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티슈 제조공정의 전과정 평가
Life Cycle Assessment on Process of Wet Tissue Production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4 no.4, 2018년, pp.269 - 274  

안중우 (성신여자대학교 청정융합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물티슈 제조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다. 물티슈 제조공정은 약액을 조제하여 부직포 원단에 투여하고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특정 업체의 실제 공정을 대상으로 투입 산출물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환경부와 해외 LCI DB를 활용하여 상 하위 흐름을 연결하여 이 공정에 대한 잠재적인 환경영향을 산출하였다. 특성화 결과, 오존층파괴 3.46.E-06 kg $CFC_{11}$, 산성화 5.11.E-01 kg $SO_2$, 자원고갈 $3.52.E+00\;1yr^{-1}$, 지구온난화 1.04.E+02 kg $CO_2$, 부영양화 2.31.E-02 kg ${PO_4}^{3-}$, 광화학산화물생성 2.22.E-02 kg $C_2H_4$, 인간독성 1.55.E+00 kg 1,4 DCB, 생태독성 5.82.E-04 kg 1,4 DCB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제조공정의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 공정을 개선하거나 환경영향이 적은 원자재와 포장재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LCA 결과, 공정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주요이슈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공정시스템 설계나 환경영향이 낮은 에너지원으로 변경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LCA의 특성상 이 연구결과는 사용된 LCI DB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모든 물티슈 제조공정을 대표할 수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ife Cycle Assessment (LCA) of wet tissue manufacturing process was performed. The wet tissue manufacturing process consists of preparation of wetting agent (chemical liquid), impregnation of nonwoven fabric into wetting agent and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Data and information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활용품의 안전성과 관련한 규제 제정이나 관련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반면 제품 환경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유아용이나 행주 대용, 일반 청소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티슈에 관한 환경친화성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환경성 평가 기법 중 하나인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활용하여 물티슈의 환경영향을 정량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물티슈 제조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여, 환경부하를 분석하고 환경영향 범주 별 주요이슈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LCA) 방법론을 이용하여 물티슈 제조공정의 환경성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전과정평가는제품 전 과정에 걸쳐 제품 시스템의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한목록을 작성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결과를 해석하여 환경 개선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물티슈 제조공정에 대한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여, 환경부하를 분석하고 환경영향 범주 별 주요이슈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 제조공정의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정을 개선하고, 환경영향이 적은 원자재로 변경하거나 포장재를 변경하는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특히 이번 물티슈 제조공정의 경우 에너지가 주요이슈로 도출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본 공정의 환경영향을 줄이는 효율적 방안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제조공정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공정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성 평가 기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생활용품의 안전성과 관련한 규제 제정이나 관련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는 반면 제품 환경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유아용이나 행주 대용, 일반 청소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물티슈에 관한 환경친화성을 진단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환경성 평가 기법 중 하나인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활용하여 물티슈의 환경영향을 정량화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를 위한 정부 정책은 무엇인가? 그러나 인체 위해성을 지닌 독성물질이 물티슈에도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지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각종 생활용품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1]. 이러한 상황에서 생활화학제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에서 ‘생활화학제품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관련 법을 제정하는 등 제품안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3].
물티슈 제조공정의 환경성 진단이 필요해진 사회적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가습기 살균제의 위해성이나 각종 보존제의 문제점들이 부각됨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생활용품의 안전성, 환경친화성에 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2013년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물티슈 제품을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고의 원인이 되었던 독성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1]. 과거 유아용으로만 인식되어 사용해온 물티슈는 최근 들어 사용처가 점차 확대되며 국내물티슈 시장규모는 약 3,000억원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You, H. J., Hwang, H. S., and Song, E. G.,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Safe Consumption of Wet Tissue -Focusing on Consumer's Subjective Safety Assesment and Labeling Condition," KRCEM., 10(8), 81-97 (2014). 

  2. Park, J. S., "Domestic Wet Tissue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KHIDI Brief, Report No. 202 (2015). 

  3. Ji, K. S., Kim, J. Y., and Kim, D. 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sumer Product Safety Regulation, Korean Consumer Agency, 1-184 (2018). 

  4. ISO 14040,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Principles and framework. 

  5. ISO 14044.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Requirements and guideline. 

  6. Environmental Declaration of Product LCI Data base, www.edp.or.kr (accessed 2017). 

  7. Ecoinvent Database, www.ecoinvent.org (accessed 2017). 

  8. Lee, K. M., Hur, T., and Kim, S. D., "Theory and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LC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