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석조유산의 기후변화 영향: 연구동향과 미래전망
Climate Change Impact on Korean Stone Heritage: Research Trends and Prospect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3, 2016년, pp.437 - 448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전지구적으로 일어나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세기 말부터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문화유산 취약성 평가와 대책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관련 연구방법이 정립되고 방대한 기후자료와 손상예측 자료가 축적되었다. 우리나라는 관련된 정책연구가 다수 수행된 반면 여전히 과학적인 근거자료를 확보해야 하는 당면 과제가 남아있다. 한반도 미래 기후자료를 반영한 국내 석조유산의 미래 손상양상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풍화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문화유산 보존 분야의 산업과 행정관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석조유산의 영향 연구는 지역과 자료주기의 다운스케일을 통해 정밀화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손상유형과 지역별로 미래 환경에 취약한 석조유산을 가려내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on vulnerability of cultural heritage and adaptation strategy to worldwide climate change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nd this established a valid research methodology and piled up climate and deterioration dataset in the field of clim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를 위해 국내외에 보고된 석조유산의 기후변화 영향 사례와 연구문헌을 분석하여 동향을 파악하고 미래의 변화된 기후가 일반적으로 석조유산에 가져오게 될 손상 변화의 가능성을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풍화 관점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에 수반되는 국내 석조유산의 보존과 훼손에 대한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국내 기상청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산출한 기후자료를 분석하여 개별 기후요소 변화가 우리나라 석조유산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풍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예측하였다. 기후에 의한 석조유산의 풍화 예측은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되거나 연구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유럽위원회에서 6차 및 7차 연구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한 연구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기후구의 변화로 예상되는 것은? 기후변화는 지구온난화현상, 즉 기온 상승을 내포하는 말로써 그 영향은 대표적으로 기후구의 변화를 가져온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늘날 제주와 전남 일부 지역만 포함되던 아열대 기후구가 해가 갈수록 북방 경계선이 점차 북상하면서 미래(2100년)에는 주요 산지를 제외한 내륙 지역까지 확대될 것이라 한다(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이는 동식물 생태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목조문화재 가해 생물인 흰개미에 의한 피해 지역의 확장과 소나무 식생지역의 축소로 인한 복원수 감소로 이어진다.
온실가스에 대한 전망은? 최근 각종 매체를 통해 ‘기후변화’라는 말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지난 50년간 산업화와 인간활동의 결과로 발생한 온실가스는 산업화 이전의 2만년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고 있고 앞으로도 최소 100~200년간 그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다(Solomon et al., 2007;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2010).
페루의 찬찬 유적이 겪은 이상기후 피해는? 문화유산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에 따르면 세계유산인 페루의 찬찬 유적 (9~15세기)은 빈번해진 엘니뇨현상으로 1997년부터 1998년 사이에 평년의 30배(3,000 mm)에 달하는 폭우가 내려 토제 성벽이 붕괴되고 지하수위의 급격한 상승으로 염성분이 유입되면서 유적 전체에 심각한 염풍화를 일으켰다 (UNESCO, 2007)(Figure 1A).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베니스역사지구는 20세기 이후 지하수면 상승이 가속화되어 도시 유적지의 침수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UNESCO, 2007)(Figure 1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dre, M.F. and Phalip, B., 2010, Rates of stone recession on Mediaeval monuments: some thoughts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Cadernos Lab. Xeoloxico de Laxe, Coruna, 35, 13-40. 

  2. Australia ICOMOS, 2013, http://australia.icomos.org/ 

  3. Bonazza, A., Messina, P., Sabbionia, C., Grossi, C.M. and Brimblecombe, P., 2009a, Mapp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urface recession of carbonate buildings in Europ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2039-2050. 

  4. Bonazza, A., Sabbioni, C., Messina, P., Guaraldi, C. and De Nuntiis, P., 2009b, Climate change impact: Mapping thermal stress on Carrara marble in Europ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4506-4512. 

  5. Brimblecombe, P., Grossi, C.M. and Harris, I., 2006, Climate change critical to cultural heritage. In: R. Fort, M. Alvarez de Buergo, C. Gomez-Heras and C. Vazquez-Calvo (eds.), Heritage, weathering and conservation, Balkema, Rotterdam, 387-393. 

  6. Camuffo, D., 1998, Microclimate for Cultural Heritage. Elsevier, Amsterdam, 11. 

  7. Characklis, W. G. and Marshall, K. C., 1990, Biofilms: a basis for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W. G. Characklis and K. C. Marshall(eds.), Biofilms, John Wiley & Sons, New York, 3-15. 

  8. Cole, I.S., Paterson, D.A., Ganther, W., Hinton, B., McAdam, G., McGeachie, M., Jeffrey, R., Chotimongkol, L., Bhamornsut, C., Hue, N.V. and Purwadaria, S., 2003, Corrosion Engineering. Science & Technology, 38, 267-274. 

  9.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 Statistics of natural hazards on cultural heritage for recent three years. 1-5. (in Korean) 

  1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a,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1-304. (in Korean) 

  1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b, Research on teaching material and program development for disaster prevention in cultural heritage. 1-228. (in Korean) 

  1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Chungnam Province, 2013, Safety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1-136. (in Korean) 

  13. Environmental Change Institute, 2013, Climate Research. http://www.eci.ox.ac.uk/research/climate/ 

  14. Fookes, P.G., Dearman, W.R. and Franklin, J.A., 1971, Some engineering aspects of rock weathering.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4, 139-185. 

