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산화염소의 활성산소 유발에 따른 곤충 세포의 아폽토시스
Influence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ed by Chlorine Dioxide on Induction of Insect Cell Apoptosis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5 no.3, 2016년, pp.267 - 275  

김민현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수닐 쿠마르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권혁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욱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김용균 (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염소는 살충효과를 지니며, 이는 이 물질이 발생시키는 활성산소에 기인된다. 살충효과를 주는 주요 원인으로 이산화염소의 세포독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가 유발하는 세포독성이 활성산소에 기인한 아폽토시스 유발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에 이산화염소를 주입한 결과 전체혈구수의 뚜렷한 감소를 보였고, 이후 처리 유충은 사망하였다. 아폽토시스 세포치사과정을 규명하기 위해 TUNEL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nick end translation)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곤충 세포주의 하나인 Sf9 세포에 서로 다른 이산화염소를 처리하고 TUNEL 분석법으로 관찰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아폽토시스 비율이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서로 다른 농도의 이산화염소를 화랑곡나방 유충에 주입하고 혈구 세포를 TUNEL 분석법으로 관찰한 결과 이산화염소는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아폽토시스 유발을 나타냈다. 그러나 항산화제인 비타민 E를 이산화염소와 함께 처리하면 비타민 E의 농도에 비례하여 이산화염소의 아폽토시스 유발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살충률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산화염소에 기인한 세포독성은 활성산소에 기인한 아폽토시스 유발로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orine dioxide has an insecticidal activity via its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ts cytotoxic activity has been regarded as a main cause of the insecticidal activity. This study tested a hypothesis that cytotoxicity of chlorine dioxide is resulted from its induction of apoptosi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낮은 상태의 혈구수는 살충효과가 나타나는 4일 까지 지속하였다. 본 결과는 이산화염소가 화랑곡나방의 혈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지닌다는 기존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러한 이산화염소의 세포치사효과가 아폽토시스에 의해 이뤄지는 지를 이후 연구에서는 TUNEL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비타민E 처리는 곤충 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발을 억제하였다. 비타민 E는 높은 항산화제로서 활성산소의 작용을 길항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Herrera and Barbas, 2001).
  • 이러한 아폽토시스는 개체의 방어기작으로서 외부 병원체 침입에 대한 면역반응 또는 위해한 물질의 노출에 대해서 세포가 피해를 받게 될 때에도 일어난다(Norbury and Hickson, 2001). 본 연구는 이러한 기반 위에 이산화염소가 활성산소에 기인하여 곤충세포주의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지 그리고 이러한 아폽토시스가 곤충의 혈구세포에서 일어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아폽토시스 유발이 살충력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증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 본 연구는 이산화염소의 살충 기작을 탐구하는 일련의 연구 과정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는 이산화염소가 발생시키는 활성산소가 살충 효과를 주는 주요 치사 인자로 추정하였다(Kumar et al.

가설 설정

  •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 cells provided from Abcam (Cambridge, UK) were analyzed. (B)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e dioxide on Sf9 cells by incubation for 24 h. Immunofluorescence assay of bromo deoxyuridine (‘BrdU’) was detected by its monoclonal antibody in a rhodamine mode of a fluorescence microscope (DM 2500, Leica,Wetzlar, Germany) at 400 x magnific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폽토시스란 무엇인가? 이는 여러 시스템에서 활성산소는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발하기 때문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아폽토시스는 다세포 생명체에서 발육과정 중에 일어나는 프로그램된 세포자연치사 과정을 일컫는다(Elmore, 2007). 이러한 아폽토시스는 개체의 방어기작으로서 외부 병원체 침입에 대한 면역반응 또는 위해한 물질의 노출에 대해서 세포가 피해를 받게 될 때에도 일어난다(Norbury and Hickson, 2001).
화랑곡나방의 혈구세포에 대한 세포치사효과 분석을 위해 이산화염소 100ppm을 화랑곡나방 혈강에 주입한 결과, 전체 혈구수의 변화는? 1B). 전체 혈구수는 처리 1일 후에 본래의 약 6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낮은 상태의 혈구수는 살충효과가 나타나는 4일 까지 지속하였다. 본 결과는 이산화염소가 화랑곡나방의 혈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지닌다는 기존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산화염소의 유기물질 산화 과정은? 그러나 이 분자의 최외각 전자수가 홀수로 존재하여, 특이적 단일 전자 교환기작의 산화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이산화염소는 유기물질의 전자밀집센터를 공략하여 자신은 하나의 전자를 받아들인 chlorite(ClO2-) 형태로 환원되고 해당 유기물은 산화되게 된다. 이러한 이산화염소의 산화력은 살균 및 살충 작용에 응용되었다(Hinenoy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rur, S., Uche, U.E., Rezaul, K., Fong, M., Scranton, V., Cowan, A.E., Mohler, W., Han, D.K., 2003. Annexin I is an endogenous ligand that mediates apoptotic cell engulfment. Dev. Cell. 4, 587-598. 

