooper, and E. Rhodes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429-444. 

  11. Chen, C.-M., M. A . Delmas, and M. B. Lieberman (2015), Production Frontier Methodologies and Efficiency as a Performance Measure in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6(1), 19-36. 

  12. Chesbrough, H. (2003),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13. Clausen, T., M. Pohjola, K. Sapprasert, and B. Verspagen (2012), Innovation Strategies as a Source of Persistent Innovatio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1(3), 553-585. 

  14. Cohen, W. M. and D. A. Levinthal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15. Cohen, W. M., R. R. Nelson, and J. P. Walsh (2002), Links and Impacts: The Influence of Public Research on Industrial R&D, Management Science, 48(1), 1-23. 

  16. Cruz-Cazares, C., C. Bayona-Saez, and T. Garcia-Marco (2013), You Can't Manage Right What You Can't Measure Well: Technological Innovation Efficiency, Research Policy, 42(6-7), 1239-1250. 

  17. Dussauge, P., B. Garrette, and W. Mitchell (2000), Learning from Competing Partners: Outcomes and Durations of Scale and Link Alliances in Europe, North America and Asia,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2), 99-126. 

  18. Eisenhardt, K. M. and B. N. Tabrizi (1995), Accelerating Adaptive Processes: Product Innovation in the Global Computer Industr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1), 84-110. 

  19. Ettlie, J. E. and S. R. Rosenthal (2011). Service versus Manufacturing Innovatio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8(2), 285-299. 

  20. Faems, D., B. Van Looy, and K. Debackere (2005),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Toward a Portfolio Approa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2(3), 238-250. 

  21. Faems, D., M. De Visser, P. Andries, and B. Van Looy (2010), Technology Alliance Portfolios and Financial Performance: Value-Enhancing and Cost-Increasing Effects of Open Innovatio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7(6), 785-796. 

  22. Fleming, L. and O. Sorenson (2001), Technology as a Complex Adaptive System: Evidence from Patent Data, Research Policy, 30(7), 1019-1039. 

  23. Frosch, R. A. (1996), The Customer for R&D Is Always Wrong!, Research Technology Management, 39(6), 22. 

  24. Fu, X. (2012), How Does Openness Affect the Importance of Incentives for Innovation?, Research Policy, 41(3), 512-523. 

  25. George, G., S. A. Zahra, and D. R. Wood (2002), The Effects of Business-University Alliances on Innovative Output and Financial Performance: A Study of Publicly Traded Biotech nology Companie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7(6), 577-609. 

  26. Grandstrand, O., E. Bohlin, C. Oskarsson, and N. Sjoberg (1992), External Technology Acquisition in Large Multi-Technology Corporations, R&D Management, 22(2), 111-134. 

  27. Hashimoto, A. and S. Haneda (2008), Measuring the Change in R&D Efficiency of the Japanese Pharmaceutical Industry, Research Policy, 37(10), 1829-1836. 

  28. Huber, G. (1991),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s, Organizational Science, 2(1), 88-115. 

  29. Josefy, M., S. Kuban, R. D. Ireland, and M. A. Hitt (2015), All Things Great and Small: Organizational Size, Boundaries of the Firm, and a Changing Environment, Academy of Management Annals, 9(1), 715-802. 

  30. Kohler, C., W. Sofka, and C. Grimpe (2012), Selective Search, Sectoral Patterns, and th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Performance, Research Policy, 41(8), 1344-1356. 

  31. Katila, R. and G. Ahuja (2002), Something Old, Something New: A Longitudinal Study of Search Behavior and New Product Introduc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6), 1183-1194. 

  32. Kennedy, P. (2003), A Guide to Econometrics(5th Edn), MIT Press, Cambridge, MA. 

  33. Laursen, K. and A. Salter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2), 131-150. 

  34. Laursen, K. and A. Salter, (2014), The Paradox of Openness: Appropriability, External Search and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43(5), 867-878. 

  35. Leiponen, A. and C. E. Helfat (2010), Innovation Objectives, Knowledge Sources, and the Benef its of Breadth,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1(2), 224-236. 

  36. Levinthal, D. and J. G. March (1981), A Model of Adaptive Organizational Search,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2(4), 307-333. 

  37. Link, A. N., D. S. Siegel, and B. Bozeman (2007),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Propensity of Academics to Engage in Informal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6(4), 641-655. 

  38. Love, J. H., S. Roper, and P. Vahter (2014), Learning from Openness: The Dynamics of Breadth in External Innovation Linkag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5(11), 1703-1716. 

  39. Lukas, B. and O. C. Ferrell (2000),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Journal of the Academy of Ma rket ing Science, 28(2), 239-247. 

  40. Lundvall, B. A. (1992),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Pinter, London. 

  41. Malerba, F. and L. Orsenigo (1993), Technological regimes and firm behavior,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2(1), 45-71. 

  42. Nelson, R. R. and S. G. Winter (1982), An Evolutionary Theory of Economic Chan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43. Papke, L. E. and J. M. Wooldridge (1996), Econometric Methods for Fractional Response Variables with an Application to 401(K) Plan Participation Rates, Journal of Applied Econometrics, 11(6), 619-632. 

  44. Pavitt, K. (2001), Public Policies to Support Basic Research: What Can the Rest of the World Learn from US Theory and Practice?(and What They Should Not Learn), Industrial and Corporate Change, 10(3), 761-779. 

  45. Porter, M. E. (1985), Competitive Advantage, Free Press, New york. 

  46. Schilling, M.A. and H. K. Steensma (2002), Disentangling the Theories of Firm Boundaries: A Path Model and Empirical Test, Organization Science, 13(4), 387-401. 

  47. Scott, C. and J. S. Brown (1999), Bridging Epistemologies: The Generative Dance between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Knowing, Organization Science, 10(4), 381-400. 

  48. Sirilli, G. and R. Evangelista (1998). Technological Innovation in Services and Manufacturing: Results from Italian Surveys, Research Policy, 27(9), 881-899. 

  49. von Hippel, E. (1998), The Source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50. von Zedtwitz, M. and G. Oliver (2002), Managing Customer Oriented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Management, 24(2-3), 165-193. 

  51. Wang, E. C. and W. Huang (2007), Relativ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A Cross-Country Study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A Approach, Research Policy, 36(2), 260-273. 

  52. West, J. and M. Bogers (2014), Leveraging External Sources of Innovation: A Review of Research on Open Innovation,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31(4), 814-831. 

  53. Zhong, W., W. Yuan, S. X. Li, and Z. Huang (2011),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Regional R&D Investments in China: An Application of DEA Based on the First Official China Economic Census Data, Omega, 39(4), 447-4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