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의 안전 의식 실태 및 안전 보건 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 Health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3, 2016년, pp.81 - 91  

윤송이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유혜숙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safe awarenece, its related health education and the employee's requirements in a prime supplier and its subcontractor company, suggesting the proper measure in employee education program. Method : The employees of 'S' construction company and its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원청회사와 협력사와의 안전의식과 안전보건교육에 대해 분석하고 근로자들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여 안전보건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재해는 어떤 부분에 문제를 주는가? 산업재해는 근로자의 신체적, 심리적 문제뿐 아니라 기업의 운영에 있어서도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중요한 문제이다(박윤희 등, 2016; Boden 등, 2001; Clarke, 2000; Weil, 2001). 특히 산업 재해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산업은 건설업으로 국가적인 당면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조재환, 2009).
산업안전보건교육에서 지식이나 기능전달도 중요하지만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이에 대기업을 중심으로 안전교육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나 소규모의 실제작업장에 적용하여 건설 재해를 줄이기는 부족한 상황이며, 자발적인 교육 참여 유도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김은정 등, 2008). 이러한 이유는 일괄교육에서 기인하며, 근로자의 특성과 직무에 대한 고려 없이 대부분 주입식 강의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안전보건공단, 2006; 이백현과 정수일, 2007; 이승호 등, 2012).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교육에서 지식이나 기능전달도 중요하지만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건설 공사 중 재해 위험이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건설산업이 대형화되면서 건설현장의 작업방법이 다양하고 복잡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건설 공사 중 재해 위험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양윤선 등, 2009). 2015년 한 해 동안 건설재해를 당했던 근로자수는 82,210명 이었고, 그 중 955명은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종철, 장성록(2004).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인센티브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19(4), 129-134. 

  2. 고용노동부(2014). 산업재해 현황분석. 

  3. 김은정, 김경래, 신동우(2008). 건설근로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개선방향.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9(3), 175-184. 

  4. 김철식, 송철기(2003). 산업재해 분석을 통한 안전교육 훈련의 개선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6(2), 15-21. 

  5. 박계형(2010). 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산업체 종사자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윤희, 윤관식, 배광민 등(2016). 산업안전보건 분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직무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직무교육 이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5(1), 67-95. 

  7. 박준호(2014). 정량적 위험성 평가에 의한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작업의 최적 매뉴얼 설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서성진(2015). 조선소 사내 협력사 안전의식 실태분석을 통한 안전보건교육 개선방안.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신기남, 주선우, 양상현(2015).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6(5), 3484-3490. 

  10. 양윤선, 박종현, 이찬식(2009). 건설 근로자의 직종별 재해 리스크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10), 149-156. 

  11. 이경훈, 박해천, 심민영 등(2009). 영세사업장 종사자의 산업안전보건법 의식제고 및 안전활동 향상을 위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1), 79-91. 

  12.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2006). 정기 안전보건 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13. 이백현, 정수일(2007).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안전교육 방안 연구: 인천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9(2), 19-31. 

  14. 이승호, 정도영, 이영미(2012).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 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3(3), 1069-1076. 

  15. 이종열, 신기령(2012). 석유화학 장치사업장 조직 구성원의 안전 의식과 안전 문화수준 측정에 과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8(4), 65-86. 

  16. 이찬종(2007).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의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장짐, 안성훈(2014). 건설근로자 안전의식 향상방안. 한국정보통신학회지, 14(5), 451-457. 

  18. 전경일, 이왕기, 손기상(2015). 안전문화 실무 정착을 위한 적용성. 문화산업연구, 15(4), 135-143. 

  19. 정성훈(2010). 건설근로자의 체계적인 안전보건교육 제도 도입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0(1), 81-91. 

  20. 정원일, 이명선, 전용일(2013). 안전교육 의무화와 산업재해. 한국위기관리논집, 9(10), 149-164. 

  21. 조재환(2009). 건설업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및 안전교육과 산업재해의 인과 효과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2002). 주요 외국의 산업안전보건 제도 및 재해예방활동. 

  23. 한국산업안전관리공단(2015). 산업재해조사 보고서. 

  24. Boden LI, Biddle EA, Spieler EA(2001).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workplace illness and injury. Am J Ind Med, 40(4), 398-402. 

  25. Clarke SG(2000). Safety culture: Under -specified and overrated? Int J Management Rev, 2(1), 65-90. 

  26. Heinrich HW(1980). Industry accident prevention. 5th ed, New York, Mcgraw Hill Book Co, 22. 

  27. Weil D(2001). Valuing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work injury and illness. Am J Ind Med, 40(4), 418-4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