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저호흡증후군 환자에서 과도한 주간졸음증과 혈압 사이의 연관성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8 no.3, 2016년, pp.255 - 261  

김천식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  김대식 (동남보건대학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면무호흡-저호흡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과도한 주간졸음증의 표현형과 혈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환자는 수면 다원검사 결과에 따른 무호흡-저호흡지수가 5미만인 그룹은 코골이 그룹(n=108), 5~15 사이는 경도 무호흡 그룹(n=186), 15~30 사이는 중증도 무호흡 그룹(n=179), 30 이상인 그룹은 중증 무호흡 그룹(n=233)으로 나누었다. 혈압 측정은 검사 시작 전과 후에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3분 간격으로 2회 측정 후 평균값으로 야간 혈압과 아침 혈압을 측정하였다. 주간졸음증군과 비주간졸음증군의 수면 파라미터와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수면 파리미터와 혈압과의 이변량 상관관계에서 평균 동맥혈압체질량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총 각성지수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r=0.099, r=0.142, r=0.135, p<0.01, p<0.01, p<0.01), 최저산소포화도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0.258, p<0.01). 주간졸음증군은 비주간졸음증군에 비해 나이가 어리고($47.2{\pm}11.3$ vs $50.3{\pm}11.4$, p=0.023), 이완기 혈압이 높고(야간 이완기혈압과 아침 이완기혈압, $83.1{\pm}9.7$ vs $81.4{\pm}8.8$, $86.4{\pm}9.2$ vs $83.6{\pm}9.7$)(p=0.031, p=0.047), 수축기혈압도 높았다(야간 수축기혈압, 아침 수축기혈압, $126.7{\pm}11.2$ vs $123.4{\pm}12.4$, $128.9{\pm}12.4$ vs $125.3{\pm}12.9$)(p=0.021, p=0.021). 무호흡-저호흡를 가지고 있으면서 고혈압이 있고, 주간졸음증을 함께 가지고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나이가 어리고, 총 각성숫자가 높고, 아침과 야간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이 높았다(p<0.005, p=0.008, p<0.001, p<0.001). 결론적으로 주간졸음증의 표현형은 나이가 어리고, 아침 및 야간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이 높고, 수면 중 산소포화도가 더 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and blood pressure (BP)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OSAH).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severity of polysomnographic data: the snoring group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도한 주간졸음증을 동반한 폐쇄성수면 무호흡-저호흡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혈압의 변화, 수면다원검사의 파라미터 변화 및 주간졸음증과 혈압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쇄성수면무호흡-저호흡이란? 폐쇄성수면무호흡-저호흡(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은 상기도의 폐쇄로 인하여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말하며, 이는 성인의 10∼15%에서 관찰되는 매우 흔한 질병이며[1,2], 이는 수면 중 잦은 각성과 저산소혈증(hypoxemia)을 발생시키고, 낮 동안의 과도한 주간졸음증(exessive daytime sleepiness), 당뇨, 고혈압 및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킨다. 수면무호흡-저호흡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 낮 동안 과도한 주간졸음증은 성인남자 3∼7%, 성인여자 2∼5%에서 동반되며, 비만환자와 노인연령에서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폐쇄성수면무호흡-저호흡 보유율은 어느정도인가? 폐쇄성수면무호흡-저호흡(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은 상기도의 폐쇄로 인하여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으로 감소된 상태를 말하며, 이는 성인의 10∼15%에서 관찰되는 매우 흔한 질병이며[1,2], 이는 수면 중 잦은 각성과 저산소혈증(hypoxemia)을 발생시키고, 낮 동안의 과도한 주간졸음증(exessive daytime sleepiness), 당뇨, 고혈압 및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킨다. 수면무호흡-저호흡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 낮 동안 과도한 주간졸음증은 성인남자 3∼7%, 성인여자 2∼5%에서 동반되며, 비만환자와 노인연령에서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수면무호흡-저호흡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과도한 주간졸음증의 표현형과 혈압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주간졸음 설문지가 다중수면잠복기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와 같이 객관적이지 않고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라는 제한점이 있다. 둘째, 집이 아닌 병원이라는 특수적 환경에서 잠을 자려고 하니 적응하기 어려운 첫째 날 밤 효과가 작용하여 수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취침전과 후에 측정하는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및 심박동수가 자동적으로 기록되는 자동전자 상완혈압기를 사용하였고, 2번 연속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평가하였지만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수면무호흡-저호흡 및 주간졸음증이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교란요인을 보정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향후 관련된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최대한 고려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ogel RB, Malhotra A, Dalagiorgou G. Anatomic and physiologic predictors of apnea severity in morbidly obese subjects. Sleep. 2003;26:15-155. 

  2. Ferini-Strambi L, Fantini ML, Castronovo C. Epidem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Minerva Med. 2004;95:187-202. 

  3. Peppard PE, Young T, Palta M, Skatrud J. Prospective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hypertension. N Engl J Med. 2000;342:1378-1384. 

  4. Nieto FJ, Young TB, Lind BK, Shahar E, Samet JM, Redline S, et al. Association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sleep apnea, and hypertension in a large community-based study. Sleep Heart Health Study. JAMA. 2002;283:1829-1836. 

  5. Barbe F, Mayoralas LR, Duran J. Treatment with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s not effective in patients with sleep apnea but no daytime sleepines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01;134:1015-1023. 

  6. Robinson GV, Smith DM, Langford BA.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does not reduce blood pressure in nonsleepy hypertensive OSA patients. Eur Respir J. 2006; 27:1229-1235. 

  7. Kapur VK, Resnick HE, Gottlieb DJ.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hypertension: does self-reported sleepiness modify the association? Sleep. 2008;31:1127-1132. 

  8. Johns MW. A new method for measuring daytime sleepiness: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Sleep. 1991;14:540-545. 

  9. Johns MW. Daytime sleepiness,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Chest. 1993;103:30-36. 

  10. Qimin W, Cheng Z, Peng J, Jing Z, Liping F, Shumin W,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enotype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Int J Med Sci. 2014;11(7):713-720. 

  11. Berry RB1, Budhiraja R, Gottlieb DJ, Gozal D, Iber C, Kapur VK, et al.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Rules for scoring respiratory events in sleep: update of the 2007 AASM manual for the scoring of sleep and associated events. deliberations of the sleep apnea definitions task for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J Clin Sleep Med. 2012;15:597-619. 

  12. Phillips B.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003;290(10):1314. 

  13. Nieto FJ, Young TB, Lind BK, Shahar E, Samet JM, Redline S, et al. Association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sleep apnea and hypertension in a large community-based study. Sleep Heart Health Study. JAMA. 2000;283:1829-1836. 

  14. Kim CS.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Korean J Clin Lab Sci. 2014;46:106-110. 

  15. Xiao LZ, Juan W, Rong ZJ, Yin CT. Pulsatility index in combination with biomarkers or mean arterial pressure for the prediction of preeclampsi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Ann Med. 2015;47:414-422. 

  16. Punjabi NM, O'Hearn DJ, Neubauer DN. Modeling hypersomnolence in sleep-disordered breathing. A novel approach using survival analysi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9;159:1703-17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