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건설사업의 최적 발주방식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Deliver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7 no.5, 2016년, pp.22 - 34  

박희택 ,  박찬식 (중앙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발주제도는 입 낙찰제도와 뚜렷한 구분이 없이 혼용되고 있으며, 선정할 수 있는 기준 자체도 단순히 사업예산이나 추정금액에 의해 정해지고 있다. 발주방식은 본래 사업의 특성이나 유형, 목적 등 다양한 요인들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결정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예산이나 기간, 획일적인 법 규정으로 인해 탄력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적 발주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 및 면담조사, 통계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영향요인을 발굴하고, 최종 발주방식 유형별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여, 실무 적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의사결정지원모델은 향후 발주방식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기존 업무관행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ject Delivery System (PDS) is used in mixed way without clear classification from tendering system and the standard itself that can be selected is set with project budget or estimated cost only. Essentially, the PDS should consider and reflect project characteristics and types, internal an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의사결정지원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연구의 수행 절차 및 방법을 통해 개발하고자 한다.3)
  • 공공건설사업의 합리적인 발주방식 선정을 위하여 앞서 정립된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 발주방식의 유형과 특성을 반영하여 적정한 그룹으로 분류 및 결과값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기법인 피셔(Fisher’s)의 선형판별함수를 활용하였다.
  • 국내 공공건설사업의 발주제도에 관하여 수행된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와의 차별성을 살펴보고, 현행 발주방식 운영체계의 개선필요성을 제시한다. Table 1은 기 수행된 연구들의 주요 내용을 요약 · 정리한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수행 된 연구결과와 공공기관 및 건설업체 간 발주방식에 관한 인식차이 및 개선필요성의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공건설사업의 발주방식을 보다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한 의사결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 동안 끊임없이 발생한 입찰담합, 변별력, 부정부패, 투명성 및 공정성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발주방식 선정업무가 입·낙찰방식에 비해 좀 더 중요하다는 인식제고와 함께 효율성, 적합성,공정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체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공건설사업 기획단계의 핵심업무 중 하나인 발주방식 즉, 사업수행방식 선정에 관한 운영실태 파악 및 개선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발주방식 선정관련 담당자의 전문지식 보유 수준이나 업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전문교육을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공공기관에서는 발주방식 선정업무를 전문지식을 보유한 담당자가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한데 반해, 건설업체에서는 그렇지 않은 담당자가 수행하고 있을 것으로 답변하였다.
  • 본 사례는 신용보증기금법에 의해 설립된 신용보증기금이 중·소기업의 금융을 원활히 하고 신용보증의 효율적인 관리운용을 통해 신용질서를 확립함으로써, 균형 있는 국민경제발전을 위한 목적으로 발주된 사업이다.
  • 본 사례는 한국전력공사의 핵심기술 사업화 연구·개발기술 전수 등 교육환경의 통합구축을 통한 시장중심의 지속적인 성장전략 추진과 글로벌 해외 시장 진출확대에 따른 시장수요 중심의 맞춤형 인력양성 및 기술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발주된 사업이다.
  • 본 연구는 공공건설사업의 현행 발주방식 선정에 관한 업무수행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 및 건설업체에서 공공건설사업의 발주체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적절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최적 발주방식 선정을 지원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방법을 제안하였다.
  • 이상과 같이 공공기관의 발주방식 선정에 관한 전반적인 운영체계 및 현황과 업무특성에 따른 요인별 고려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공기관은 발주방식 선정관련 업무의 수행절차 및 방법, 세부기준, 결과 등에 대하여 사업 참여주체들과 인식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은 기존 발주기관 중심의 업무방식에서 건설업체의 계약담당자가 발주방식 선정 시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발굴하여, 이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발주방식결정 지원모델이나 방법을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개선방안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건설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발주방식을 합리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발주방식 선정 시 공공건설사업에 관하여 발주업무를 담당하는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 차원의 모델을 의미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주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립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요인들의 각 특성을 파악하고 속성에 대한 정의를 재정리하였다. 다만, 책임형 CM 방식은 아직까지 국내에 정착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국내 공공건설사업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 하에서 이를 고려한 영향요인들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발주방식의 한계는 무엇인가?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발주방식은 공공기관의 사업목표 및 요구사항, 발주조직이나 담당자의 업무수행 능력, 그리고 건설산업의 사회적·문화적·환경적 측면이나 법·규정 등 다양한 내·외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발주방식이 선정된 결과에 따라 입·낙찰방식, 계약방식 등 중요한 후속업무가 결정되고, 최종적으로 사업의 성패에 귀결되기 때문이다(Hyun, 2003; Park, 2006; Yoo, 2008; Kim,2008).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발주방식이 다양한 내·외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 공공건설공사의 발주방식은 공공기관의 사업목표 및 요구사항, 발주조직이나 담당자의 업무수행 능력, 그리고 건설산업의 사회적·문화적·환경적 측면이나 법·규정 등 다양한 내·외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발주방식이 선정된 결과에 따라 입·낙찰방식, 계약방식 등 중요한 후속업무가 결정되고, 최종적으로 사업의 성패에 귀결되기 때문이다(Hyun, 2003; Park, 2006; Yoo, 2008; Kim,2008).1)
공공건설사업의 발주방식은 무엇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는가? 또한, 공공건설사업의 발주방식은 해당 사업의 목표, 목적,특성, 내·외부적 조건 등 다양한 요인들의 기능과 역할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발주기관에서 수많은 요인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나 동기부여를 할 만한 정책적·제도적 장치가 미흡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조차도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실정이다(Park,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 Khalil, M. I. (2002).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ject delivery method using AHP."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6), pp. 469-474. 

