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or adults who d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3, 2016년, pp.91 - 109  

박홍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박선영 (충남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장혜경 (충남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박진 (나사렛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mainly aimed to investigate on the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uitability for speaker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90 college students who do not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sked to hear one of three audio recordings(i.e., fluent version, mildly-stuttered ve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 내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이란?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으로 마련된 지표에는 채용의 영역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편입되어 있다. 조직 내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이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글과 말을 읽고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이 뜻한 바를 파악하고, 자기가 뜻한 바를 글과 말을 통해 정확하게 쓰거나 말하는 능력이라고 하며 읽기, 쓰기, 말하기, 산술,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정의되고 있다(나은미, 2015). 사람들이라면 어느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상대가 있다면 항상 의사소통을 하며 살아가기에 당연하거나 평범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사회생활에서 의사소통능력이 필수적이고 중요한 이유는? 이것은 가정과 학교, 직장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진 조직 내에서 자신이 담당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오고 있다. 원활한 의사소통능력은 구성원들의 협력을 조장하고 활동을 조정하고 통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으로 마련된 지표에는 채용의 영역으로 의사소통능력이 편입되어 있다.
발달성 말더듬이란? 발달성 말더듬은 대표적 말유창성장애로, 주로 음소, 음절, 단어가 비정상적으로 반복되거나 말소리 연장이나 막힘과 같은 비운율적 발성으로 인해 말의 산출이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장애이다(이승환, 2010; van Riper, 1982). 대략 2세에서 5세의 발달과정에 나타나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평생 동안 말더듬으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 B. (2014).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 of School-age Students Who Stutter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3(2), 99-107. (안종복 (2014). 말더듬 학생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연구. 언어치료연구, 23(2), 99-107.) 

  2. Bloodstein, O. & Bernstein Ratner, N. (2008). A handbook on stuttering (6th edition).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Craig, A., Blumgart, E., & Tran, Y. (2009). The impact of stuttering on the quality of life in adults who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4, 61-71. 

  5. Davidow, J. H., Bothe, A. K., & Bramlett, R. B. (2006). The stuttering treatment research evaluation and assessment tool (STREAT): Evaluating treatment research as part of evidence-based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5, 126-141. 

  6. Dunlap, W. P., Cortina, J. M., Vaslow, J. B., & Burke, M. J. (1996). Meta-analysis of experiments with matched groups or repeated measures designs. Psychological Methods, 1, 170-177. 

  7. Gabel, R. M., Hughes, S., & Daniels, D. (2008). Effects of stuttering severity and therapy involvement on role entrapment of people who stutter.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41, 146-158. 

  8. Ingham, R. J., Warner, A., Byrd, A., & Cotton, J. (2006) Speech effort measurement and stuttering: investigating the chorus reading effect.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9(3), 660-670. 

  9. Hayhow, R., Cray, A. M., & Enderby, P. (2002). Stammering and therapy views of people who stamm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7, 1-17. 

  10. Hurst, M. I. & Cooper, E. B. (1983a). Employer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 1-12. 

  11. Hurst, M. I. & Cooper, E. B. (1983b).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attitudes toward stuttering.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8, 13-27. 

  12. Kent, R. D. & Read, W. C. (2002).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ition). San Diego, CA: Singular. 

  13. Kim, H. H. (1996). Perceptual, Acoustical, and Physiological Tools in Ataxic Dysarthria Management: A case report. Proceedings on the 2nd Conference in The Korean Society of Phonetic Sciences and Speech Technology (pp. 9-22). (김향희 (1996). 운동실조형 마비성 구음장애에 적용되는 지각적, 음향학적, 생리학적 도구에 관하여: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제2회 음성학 학술대회자료집, 9-22.) 

  14. Kim, J. S., Chung, H. C., Kim, Y. S., & Cho, Y. R. (2015). A Study on Application of NCS Recruiting Systems in Public Organization: Based on NCS Recruiting Performance During the First Half Year in 2015. Journal of Skills and Qualifications, 4(1), 65-84. (김진실.정형철.김연식.조양래 (2015). NCS를 활용한 채용시스템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2015년 상반기 공공기관 NCS 채용 성과를 중심으로. 직업과 자격연구, 4(1), 65-84.) 

  15. Klein, J. F. & Hood, S. B. (2004). The impact of stuttering on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29, 255-273. 

  16. Lee, S. W. (2010). Fluency Disorders. Seoul: Sigma Press. (이승환 (2010). 유창성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17. Logan, K. & O'Connor, E. M. (2012). Factors affecting occupational advice for speakers who do and do not stutter.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37, 25-41. 

  18. Manning, W. H. (1996). Clinical Decisions Making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Fluency Disorders. Albany, NY: Delmar Publication. 

  19. Na, E. M. (2015). NCS Professional Basic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at Universities. Proceedings on the 2nd Conference in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pp. 119-133). (나은미 (2015). NCS의 직업기초능력과 대학에서의 의사소통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9-133.) 

  20. Owens, R. (1996).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5th edition). Boston, MA: Allyn & Bacon. 

  21. Park, J. & Park, H. Y. (2015). Perceptions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in-training Before and After Pseudo-stuttering Experience: Face-to-face Conversation versus Conversation over Telephone. Korean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27(4), 535-554. (박진.박희영 (2015). 대면대화상황과 전화대화 상황에 따른 언어치료학 전공학생들의 가짜말더듬효과 비교. 교육방법연구, 27(4), 535-554.) 

  22. Park, J., Oh, S., Jun, J. P., & K, J. S. (2015). Effects of background noises on speech-related variables of adults who stutter,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1), 27-37. (박진.오선영.전제표.강진석 (2015). 배경소음상황에 따른 성인 말더듬화자의 발화 관련 변수 비교. 말소리와 음성과학, 7(1), 27-37.) 

  23. Rami, M. K., Kalinowski, J., Rastatter, M. P., Holbert, D., & Allen, M. (2005), "Choral reading with filtered speech: effect on stuttering,"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00, 421-431. 

  24. Riley, G. (1994). The stuttering severity instrument for adults and children (SSI-3) (3rd edition). Austin, TX: PRO-ED. 

  25. Schlagheck, A., Gabel, R., & Hughes, S. (2009). A mixed methods study of stereotypes of people who stutter. Contemporary Issues i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36, 108-117. 

  26. Shim, H. S. (2000). A study on stereotypes of the Korean male adults who stutter.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5(1), 192-208. (심현섭 (2000), 한국 말더듬 성인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5(1), 192-208.) 

  27. Shim, H. S., Shin, M. J., & Lee, E. J. (2010). Paradise Fluency Assessment II (P-FA-II). Seoul: Paradise Welfare Foundation. (심현섭.신문자.이은주 (2010). 파라다이스 유창성 검사 II (P-FA-II). 서울: 파라다이스복지재단.) 

  28. Swartz, E., Gabel, R., & Irani, F. (2009).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ttitudes toward people who stutter. Canadi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33, 99-105. 

  29. van Riper, C. (1982). The nature of stuttering (2nd edi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0. Woods, C. L. & Williams, D. E. (1976). Traits attributed to stuttering and normally fluent male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19, 267-278. 

  31. Yaruss, J. S. & Quesal, R. W. (2004). Stuttering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n update.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37, 35-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