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 채색 안료 및 염료 분석
Analysis on the Pigments and Dyes of the Patterns for Jeogui and Pyeseul of National Museum of Korea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3, 2012년, pp.13 - 22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적의본과 폐슬본은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모두 지본채색되어 있다. 두 본에 사용된 채색 안료 및 염료에 대한 비파괴분석을 통해 채색 재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채색 안료의 성분분석에는 XRF를 이용하였다. 적의본의 안료 분석결과 백색은 연분, 흑색은 먹, 황색은 석황, 적색은 진사와 연단, 녹색은 구리와 비소화합물 또는 석청과 석황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기타색상으로 황동을 사용하였다. 폐슬본에 사용된 백색, 흑색, 황색, 녹색은 적의본에 사용된 안료와 동일하나 적색은 채색 안료에 차이를 보였다. 한편 적의본과 폐슬본에 사용된 청색은 안료의 종류를 확인이 어려우나 연분과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적의본의 청색 한지에 대한 UV-Vis 분광분석 결과 인디고(쪽)으로 염색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tterns for Jeogui and Pyeseul (patterns of the queen's ceremonial robe worn and a belt ornament covering knees in the front) as own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mad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both of them were colored on paper. Through a non-destructive analysis on pigments and dy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채색 안료층에 대한 성분조성은 비파괴분석이 가능한 X-선형광분석기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색상별 채색 안료에 대한 기여 원소 및 사용 안료를 추정하였다. 또한 자외-가시광분광기를 사용하여 적의본의 청색 한지가 쪽(Indigo)으로 염색된 것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외-가시광분광법은 염료분자가 가시영역의 빛을 특징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염직문화재 등 염료를 비파괴적으로 분석, 동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3-4].
  • 본 논고에서는 20세기 초에 제작된 적의본과 폐슬본에 사용된 채색 안료 및 염료의 종류를 확인하고 적의본과 폐슬본의 채색 안료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채색 안료층에 대한 성분조성은 비파괴분석이 가능한 X-선형광분석기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색상별 채색 안료에 대한 기여 원소 및 사용 안료를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의에 따라오는 부속제구는? 적의(翟衣)는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서 최고 통치자의 적통을 잇는 여성만이 입을 수 있는 대례복으로 길례, 가례, 흉례 등 중요한 의례에 착용한다. 적의에는 중단(中單), 남상(藍裳), 하피(霞), 폐슬(蔽膝), 옥대(玉帶), 대대(大帶), 패(佩), 수(綏), 말(襪), 석( ) 등 다양한 부속제구가 따른다[1].
적의란? 적의(翟衣)는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에서 최고 통치자의 적통을 잇는 여성만이 입을 수 있는 대례복으로 길례, 가례, 흉례 등 중요한 의례에 착용한다. 적의에는 중단(中單), 남상(藍裳), 하피(霞), 폐슬(蔽膝), 옥대(玉帶), 대대(大帶), 패(佩), 수(綏), 말(襪), 석( ) 등 다양한 부속제구가 따른다[1].
적의본 어깨와 진동 등의 보수 부분이 갖는 특징은? 적의를 만들기 위한 적의본은 여러 장의 한지를 연접하여 실물 크기로 문양이 배열되어 있다. 소매는 남아있지 않으며 어깨와 진동 등 보수부분은 문양이 그려지지 않은 청색 한지를 대어 주었다[2]. 적 문(翟紋)과 이화문(李花紋)이 12등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용문이 둘러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