  2. Ashkenazi, A., Dixit, V.M., 1998. Death receptors: signaling and modulation. Science 281, 1305-1308. 

  3. Bortner, C.D., Oldenburg, N.B., Cidlowski, J.A., 1995. The role of DNA fragmentation in apoptosis. Trends Cell Biol. 5, 21-26. 

  4. Bratton, D.L., Fadok, V.A., Richter, D.A., Kailey, J.M., Guthrie, L.A., Henson, P.M., 1997. Appearance of phosphatidylserine on apoptotic cells requires calcium-mediated nonspecific flip-flop and is enhanced by loss of the aminophospholipid translocase. J. Biol. Chem. 272, 26159-26165. 

  5. Cai, J., Jones, D.P., 1998. Superoxide in apoptosis: mitochondrial generation triggered by cytochrome c loss. J. Biol. Chem. 273, 11401-11404. 

  6. Chicheportiche, Y., Bourdon, P.R., Xu, H., Hsu, Y.M., Scott, H., Hession, C., Garcia, I., Browning, J.L., 1997. TWEAK, a new secreted ligand in the tumor necrosis factor family that weakly induces apoptosis. J. Biol. Chem. 272, 32401-32410. 

  7. Chinnaiyan, A.M., 1999. The apoptosome: heart and soul of the cell death machine. Neoplasia 1, 5-15. 

  8. Cohen, G.M., 1997. Caspases: the executioners of apoptosis. Biochem. J. 326, 1-16. 

  9. Cory, S., Adams, J.M., 2002. The Bcl2 family: regulators of the cellular life-or-death switch. Nat. Rev. Cancer 2, 647-656. 

  10. Don, G., 1998. The chlorine dioxide handbook. Am. Water Works Assoc. 3-4. 

  11. Du, C., Fang, M., Li, Y., Li, L., Wang, X., 2000. Smac, a mitochondrial protein that promotes cytochrome c-dependent caspase activation by eliminating IAP inhibition. Cell 102, 33-42. 

  12. Elmore, S., 2007.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Toxicol. Pathol. 35, 495-516. 

  13. Enari, M., Sakahira, H., Yokoyama, H., Okawa, K., Iwamatsu, A., Nagata, S., 1998. A caspase-activated DNase that degrades DNA during apoptosis, and its inhibitor ICAD. Nature 391, 43-50. 

  14. Gavrieli, Y., Sherman, Y., Ben-Sasson, S.A., 1992. Identific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in situ via specific labeling of nuclear DNA fragmentation. J. Cell Biol. 119, 493-501. 

  15. Gardai, S.J., McPhillips, K.A., Frasch, S.C., Janssen, W.J., Starefeldt, A., Murphy-Ullrich, J.E., Bratton, D.L., Oldenborg, P.A., Michalak, M., Henson, P.M., 2005. Cell-surface calreticulin initiates clearance of viable or apoptotic cells through trans-activation of LRP on the phagocyte. Cell 123, 321-334. 

  16. Garrido, C., Galluzzi, L., Brunet, M., Puig, P.E., Didelot, C., Kroemer, G., 2006. Mechanisms of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Cell Death Differ. 13, 1423-1433. 

