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칼로리 저감미도 대체감미료 시장 및 동향
Market and trend of alternative sweeteners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49 no.3, 2016년, pp.17 - 28  

김양희 (CJ제일제당 소재연구소) ,  김성보 (CJ제일제당 소재연구소) ,  김수진 (CJ제일제당 소재연구소) ,  박승원 (CJ제일제당 소재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erns over obesity and obesity-related health problems are increasing as many consumers relate these health problems with sugar. The demand for sugar reduction is also rising and regulatory movement by governments including Korea is driven to reflect such demand. For the past decades, ther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현재 국내·외에서 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몇 가지 감미료 소재의 기본적인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다양한 식품의 당류저감(칼로리 저감)을 위하여 감미도 대체를 위한 고감미료의 적용 이외에도 식품의 물성 및 관능적 측면에서 다양한 종류의 저칼로리 저감미도 대체감미료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저칼로리 저감미도 대체감미료의 기본 특성 및 시장 동향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지난 수십 년간 설탕·고과당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감미료 개발과 판매가 이루어져 왔다. 크게 설탕보다 단맛이 강한 고감미료와 단맛은 약하나 기능성을 지닌 저감미도 감미료(당알콜, 올리고당, 희소당)로 구분되는 저칼로리 대체감미료 중 본 원고에서는 저감미도 대체 감미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감미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설탕·고과당을 대체하여 식품의 칼로리를 낮추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고감미도의 감미성분(이하 고감미료)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고감미료의 경우 극소량만 사용해도 설탕·고과 당과 유사한 감미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칼로리가 거의 제로에 가깝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제품의 칼로리 저감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감미료는 단독 사용할 경우 소비자가 느끼는 맛의 기호도가 낮아 실제로는 다양한 종류의 저칼로리 저감미도 당류 혹은 당알콜류와 혼합감미제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
제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된 배경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당 섭취에 따른 질병 (비만) 우려에 따라 일일 당 섭취량을 기존 일일 50 g에서 25 g으로 낮출 것을 권고하였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정부 주도하에 다양한 당류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정책이 활발히 논의 중에 있다(1). 우리 국민의 당류 섭취량은 지속 증가 추세로 13년 가공식품으로부터 당류 섭취량은 44.7 g, 에너지 섭취분율은 8.9%로 당류섭취권고기준 (첨가당 섭취량이 1일 에너지 섭취량의 10% 이내)에 근접하였고, 3~29세 연령층은 권고기준을 넘어섰으며, 섭취량이 연평균 3.5% 수준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청소년·장년층의 총 당류 섭취량은 적정섭취량 이내이지만 가공식품을 통한 섭취량은 이미 기준을 초과하였다. 이에,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6년 “제 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가공식품의 당류 표시 의무화 및 당류 저감화 성분 및 기술 보급 개발 추진 계획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였다(2).
대표적인 고감미료에는 무엇이 있는가? 칼로리를 기준으로 하여 열량성(caloric)과 비열량성(non-caloric) 또는 저열량성(low-caloric)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비열량성/저열량성 감미료는 크게 감미도에 따라 고감미료(HIS, high intensity sweetener)와 저감미도 감미료(LIS, low intensity sweetener)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고감미료는 수크랄로스, 사카린, 스테비아, 아스파탐 등이 있으며, 저감미도 감미료는 솔비톨, 자일리톨, 만니톨과 같은 당알콜류와 트레할로스, 타가토스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WHO. Healthy diet.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94/en/. Accessed Sep. 1, 2016 

  2. 식품의약품안전처. 당류 저감 종합계획 (2016) 

  3. Sugar and Sweeteners Yearbook Tables. Available from: http://www.ers.usda.gov/data-products/sugar-and-sweeteners-yearbook-tables.aspx. Accessed Sep. 1, 2016 

