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from General Restaura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8 no.3, 2016년, pp.237 - 241  

정무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 커피전문점 및 제과 제빵점 등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미생물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일회용 물티슈 55종을 사용하였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 55종의 평균 세균 수는 $4.14{\times}10^3CFU/mL$이었으며, 세균이 자라지 않은 물티슈는 5종이었다. 가장 높게 측정된 세균 수는 2종의 물티슈에서 $16.67{\times}10^3CFU/mL$ 이상으로 나타났다. 순수 분리한 총 균수는 71균주이며, 이 중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15균주,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3균주를 동정하였다. 이는 대중음식점에서 공급하는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영하며 기회감염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발견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일회용품이며, 수개월 내지는 1~2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제품인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und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valuated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used in restaurants, coffee shops, and bakery shops. The materials used are 55 disposable wet wipes collected from general restaurants. The number of average bacteria found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대중음식점에서 공급하는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영하며 기회감염의 원인이 되는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uginosa가 발견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일회용품이며, 수개월 내지는 1∼2년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제품인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 한국소비자원에서 2006년 업소용 위생용품 안전성 실태조사를 한 결과 식당 물티슈에서 일반세균이 허용기준 보다 최고 880배 검출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11]. 이에 본 연구는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에서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고,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세균을 동정함으로써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에서 세균 오염도를 측정하고,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세균을 동정함으로써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일회용 물티슈의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 55종의 평균 세균 수는 4.
  • 업체에서 고객을 대상으로 흔히 제공해 주는 물티슈는 한 번 사용 후 버리는 일회용품이지만 정확한 보관방법 안내가 없고 제조일과 사용기한 표시가 없는 제품이 대부분인 상황이라 수개월 내지 수년 간 보관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회용 물티슈의 정확한 위생관련 기준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대중음식점 등에 대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 음식점에서 개인위생관리로 차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생용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외식을 하기 위해 대중음식점을 찾으면 음식이 나오기 전일회용 물티슈나 물수건을 사용한다. 대중 음식점에서 개인위생관리로 차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위생용품은 낱개 포장된 소독 위생물수건, 포장되지 않은 자가 세탁 물수건, 포장된 일회용 물티슈, 포장되지 않은 즉석제조기 물티슈, 건조된 상태에서 물을 부어 사용하는 건조티슈 등의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아기용 물티슈 등 일반적으로 말하는 물티슈는 화장품 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관리하는 제품이며, 음식점 물티슈는 공중위생관리법으로 보건복지부에서 관리되고 있는 물종이류(식품접객업소 등에서 물수건 대용으로 사용하는 물티슈)로 규정하고 있다.
형광증백제는 무엇인가? 음식점 물수건의 안전성 논란은 이미 수년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며[3], 최근 몇 년에는 물수건 위생처리업체(세탁업체)가 서울ㆍ수도권에 공급한 물수건에서 중금속과 형광증백제(fluorescent whitening agent, FWA)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물수건 위생시설을 불법 운영한 업체가 적발되기도 하였다. 형광증백제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푸른색 계열의 가시광선을 방출하여 종이의 백감도와 백색도를 향상시키는 유기 화학물질이다. 형광증백제는 제지산업뿐만 아니라 섬유, 세제 등 다양한 산업에서도 사용되고 화학구조도 매우 다양하다[4-6].
일회용 물티슈에서 황색포도알균과 녹농균이 발견되었다는 점은 왜 주목할 만한가? 황색포도알균은 화농성 감염과 패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고[16], 여러 가지 장관내독소 등을 분비하기 때문에 식중독, 원내 감염 및 지역 감염 등관 관련되어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항생제의 과잉처방으로 인하여 꾸준하게 메치실린에 대한 항생제 내성 균주가 증가하여 메치실린 내성황색포도알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임상에서 일상적인 검사의 대상이 되었으며[17], Kim 등[18]의 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필수 소지품인 휴대전화로부터 MRSA 균주의 분리율이 37.2%에 달해 병원감염과 지역사회 감염의 위험요소로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세균으로 보고되고 있다. 녹농균은 사용할 항균제가 상당히 제한적인 다제내성균이며, 악성종양이나, 중증화상환자, 그 외 선행질환이 있거나 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으로 숙주의 저항력이 약화되는 여러 인자가 작용하면 발병이 촉진되어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병원감염관리와 환자 관리에 집중적인 관리가 되어야 하는 세균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9,20], 국내에서도 카바 페넴 내성 균주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MK. An analysis of groups with diet problems associated with dining out. Korean J Food & Nutrition. 2008;21(4):536-544. 