  17. Gibbs, S.G., Lowe, J.J., Smith, P.W., Hewlett, A.L., 2012. Gaseous chlorine dioxide as an alternative for bedbug control.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33, 495-499. 

  18. Herrera, E., Barbas, C., 2001. Vitamin E: action, metabolism and perspectives. J. Physiol. Biochem. 57, 43-56. 

  19. Hill, M.M., Adrain, C., Duriez, P.J., Creagh, E.M., Martin, S.J., 2004.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ssembly kinetics and activity of native Apaf-1 apoptosomes. Embo J. 23, 2134-2145. 

  20. Hinenoya, A., Awasthi, S.P., Yasuda, N., Shima, A., Morino, H., Koizumi, T., Fukuda, T., Miura, T., Shibata, T., Yamasaki, S., 2015. Chlorine dioxide is a better disinfectant than sodium hypochlorit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Jpn. J. Infect Dis. 68, 276-279 

  21. Hsu, H., Xiong, J., Goeddel, D.V., 1995. The TNF receptor 1-associated protein TRADD signals cell death and NF-kappa B activation. Cell 81, 495-504. 

  22. Joza, N., Susin, S.A., Daugas, E., Stanford, W.L., Cho, S.K., Li, C.Y., Sasaki, T., Elia, A.J., Cheng, H.Y., Ravagnan, L., Ferri, K.F., Zamzami, N., Wakeham, A., Hakem, R., Yoshida, H., Kong, Y.Y., Mak, T.W., Zuniga-Pflucker, J.C., Kroemer, G., Penninger, J.M., 2001. Essential role of the mitochondrial apoptosis-inducing factor in programmed cell death. Nature 410, 549-554. 

  23. Kataoka, T., Schroter, M., Hahne, M., Schneider, P., Irmler, M., Thome, M., Froelich, C.J. Tschopp, J., 1998. FLIP prevents apoptosis induced by death receptors but not by perforin/granzyme B, chemotherapeutic drugs, and gamma irradiation. J. Immunol. 161, 3936-3942. 

  24. Kim, Y., Kumar, S., Cheon, W., Eo, H., Kwon, H., Jeon, Y., Jung, J., Kim, W., 2016. Anticancer and antiviral activity of chlorine dioxide by its induction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J. Appl. Biol. Chem. 59, 31-36. 

  25. Kim, Y., Park, J., Kumar, S., Kwon, H., Na, J., Chun, Y., Kim, W., 2015. Insecticidal activity of chlorine dioxide gas by inducing an oxidative stress to the red flour beetle, Tribolium castaneum. J. Stored Prod. Res. 64, 88-96. 

  26. Kischkel, F.C., Hellbardt, S., Behrmann, I., Germer, M., Pawlita, M., Krammer, P.H., Peter, M.E., 1995. Cytotoxicity-dependent APO-1 (Fas/CD95)- associated proteins form a death-inducing signaling complex (DISC) with the receptor. Embo J. 14, 5579-5588. 

  27. Kothakota, S., Azuma, T., Reinhard, C., Klippel, A., Tang, J., Chu, K., McGarry, T.J., Kirschner, M.W., Koths, K., Kwiatkowski, D.J., Williams, L.T., 1997. Caspase-3-generated fragment of gelsolin: effector of morphological change in apoptosis. Science 278, 294-298. 

  28. Kumar, S., Park, J., Kim, E., Na, J., Chun, Y.S., Kwon, H., Kim, W., Kim, Y., 2015. Oxidative stress induced by chlorine dioxide as an insecticidal factor to the Indian 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Pestic. Biochem. Physiol. 124, 48-59. 

  29. Li, L.Y., Luo, X., Wang, X., 2001. Endonuclease G is an apoptotic DNase when released from mitochondria. Nature 412, 95-99. 

  30. Locksley, R.M., Killeen, N., Lenardo, M.J., 2001. The TNF and TNF receptor superfamilies: integrating mammalian biology. Cell 104, 487-501. 

