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센서 기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주변 환경이 센서에 미치는 요인들에 따라 성능이 크게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이 다수 등장했지만, 영상에서 화염의 특성을 사람이 직접 정의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때문에 유사 개체에 대해 오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프레임간의 움직임을 이용할 경우, 네트워크가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의도한 알고리즘이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염의 후보 영역을 먼저 검출한 다음, 학습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해서 최종적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CNN을 활용한 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출률미검출율오검출률의 비교를 통해서 기존 연구에 비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formance of the existing sensor-based fire detection system is limited according to factor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ensor. A number of image-based fire detection systems were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 But such a system can generate a false alarm for objects similar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 영상 기반의 화재 감지 방법은 경험적, 실험적 임계치 설정으로 인해 실제 상황에 적용이 어렵고, 화염과 유사한 개체에 대해 오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영상 프레임간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화재 감지의 경우 네트워크가 원활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의도한 알고리즘이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한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특히 딥러닝의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모델 가운데 하나인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해서 화염을 학습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 컬러 모델을 이용하지 않고 영상 처리를 통해서 화염을 감지하는 방법은 사람이 직접 정의한 화염의 특성을 이용해서 화염 발생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런 감지 방법은 사람이 인식하지 못한 화염의 특성은 고려할 수 없기 때문에 화염을 제대로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영상 내 화염의 특성을 자동으로 추출해서 화염을 검출할 수 있도록, 딥러닝 알고리즘 가운데 하나인 CNN을 활용해서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한편, 1/2로 감소시켰을 때 학습 속도와 정확도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ffeNet의 컨볼루션 계층과 완전 연결 계층의 노드 수를 1/2로 감소시켜서 화재 감지를 위한 CNN을 구성하였다.
  • 따라서 각 파라미터의 수가 매우 많아서 학습에 아주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충분한 학습 데이터가 없으면 제대로 학습이 되지 않아 오분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염 분류에 적합한 CNN 을 구성하기 위해 CaffeNet의 컨볼루션 계층과 완전 연결 계층의 노드 수를 변화시키면서 CNN의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그 결과 각 계층의 노드 수를 1/8 이상 감소시킬 경우 CNN의 규모가 너무 작아져서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1/4로 감소시켰을 때는 학습 속도는 빠르지만 학습 데이터에 과적합(overfitting)되는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림 3과 같이 4,130개의 검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CNN의 학습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Intel Core i7-5930의 CPU와 GTX Titan X GPU의 컴퓨팅 환경에서 CNN의 학습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화재 감지에 활용한 CNN은 16,529개의 학습 데이터를 이용해서 15만 번 학습을 반복했으며, 학습에 소요된 시간은 약 25시간 정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딥러닝이란 무엇인가? 딥러닝은 여러 비선형 변환 기법을 이용해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통해 데이터의 주요 특징들을 추출한 다음, 데이터 군집 및 분류를 수행하는 기계학습의 일종으로, Auto Encoder, DBN (Deep Belief Network), CNN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최근 영상인식을 포함한 여러 영역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국제 영상 인식 대회인 ImageNet Challenge에서는 2012년 제프리 힌튼 교수의 Deep CNN이 기존의 다른 영상 처리 기술들을 크게 앞서며 상위권을 휩쓰는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3], 이후 지속적으로 딥러닝을 적용한 모델들이 상위권에 오르고 있다.
오인 출동으로 인한 피해는? 우리나라 국민안전처의 화재 출동 현황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약 500,000건의 출동 중 오인으로 인한 건수가 290,000건 이상으로, 50% 이상의 오인 출동이 발생하고 있고, 화재 시스템의 경보 오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오인 출동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 이러한 오인 출동은 인적, 물적 낭비를 초래하고, 실제 화재에 대해 신속한 대처가 어려워짐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경보 오동작에 따른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비 화재 요소를 화재로 판단하는 오경보를 줄이면서 화재를 정확하게 감지할수 있는 화재 감지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기존의 화재 감지 방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화재 감지 방법은 주로 화재 센서(연기, 불꽃, 온도 등) 기반의 화재 감지와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처리 기반의 화재 감지로 구분된다. 화재 센서 기반의 화재 감지는 주변 환경의 여러 요인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이 크게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연기 센서는 통풍이 잘 되는 공간이나 화재 발생 시 센서 주변으로 공기의 확산이 발생하면 화재를 잘 감지하지 못하고, 불꽃 센서의 경우 자외선 감지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연기 혹은 기타 요소에 의해 자외선이 흡수되어 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National Fire Data System, statistics from 2011 to 2015 [Internet]. Available: http://www.nfds.go.kr/fr_base_0001.jsf. 

  2. T. Celik and H. Demirel, "Fire Detection in Video Sequences Using a Generic color Model," Fire Safety Journal, vol. 44, no. 2, pp. 147-158, Feb. 2009. 

  3. A. Krizhevsky, I. Sutskever, and G. Hinton,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p. 1097-1105, 2012. 

  4. Y. Jia, E. Shelhamer, J. Donahue, S. Karayev, J. Long, R. Girshick, S. Guadarrama, and T. Darrell "Caffe: An open source convolutional architecture for fast feature embedding," in Proceeding of the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ACM, pp. 675-678, 2014. 

  5. W. B. Horng, J. W. Peng, and C. Y. Chen. "A new image-based real-time flame detection method using color analysis," in Proceeding of the IEEE Networking, Sensing and Control, pp. 100-105, 2005. 

  6. Y. T. Do, "Visual Sensing of Fires Using Color and Dynamic Features",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1, no. 3, pp. 211-216, Mar. 2012. 

  7. O. Russakovsky, J. Deng, H. Su, J. Krause, S. Satheesh, S. Ma, Z. Huang, A. Karpathy, A. Khosla, M. Bernstein, A. C. Berg, L. and Fei-Fei,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115, no. 3, pp. 211-252, April. 2015. 

  8. B.U. Toreyin, Y. Dedeoglu, U. Gudukbay, and A. E. Cetin, "Computer vision based method for real-time fire and flame detection." Pattern recognition letters, vol. 27, no. 1, pp. 49-58, Jan. 2006. 

  9. K. H. Cheong, B. C. Ko, and J. Y. Nam,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Bayesian Network,"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vol. 15, no. 2, pp. 87-94, Feb.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