  2. Kim SA, Jo HY. A study on the eating out behavior patterns of youth: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Korean J Food Culture. 2004;19(3):336-347. 

  3. Shin JS, Park SH. Survey on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restaurants in Seoul area. Korean J Sanitation. 1986;1(1):41-46. 

  4. Signh N. Membrane technology in optical brightener production. Filtration and Separation. 1999;36(9):38-39. 

  5. Ma D, Carter RD, Haefner D, Dogariu A. The influence of fine kaolin and ground calcium carbonates on the efficiency and distribution of fluorescence whitening agents (FWA) in paper coating. Nordic Pulp and Paper Research Journal. 2008;23(3):327-332. 

  6. Jiang D, Chen L, Fu W, Qiu H.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11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in food-contact paper and board by ion-pair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ion. J of Separation Science. 2015;38(4):605-611. 

  7. Kim JS, Choi DJ, Lee DJ, Sim JK, Jin DS, Shin YS, et al. Survey of exposure of the fluorescent whitening agent related products [cited 2016 July 28]. Available from: http://library.nier.go.kr/search/DetailView.ax?cid5566375. 

  8. Horovitz B. More consumers whip out wet wipes [cited 2016 July 28]. Available from: http://usatoday30.usatoday.com/money/covers/2002-07-11-wipes.htm. 

  9. Seo JH, Lee DJ, Lee MK, Oh DH.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wet-tissue saturated with electrolytic water of NaCl solution. Journal of Korea TAPPI. 2015;47(6):147-153. 

  10. Yoo HJ, Hwang HS, Song EG.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safe consumption of wet tissue -Focusing on consumer's subjective safety assessment and labeling condition-.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2014;10(8):81-97. 

  11. Korea consumer agency. Survey of safety for commercial use hygiene products (Paper napkins, wet tissues, wet towels) [cited 2016 July 28].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46/view.do?seq576&srchFr&srchTo&srchWord&srchTp&itm_seq_13&itm_seq_20&multi_itm_seq0&company_cd&company_nm&page26#report_tab01. 

  12. Jeong DK. Microbiological evaluations on the facilities and utilities of Korean restaur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ition. 2005;34(10):1611-1618. 

  13. Altekruse SF, Cohen ML, Swerdlow DL. Emerging foodborne diseases. Emerg Infect Dis. 1997;3(3):285-293. 

  14. Bae HJ, Chun HJ.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cooking utensils and working areas of foodservice establishments and hygienic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3;19(2):231-240. 

  15. Ministry of Food and Drugs Safety. Statistics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s [cited 2016 July 28].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food-PoisoningStat.do?menu_no519&menu_grpMENU_GRP02. 

  16. Park SY, Son JS, Oh IH, Choi JM, Lee MS. Clinical impac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based on propensity scores. Infection. 2011;39(2):141-147. 

  17. Nam HM, Lee AL, Jung SC, Kim MN, Jang GC, Wee SH, Lim SK.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in Korea. Foodborne Pathog Dis. 2011;8(2):231-238. 

  18. Kim CH, Lee JY, Kim MK, Kim SH, Park GY, Bae SY, et al. Isolation rat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from nasal cavity inferior regions and cellular phones. Korean J Clin Lab Sci. 2012;44(3):118-123. 

  19. Shin HS, Park YB, Cho KJ. Isolation frequency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seudomonas species from clinical materials. Korean J Clin Lab Sci. 2007;39(3):167-177. 

  20. Joklik WK, Hilda PW, Amos DB, Wilfert CM. Zinsser microbiology. 20th ed. New York: Appleton & Lange; 1992. p576-583. 

  21. Yong D, Choi YS, Roh KH, Kim CK, Park YH, Yum JH, et al. Increasing prevalence and diversity of metallo- ${\beta}$ -lactamases in Pseudomonas spp., Acinetobacter spp., and Enterobacteriaceae from Kore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6;50(5):1884-1886. 

  22.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Life chemical goods and wet wipes department management changes [cited 2016 July 28]. Available from: http://www.kats.go.kr/mobile/content.do?cmsid482&skin/mobile/&modeview&page13&cid17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