  31. Mates, J.M., Sanchez-Jimenez, F.M., 2000.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apoptosis: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Int. J. Biochem. Cell Biol. 32, 157-170. 

  32. Nemes, Z., Jr., Friis, R.R., Aeschlimann, D., Saurer, S., Paulsson, M., Fesus, L., 1996. Expression and activation of tissue transglutaminase in apoptotic cells of involuting rodent mammary tissue. Eur. J. Cell Biol. 70, 125-133. 

  33. Norbury, C.J., Hickson, I.D., 2001. Cellular responses to DNA damage. Annu. Rev. Pharmacol. Toxicol. 41, 367-401. 

  34. Peter, M.E., Krammer, P.H., 1998. Mechanisms of CD95 (APO-1/Fas)-mediated apoptosis. Curr. Opin. Immunol. 10, 545-551. 

  35. Rai, N.K., Tripathi, K., Sharma, D., Shukla, V.K., 2005. Apoptosis: a basic physiologic process in wound healing. Int. J. Low Extrem. Wounds 4, 138-144. 

  36. Rubio-Moscardo, F., Blesa, D., Mestre, C., Siebert, R., Balasas, T., Benito, A., Rosenwald, A., Climent, J., Martinez, J.I., Schilhabel, M., Karran, E.L., Gesk, S., Esteller, M., deLeeuw, R., Staudt, L.M., Fernandez-Luna, J.L., Pinkel, D., Dyer, M.J., Martinez-Climent, J.A., 2005. Characterization of 8p21.3 chromosomal deletions in B-cell lymphoma: TRAIL-R1 and TRAIL-R2 as candidate dosage-dependent tumor suppressor genes. Blood 106, 3214-3222. 

  37. Saelens, X., Festjens, N., Vande Walle, L., van Gurp, M., van Loo, G., Vandenabeele, P., 2004. Toxic proteins released from mitochondria in cell death. Oncogene 23, 2861-2874. 

  38. Sakahira, H., Enari, M., Nagata, S., 1998. Cleavage of CAD inhibitor in CAD activation and DNA degradation during apoptosis. Nature 391, 96-99. 

  39. SAS Institute, Inc., 1989.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40. Scaffidi, C., Schmitz, I., Krammer, P.H., Peter, M.E., 1999. The role of c-FLIP in modulation of CD95-induced apoptosis. J. Biol. Chem. 274, 1541-1548. 

  41. Schimmer, A.D., 2004.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translating basic knowledge into clinical practice. Cancer Res. 64, 7183-7190. 

  42. Slee, E.A., Adrain, C., Martin, S.J., 2001. Executioner caspase-3, -6, and -7 perform distinct, non-redundant roles during the demolition phase of apoptosis. J. Biol. Chem. 276, 7320-7326. 

  43. Suliman, A., Lam, A., Datta, R., Srivastava, R.K., 2001. Intracellular mechanisms of TRAIL: apoptosis through mitochondrial-dependent and -independent pathways. Oncogene 20, 2122-2133. 

  44. van Loo, G., van Gurp, M., Depuydt, B., Srinivasula, S.M,, Rodriguez, I., Alnemri, E.S., Gevaert, K., Vandekerckhove, J., Declercq, W., Vandenabeele, P., 2002. The serine protease Omi/HtrA2 is released from mitochondria during apoptosis. Omi interacts with caspase-inhibitor XIAP and induces enhanced caspase activity. Cell Death Differ. 9, 20-26. 

  45. Volk, C.J., Hofmann, R., Chauret, C., Gagnom, G.A., Ranger, G., Andrews, R.C., 2002. Implementation of chlorine dioxide disinfection: effects of the treatment change on drinking water quality in a full-scale distribution system. J. Environ. Eng. Sci. 1, 323-330. 

  46. Wajant, H., 2002. The Fas signaling pathway: more than a paradigm. Science 296, 1635-1636. 

  47. Zeiss, C.J., 2003. The apoptosis-necrosis continuum: insights from genetically altered mice. Vet. Pathol. 40, 481-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