  4. Market and Markets. Sugar substitute market. (2014) 

  5. Helen M. Sweeteners and Sugar Alternatives in Food Technology. Wiley-Blackwell, Oxford (2006) 

  6. Koh ES, Lee TH, Lee DY, Kim HJ, Ryu YW, Seo JH. Scale-up of erythritol production by an osmophilic mutant of Candida magnoliae. Biotechnol. Lett. 25: 2103-2105 (2003) 

  7. Yang SW, Park JB, Han NSR, Y. W., Seon JH. Production of erythritol from glucose by an osmophilic mutant of Candida magnoliae. Biotechnol. Lett. 21: 887-890 (1999) 

  8. Jeya ML, K. M., Tiwari MK, Kim JS, Gunasekaran P, Kim SY, Kim IW, Lee JK. Isolation of a novel high erythritol-producing Pseudozyma tsukubaensis and scale-up of erythritol fermentation to industrial level. Appl. Microbiol. Biotechnol. 83: 225-231 (2009) 

  9. Moon HJ, Jeya M, Kim IW, Lee JK.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erythritol and its applications. Appl. Microbiol. Biotechnol. 86: 1017-1025 (2010) 

  10. Munro IC, Bernt WO, Borzelleca JF, Flamm G, Lynch BS, Kennepohl E, Bar EA, Modderman J. Erythritol: an interpretive summary of biochemical, metabolic, toxicological and clinical data. Food Chem. Toxicol. 36: 1139-1174 (1998) 

  11. Ishikawa M, Miyashita M, Kawashima Y, Nakamura T, Saitou N, Modderman J.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erythritol on patients with diabetes. Regul. Toxicol. Pharmacol. 24: 303-308 (1996) 

  12. Byun SH, Lee CH. Studi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rythritol, substitude su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89-1093 (1997) 

  13. Malaja AJ, Hamalainen L, US. Process for making xylitol us Patent 4,008. 285 (1977) 

  14. Park YC, Oh EJ, Jo JH, Jin YS, Seo JH. Recent advances in biological production of sugar alcohols. Curr. Opin. Biotechnol. 37: 105-113 (2016) 

  15. Livesey G. Health potential of polyols as sugar replacers, with emphasis on low glycaemic properties. Nutri. Res. Rev. 16: 163-191 (2003) 

  16. Natah SS, Hussien KR, Tuominen JA, Koivisto VA. Metabolic response to lactitol and xylitol in healthy men. Am. J. Clin. Nutr. 65: 947-950 (1997) 

  17. Makinen KK. Sugar alcohol sweeteners as alternatives to sugar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xylitol. Med. Princ. Pract. 20: 303-320 (2011) 

  18. Grabitske HA, Slavin JL. Gastrointestinal effects of low-digestible carbohydrates. Crit. Rev. Food Sci. Nutr. 49: 327-360 (2009) 

  19. Grembecka M. Sugar alcohol-their role in the modern world of sweeteners: a review. Eur. Food Res. Technol. 241 (2015) 

  20. Mussatto SI, Mancilha IM. Non-digestible oligosaccharides: a review. Carbohydrate Polymers 68: 587-597 (2007) 

  21. Kang OL, Ghani M, Hassan O, Rahmati S, Ramli N. Novel agaro-oligosaccharide production through enzymatic hydrolysi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ood Hydrocolloid. 42: 231-316 (2014) 

  22. Crittenden RG, Playne MJ. Produc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food-grade oligosaccharides. Trends Food Sci. Tech. 7: 353-361 (1996) 

  23. Meyer TSM, Miguel ASM, Fernandez DER, Ortiz GM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oligosaccharides-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Food Produc. Indust. 2: 25-78 (2015) 

  24. Kaneko T, Kohmoto T, Kikuchi H, Shiota M, Iino H, Mitsuoka T. Effect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with different degrees of polymerization on human faecal bifidobacteria.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2288-2290 (1994) 

  25. Oku T, Nakamura S. Digestion, absorption, fermentation, and metabolism of functional sugar substitutes and their available energy. Pure Appl. Chem. 74: 1253-1261 (2002) 

