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검사어의 모음 환경과 길이 및 연령에 따른 비음치
Effects of vowel context, stimulus length, and age on nasalance scor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3, 2016년, pp.111 - 116  

신일산 (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하승희 (한림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someter is most commonly used to assess the presence and degree of resonance problems in clinical settings and it provides nasalance scores to identify the acoustic correlates of nasality. Nasalance scores are influenced by factors related to speakers and speech stimuli. This study aims to ex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어린 아동에게도 쉽게 적용 가능하며, 비음치를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검사어 길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사어의 모음 환경과 길이, 화자의 연령에 따라 비음치가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모음 환경에서 살펴보면 /이/모음 환경의 비음치가 높고 /아/모음 환경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모음과 비교해서 고모음이 많이 포함된 검사어 일수록 비음치가 높다는 선행연구와 일관성 있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10], [16], [17]. 저모음보다 고모음 환경에서 비음치가 높아지는 이유는 고모음을 산출할 때 혀의 뒷부분이 올라가면서 구인두강과 구강 뒷부분이 좁아져 구강 보다 비강으로 향하는 기류와 비강 내 음향학적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일 것이다.
  • 또한 아동에게 친숙한 어휘를 중심으로 문장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중모음이 포함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통제 및 보완이 필요하겠다.
  • 본 연구는 검사어의 모음 환경과 길이에 따라 비음치가 달라짐을 제시하고 있다. 과다비성과 비누출 문제와 같은 공명 문제를 평가할 때 모음 환경과 검사어 길이에 따라 비음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검사어를 신중하게 선택하고 해석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모음 환경, 검사어 길이, 연령에 따라 비음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음 환경과 검사어 길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명이란 무엇인가? 공명은 성대를 통해 만들어진 음성이 성도를 지나면서 구강과 비강에서 증폭되거나 감폭되는 현상을 의미한다[1], [2]. 이 과정에서 연인두 기제의 해부학적인 결함이나 신경학적 손상, 또는 기능적인 문제로 나타나는 의사소통 장애 유형을 공명장애라고 한다.
공명장애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공명장애는 일반적으로 과다비성(hypernasality)과 과소비성 (hyponasality)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공명 문제를 평가하는 방법은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측정기(Nasometer)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공명 문제를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인 청지가적 평가란 무엇인가? 공명 문제를 평가하는 방법은 청지각적 평가와 비음측정기(Nasometer)와 같은 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청지각적 평가는 구개열과 연인두 관련 장애, 말장애 평가에 있어서 가장 타당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청지각적 평가는 임상가의 지각에 의존하여 주관적이므로 임상가의 숙련도와 경험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청지각적 평가와 함께 공명 문제 정도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기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oone, D. R., McFarlane, S. C., & von Berg, S. L. (2005). The Voice and Voice Therapy (7th edtion). Boston, MA: Allyn & Bacon. 

  2. Kummer, A. W. (2001). Cleft Palate & Craniofacial Anomalies: Effects on Speech and Resonance. San Diego, CA: Singular. 

  3. Kuehn, D. P. & Moller, K. T. (2000). Speech and language issues in the cleft palate population: the state of the art.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37(4), 348-348. 

  4. Sweeney, T., Sell, D., & O'Regan, M. (2004). Nasalance scores for normal-speaking Irish children.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41(2), 168-174. 

  5. Litzaw, L. L. & Dalston, R. M. (1992). The effect of gender upon nasalance scores among normal adult speaker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5(1), 55-64. 

  6. Seaver, E. J., Dalston, R. M., Leeper, H. A., & Adams, L. E. (1991). A study of nasometric values for normal nasal resonanc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4(4), 715-721. 

  7. Rochet, A. P., Rochet, B. L., Sovis, E. A., & Mielke, D. L. (1998). Characteristics of nasalance in speakers of Western Canadian English and French.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 Audiology, 22(2), 94-103. 

  8. Mayo, R., Floyd, L. A., Warren, D.W., Dalston, R. M., & Mayo, C. M. (1996). Nasalance and nasal area values: cross-racial study.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33(2), 143-149. 

  9. Kim, M., Lim, S., & Choi, H. (2000b). Age and Sex differences in Nasalance Scores,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 11(2), 141-145. (김민정.임성은.최홍식 (2000b).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비음치 비교.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11(2), 141-145.) 

  10. Ha, S. & Cho, S. (2015). Nasalance scores for normal Korean-speaking adults and children: Effects of age, vowel context, and stimulus length.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extra, 79(8), 1235-1239. 

  11. van Doorn, J. & Purcell, A. (1998). Nasalance levels in the speech of normal Australian children.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35(4), 287-292. 

  12. Lim, S., Sim, H., Kim, H., & Choi, H. (2005). Nasalance Scores of 5 to 7-Year-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0(3), 71-88. (임성은.심현섭.김향희.최홍식 (2005). 5, 6, 7 세 정상아동의 비음치. 언어청각장애연구, 10(3), 71-88.) 

  13. Yu, S. (2006). Measurement and analysis of nasalance in normalkorean childre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유성철 (2006). 한국인 정상 아동의 비음치 측정 및 분석. 울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Watterson, T., Lewis, K. E., Homan, N. F. (1999). Effect of vocal loudness on nasalance measure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7, 257-262. 

  15. Lee, S. & Ko, D. (2003). The effects of vocal loundess on nasalance measures of normal adul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2), 191-203. (이수정.고도홍 (2003). 음의 크기가 정상성인의 비음도에 미치는 영향. 음성과학, 10(2), 191-203.) 

  16. Kim, M., Sim, H., & Choi, H. (2000a). The Effects of Phonetic Context and Stimulus Length on the Nasalance Score in Normal Adult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10(2), 97-101. (김민정.심현섭.최홍식 (2000a). 음운환경과 검사어 길이가 정상성인의 비음치에 미치는 영향. 언어청각장애연구, 10(2), 97-101.) 

  17. Lewis, K. E., Watterson, T., & Quint, T. (2000). The effect of vowels on nasalance scores.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37(6), 584-589. 

  18. Fletcher, S. G., Adams, L. E., & McCutcheon, M. J. (1989). Cleft palate speech assessment through oral-nasal acoustic measures. Communicative Disorders Related to Cleft Lip and Palate. Boston: Little, Brown, 246-257. 

  19. Watterson, T., Lewis, K. E., & Foley-Homan, N. (1999). Effect of stimulus length on nasalance scores. The Cleft palate-craniofacial journal, 36(3), 243-247. 

  20. Lim S., Sim, H., Kim, H., & Choi, H. (2005). Nasalance scores of 5 to 7-year-old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10(2), 71-88. (임성은.심현섭.김향희.최홍식 (2005). 5, 6, 7 세 정상아동의 비음치. 언어청각장애연구, 10(2), 7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