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 근로자의 안전행동 영향요인들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analysis between safe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workers' behavior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1, 2013년, pp.101 - 114  

신동필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이동은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기존의 타 분야에 적용되어왔던 안전행동의 개념을 건설업 근로자에게 도입하여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과 설명력을 분석하고 건설업 근로자에게 있어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며, 각 요인들과 안전행동 변인들 간의 종합적인 구조모형을 설정하여 간접적인 영향력까지 분석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통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선출하고 건설업 근로자의 안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조직몰입, 스트레스 반응, 안전동기, 안전지식, 안전 분위기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변인들 간의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분석을 위해 대구 경북의 건설현장의 건설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고, SPSS18.0과 AMOS18.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의사소통, 교육훈련은 직접적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경영가치, 직속상사, 의사소통, 교육훈련은 안전동기, 안전지식,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relative to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safety of construction worker's actions. It identifies the factors which are involved in the safety behavior exercised by construction worker. They are compiled from existing studies that investigates the factors relative to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행동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안전행동은 조직몰입, 스트레스 반응, 안전동기, 안전지식, 안전 분위기 등 관련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첫 번째 조직몰입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본 선행연구에서 종업원의 조직에 대한 정서적 애착과 일체감을 나타내는 정서적 몰입 (affective commitment)은 안전행동의 순응행동과 참여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재직에 대한 의무감을 반영하는 규범적 몰입(normative commitment)은 순응행동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분위기는 어떻게 정의되는가? 안전분위기는 조직에서 근로자들의 안전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공유된 지각으로 정의된다(Dejoy 2004). 이에 본 연구는 안전분위기를 조직특성과 동일한 의미로 간주하여, 조직에 대한 분위기 및 스트레스 반응 관련 변인을 포함한다.
안전분위기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Boswell & Wilhoit(2004)은 조직분위기가 결과변수인 직무 만족과 스트레스 및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안전분위기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계수 (2010).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pp.112. 

  2. 김기식.박영석(2002)."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 15권, 제 1호. 

  3. 김진원.김요한.김주형.김재준 (2004). "건설재해의 유형분석을 통한 안전사고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 10권 제 2호. 

  4. 문광수.이재희.오세진 (2011).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 24권 제 1호. 

  5.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pp. 17. 

  6. 안관영.박노국.전영승 (2003)." 안전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 요인의 관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연구지, 제 25권 제 4호. 

  7. 안민재.박용수.김의식 (2008). "TQM이 건설업자의 기업성 과인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 9 권 제 4호. pp.163-172 

  8. 유준혁.현창택.문현석.손명진 (2012). "중.소형 건설공사를 위한 기술제안입찰 평가기준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 13권 제 1호. pp.95-105 

  9. 이계훈.이재희.오세진(2011)." 건설현장 관리자들의 안전관리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관리 기법의 도입", 대한안전경영과학회 춘계학술대회, pp.143-151. 

  10. 이원형 (2005)."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이재희.문광수.오세진 (2010). "스트레스 반응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분위기의 중재효과",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 12권 제 2호 

  12. 이종한.이종구.석동헌 (2011). "조직 안전풍토의 하위요인 확인 및 안전행동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 24권 제 3호. 

  13. 정지희(2010)." 개인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이 안전 및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최수일.김홍 (2006). "건설현장의 안전 분위기와 작업자 안전 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제 21권 제 5호. 

  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2), 산업재해 발생현황 분석. 

  16. Bakker, A. B., Karen, I., Zee, V. D., Lewig, K. A., & Dollard, M. F.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burnout: A study among volunteer counselo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 pp.31-50 

  17. Dann, K. & Griffin, R. W. (1999)." Health and well-being in the workplace: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anagement, 25(3) pp.357-384 

  18. Dester, I., & Blockley, D. (1995) "Safety behavior and culture in constructio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1, pp.17-26 

  19. Grinffin, M. A. & Neal, A. (2000)." Perceptions of Safety at Work : A Framework for Linking Safety Climate to Safety Performance, Knowledge, and Motiv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 pp.347-358 

  20. Oliver, A., Cheyne, A., Tomas, J. M., and Cox, S. (2002).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on occupational accid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5, pp.473-488 

  21. Rasep, T., Kallasmaa, T., Pulver, A., & Gross-Paju, K. (2000)."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copongefforts in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Multiple Sclerosis, 6, pp.397-402 

  22. Sharon, G., & Langan-Fox, J. (2006). "Occupational stress, coping and strain: The combined/ interactive effect of the Big Five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41, pp.719-732 

  23. Warson, D., & Hubbard, B. (1996)." Adaptational style and dispositional structure; Coping in the context of the five-factor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64, pp. 737-774 

  24. Zohar, D. (1980). "Safety climate in industrial organizations: Theoretical and applied implications", Journal of Appled Psychology, 65(1), pp.96-1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