  26. Granstrom TB, Takata G, Tokuda M, Izumori K. Izumoring: a novel and complete strategy for bioproduction of rare sugars. J. Biosci. Bioeng. 97: 89-94 (2004) 

  27. Beadle JR, Saunders JP, Wajda TJ. Process for manufacturing tagatose. European Patent 0518874 (1996) 

  28. Yang SJ, Kim YH, Kim SB, Park SW, Park IH, Kim MH, Lee YM. Manufacturing method for tagatose. Korea Patent: 10-1550796 (2015) 

  29. Oh DK, Lee SH, Hong SH. A production method of tagatose from fructose by combinatorial enzyme reactions and composition for production of tagatose. Korea Patent: 10-1480422 (2015) 

  30.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원료 인정 (제2011-37호). (2011) 

  31. Ensor M, Williams J, Smith R, Banfield A, Lodder RA. Effects of three low-doses of D-tagatose on glycemic control over six months in subjects with mild type 2 diabetes mellitus under control with diet and exercise. J. Endocrinol. Diabetes Obes. 2: 1057 (2014) 

  32. Koh JH, Choi SH, Park SW, Choi NJ, Kim YH, Kim SH. Synbiotic impact of tagatose on viability of Lactobacillus rhamnosus strain GG mediated by the phosphotransferase system (PTS). Food Microbiol. 366: 7-13 (2013) 

  33. Lim J. Consumer testing report (2011) 

  34. Lee YM, Kang MW, Kim YJ, Kim SB, Park SW. Low caloric coffee mix composition prepared by using D-tagatose. Korean Patent 10-1366404 (2014) 

  35. 식품의약품안전처, 제2015-6호 (2015). 

  36. Takeshita K, Suga A, Takada G, Izumori K. Mass production of D-psicose from D-fructose by a continuous bioreactor system using immobilized D-tagatose 3-epimerase. Biochem. Eng. 90: 453-455 (2000) 

  37. Kim HJ, Hyun EK, Kim YS, Lee YJ, Oh DK. Characterization of an Agrobacterium tumefaciens D-psicose 3-epimerase that converts D-fructose to D-psicose. Appl. Environ. Microb. 72: 981-985 (2006) 

  38. Mu W, Chu F, Xing Q, Yu S, Zhou L, Jiang B. Cloning,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D-psicose 3-Epimerase from Clostridium cellulolyticum H10. J. Agri. Food. Chem. 59: 7785-7792 (2011) 

  39. Zhu Y, Men Y, Bai W, Li X, Zhang L, Sun Y, Ma Y. Overexpression of D-psicose 3-epimerase from Ruminococcus sp. in Escherichia coli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D-psicose production. Biot. Lett. 34: 1901-1906 (2012) 

  40. Mu W, Zhang W, Fang D, Zhou L, Jiang B, Zhang T. Characterization of a D-psicose-producing enzyme, D-psicose 3-epimerase, from Clostridium sp. Biot. Lett. 35: 1481-1486 (2013) 

  41. Frost & Sullivan. Market Research (2016) 

  42. Iida T, Kishimoto Y, Yoshikawa Y, Hayashi N, Okuma K, Tohi M, Yagi K, Matsuo T, Izumori K. Acute D-psicose administration decreases the glycemic responses to an oral maltodextrin tolerance test in normal adults. J. Nutr. Sci. Vitaminol. 54: 511-514 (2008) 

  43. Iida T, Hayashi N, Yamada T, Yoshikawa Y, Miyazato S, Kishimoto Y, Okuma K, Tokuda M, Izumori K. Failure of D-psicose absorbed in the small intestine to metabolize into energy and its low large intestinal fermentability in humans. Metab. Clin. Exp. 59: 206-214 (2010) 

  44. Han Y, Han HJ, Kim AhC, J. Y;l, Park YB, Jung UJ, Choi MS. D-allulose supplementation normalized the body weight and fat-pad mass in diet-induced obese mice via the regulation of lipid metabolism under isocaloric fed condition. Mol. Nutr. Food Res. 60: 1695-170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