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법주사 당간지주 지의류의 동정 및 FT-IR 스펙트럼 특성 분석
Identification and FT-IR Spectrum Analysis of Lichens on Flagpole Support in Beopjusa Templ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5, 2017년, pp.391 - 398  

김영희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정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최명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홍진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조창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김수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정소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법주사 당간지주의 석재 표면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생물피해 요인인 지의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당간지주의 지의류는 5종으로 한정할 수 있다. 그 중 우점하는 2종의 고착상지의류는 Aspicilia sp.와 Pertusaria flavicans이며, 고착상지의류 위에 드물게 관찰되는 엽상지의류 1종과 수지상지의류 1종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로 동정되었다. 그리고 흑색조류층을 따라 서식하는 지의류는 Leprocaulon textum으로 확인되었다. 지의류가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ATR FT-IR을 적용하였다.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의 FT-IR 스펙트럼을 비교해 본 결과, cyclic carbohydrate에 기인하는 C-O-C 결합과 carboxylic acid에서 기인하는 FT-IR 스펙트럼의 흡수피크가 특징적으로 관찰되어 이들이 생산하는 지의산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tictic acid와 sekikaic acid가 Xanthoparmelia conspersa와 Ramalina sekika를 대표하는 지의산으로 화학구조에서 작용기의 차이에 의한 스펙트럼의 변화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chen as a typical biomass damage on the surfaces of flagpole-supporting stones in the Beopjusa temple. The lichens present on the flagpole-supporting stones were limited to five species. Two dominant lichen species were identified: Aspicilia sp. and Pertus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법주사 당간지주의 훼손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육안관찰 및 훼손지도를 작성하였다. 법주사 당간지주의 훼손 상태는 돌로 제작된 지주에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돌로 제작된 지주의 전면과 후면의 생물피복도와 일부 균열 및 박리박락에 대한 훼손 상태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보수된 부분도 함께 기록하였다.
  • 본 연구는 법주사 당간지주의 지의류 분포 및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법주사 당간지주의 전면과 후면에 고착상 지의류가 우점하고 있으며 고착지의 윗부분과 석재에 검게 오염된 부분에 드물게 엽상지의가 분포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법주사의 당간지주의 모습은 어떠한가? 법주사의 당간지주는 돌로 제작된 지주의 전면과 후면에 지의류와 흑색 조류의 서식으로 인해 생물오염이 심각한 편이며, 지대석에는 일부 초본식물의 식생도 관찰되고 있다. 표면에 다량 분포되어 있고 기물에 완전히 밀착되어 자라는 고착지의류가 우점하고 있어 외관을 손상시키고있다.
철당간의 현재 모습은 어떠한가? 그 후 1907년 철당간을 재건하였으며, 이후에도 여러 차례 손상을 입어 1927년과 1954년에 복원하였다. 현재의 상태는 1970년 피해를 입어 1972년 12월 대대적인 보수를 하면서 복원하여 세워놓은 것이다(Eom, 2004). 당간이란 찰(刹) 또는 찰주(刹柱)라 불리고, 일반적으로 사찰(寺刹)이라 말함은 절(寺)에 당간 즉 찰(刹)이 세워져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의류란 무엇인가? 지의류는 단독 생명체가 아니라 곰팡이(fungi)와 광합성을 통해 먹이를 생산할 수 있는 조류(algae)와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복합 생명체이다. 곰팡이는 지의류의 몸체(지의체: thallus)를 만들고 무기양분과 수분을 조류에게 공급하며 UV, 건조 등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로부터 조류 세포를 구조적으로 보호하는 서식처 제공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om, G.P., 2004, Buddhist banner pole and stone posts in Korea. Hakyoun, 411-414. (in Korean) 

  2. Hale, M., 1983, The biology of lichens, 3rd. Ed. Edward Arnold Publishers Ltd. 

  3. Kim, B.H. and Lee, Y.H., 1991, Preservation of stone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Studies, 12, 171-190. (in Korean) 

  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A field guide to lichens. 20-24. (in Korean) 

  5. Laska, G. and Kiercul, S., 2014,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econdary metabolites isolated from Xanthoparmelia conspersa (Ehrh. ex Ach.) Hale lichen. Planta Medica, 80-PS4. 

  6. Lee, H.B., 1992, Control of biological film of cultural assets-with a focus on fumigation. Conservation Studies, 13, 83-93. (in Korean) 

  7. Magalhaes, S.L. and Sequeira Braga, M.A., 2000, Biological colonization features on a granite monument from Braga(NW. Portugal).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Venice, June 19-24, 521-529. 

  8. Min, K.H., Lee, P.S. and Ahn, H.G., 1986, Survey on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the native cultivated lichen on the stone cultures of the suburbs of Seoul. Conservation Studies, 7, 14-31. (in Korean) 

  9. Min, K.H., 1993, Influence of microorganisms on cultural properties. Cultural Preservation Science Training Book, 163-175. (in Korean) 

  10. Oh, S.O., Wang, X.Y., Wang, L.S., Liu, P.G. and Hur, J.S., 2014, A note on the lichen genus Ramalina (Ramalinaceae, Ascomycota) in the Hengduan mountains in China. Mycobiology, 229-240. 

  11. Rankovic, B. and Kosanic, M., 2014, Lichens as a potential source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s, Lichen secondary metabolites. Springer, 1-26. 

  12. Sriviboon, C., Sitthiosod, R., Boonpragob, K. and Klongklaew, S., 2014, ATR-FTIR spectral analysis of lichens using as fingerprint for identification of lichen species. Proceeding of the 40th Congress on Science and Technology of Thailand, 868-876. 

  13. Yang, C.Q., 1993, Infrared spectroscopy studies of the cyclic anhydride as the intermediate for the ester crosslinking of cotton cellulose by polycarboxylic acids. I. Identification of the cyclic anhydride intermediate.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1187-1193. 

  14. Zagari, M., Antonelli, F. and Urzi, C., 2000, Biological patinas on the limestones of the Loches Romanic tower(Touraine, France). Proceedings of 9th International Congress on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Venice, June 19-24, 445-4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