  15. Fraunhofer, 2014, Climate for Culture. http://www.climateforculture.eu/ 

  16. Gomez-Heras, M., Smith, B.J. and Fort, R., 2006,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minerals in crystalline rocks: implications for granular disaggregation of granites through thermal fatigue. Geomorphology, 78, 236-249. 

  17. Grossi, C.M., Bonazza, A., Brimblecombe, P., Harris, I. and Sabbioni, C., 2008, Predicting twenty-first century recession of architectural limestone in European cities. Environmental Geology, 56, 455-461. 

  18. Grossi, C.M. and Brimblecombe, P., 2006, The effect of long-term trends in dampness on historic buildings. Weather, 61, 278-281. 

  19. Grossi, C.M., Bromblecombe, P. and Harris, I., 2007, Predicting long term freeze-thaw risks on Europe built heritage and archeological sites in a changing climat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77, 273-291. 

  20. Gustafsson, M.E.R., 1997, Raised levels of marine aerosol deposition owing to increased storm frequency; a cause of forest decline in southern Swede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4, 169-177. 

  21. Hall, K., 2004, Evidence for freeze-thaw even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rock weathering in northern Canada.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 29, 43-57. 

  22. Honeyborne, D.B., 1990, Weathering and decay of masonry. In: Ashurt and F.G. Dimes(eds.), Conservation of Building and decorative stones, Butterworth, Oxford, 153-178. 

  23. Huijbregts, Z., Kramer, R.P., Martens, M.H.J., Schijndel, A.W.M. and Schellen, H.L., 2012, A proposed method to assess the damage risk of future climate change to museum objects in historic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55, 43-56. 

  24. Institute of Atmospheric Sciences and Climate, 2002, NOAH's Ark: Global climate change impact on built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s. http://noahsark.isac.cnr.it/ 

  2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16, www.ipcc.ch/ 

  26. Jun, B.K., Ham, M.S., Lee, J.J. and Song, C.Y., 2006, Present state and statistical analysis of stone cultural heritage by national appointment in Republic of Korea. Conservation Studies, 27, 43-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Kim, J.H., 2009, Geomorphology. Dongkuk University Press, Seoul, 81. (in Korean) 

  28. Kim, Y.H., Jeon, S.K., Lee, M.S. and Nam, G.J., 2014, Analysis of evaluation for flood risk architectural herit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1), 1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2010, Forum operating for establishment of basic plan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1-145. (in Korean) 

  30. Lee, M.S., Chun, Y,G., Lee, M.H. and Lee, J.M., 2013, Relationship between deterioration state and conservation treatment types for state-desig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in Korea. Conservation Studies, 34, 64-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Climate Information http://www.climate.go.kr/ 

  32.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inistry of Foreign Affair,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National Defenc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Forest Service and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5, The second national strategy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2016-2020). 61-147. (in Korean) 

  33.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Cultural heritage technology strategy pla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3-184. (in Korean) 

  3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Unpublished.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09,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2, 60-73. (in Korean) 

  36. Nimis, P.L. and Monte, M., 1988, The lichen vegetation on the Cathedral of Orvieto (Central Italy). Studia Geobotanica, 8, 77-87. 

  37. Prieto, B. and Silva, B., 2005, Estimation of the potential bioreceptivity of granitic rocks from their intrinsic propertie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Degradation, 56, 206-215. 

  38. Raphael, D.J.M., Koster, T. and Geurts, C.P.W., 2012,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and natural variability on wind loading values for buildings. Building and Environment, 55, 178-186. 

  39. Sabbioni, C., Brimblecombe, P. and Cassar, M., 2012, The atlas of climate change impact on European cultural heritage. Anthem Press, New York, 113-134. 

  40. Smith, B.J., Gomez-Heras, M. and McCabe, S., 2008, Understanding the decay of stone-built cultural heritage.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32, 439-461. 

  41. Smith, B.J., Srinivasan, S., Gomez-Heras, M., Basheer, P.A.M. and Viles, H.A., 2011, Near-surface temperature cycling of stone and its implications for scales of surface deterioration. Geomorphology, 130, 76-82. 

  42. 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K.B., Tignor, M. and Miller, H.L. (eds.), 2007,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USA, 435-497. 

  43.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2001-2005,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one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Korean) 

  44. UNESCO, 2007, Case studies on climate change and world heritage. 56-75. 

  45. Viles, H.A., 2002, Implica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for stone deterioration, Natural stone, weathering phenomena, conservation strategies and case studies. In Eds. (Siegesmund, S., Weiss, T. and Vollbrecht, A.),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205, 407-418. 

  46. Viles, H.A., 2005, Microclimate and weathering in the central Namib Desert, Namibia. Geomorpholoy, 67, 189-209. 

  47. Walder, J. and Hallet, B., 1985, A theoretical model of the fracture of rock during freezing.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96, 336-346. 

  48. Warscheid, T. and Braams, J., 2000, Biodeterioration of stone :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46, 343-368. 

  49. World Heritage Center, 2016, State of conservation of Timbuktu (Mali). http://whc.unesco.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