  2. Alarcon, L. F. and Ashley, D. B. (1996). "Modeling project performance f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Management, 122(3), pp. 265-273. 

  3. Cho, K., Hong, T., and Hyun, C. (2009). "Effect of project characteristics on project performance in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 l,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6(7), pp. 10461-10470. 

  4. Choi E. A. (2009). "Selection criteria of project delivery systems by type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focused on the proje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MS Thesis, Dong-Eui Univ. 

  5. Edmond W. M. L., Albert P. C. C., and Daniel W. M. Chan (2008). "Determinants of Successful Design-Build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4(5), pp. 333-341. 

  6. Ibbs, C. W., Kwak, Y. H., Ng, T., and Odabasi, A. M. (2003). "Project delivery systems and project change: Quantitative analysi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29(4), pp. 382-387. 

  7. Jeong D. W. (2006). Development of a contractor selection process using best value concept for public design-build projects, MS Thesis, Seoul Univ. 

  8. Jeong S. R. (2011). Selection Model for Decision Method of Qualified Party for Design in Design-Build Delivery System, MS Thesis, Seoul Univ. 

  9. Kim. K. R, and Yoo L. H. (2008). "Th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Project Delivery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IK, 52(2), pp. 16-18. 

  10. Kim K. S. (2013). A Study on Selection Method of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MS Thesis, Chung-Buk Univ. 

  11. Kim K. I., Seo Y. C., and Hyun C. T. (2001). "The Delivery System Selection Procedure in the Large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IK, 17(3), pp. 51-58. 

  12. Kim D. Y. (2004). "Risk based Profitability Forecasting in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MS Thesis, Yon-Sei Univ. 

  13. Kim S. I. (2001). A Study on the Change and Persistence of Public Construction's Bidding Contract System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14. Kim S. I., Chang C. K., Park D. K., and Bae Y. C. (2014). "Improvement of Architecture-Engineering Service Procurement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5), pp. 61-70. 

  15. Lee S. H. (2005). A study on recent status and operating for bidding system of overseas improvement bidding system of domestic,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16. Lee S. B.,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Criteria in Selecting Construction Manager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MS Thesis, Chung-Ang Univ. 

  17. Lee K. S. (2002). "Improvement of Construction Delivery System." KRIHS, 33, pp. 34-45. 

  18. Minchin Jr, R. E., Li, X., Issa, R. R., and Vargas, G. G.(2013). "Comparison of cost and time performance of design-build and design-bid-build delivery systems in Florid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9(10), pp. 139-148. 

  19. Moon H. (2008). "Understanding for Determining Project Delivery System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KRIHS, 320, pp. 150-159. 

  20. Moon H. S. (2007). Selection criteria of delivery methods for domestic multi-housing construction project. MS Thesis, Seoul Univ. 

  21. Moon H. S. (2008). "The Analysis on the Impact Factors of Delivery Method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9(3), pp. 75-84. 

  22. Oh S. Y., and Lee M. Y. (2014). Guidebook of Construction Procurement, Korea Institute of Procurement. 

  23. Park H. T. (2015).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Optimal Deliver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 

  24. Pishdad-Bozorgi, P., and de la Garza, J. M.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Bid-Build and Design-Build from the Standpoint of Claims. In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12@ Construction Challenges in a Flat World." ASCE, pp. 21-30. 

  25. Seo Y. C. (2003). A Model for selecting project delivery system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MS Thesis, Seoul Univ. 

  26. Tak S. W. (2008).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Model of Project Procurement System based on Owner's Requirement : Focused on Value Evaluation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MS Thesis, Dan-Kook Uni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