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보건사업 협력 네트워크 분석
The network analysis for school health program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3, 2016년, pp.1 - 11  

배상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및 사회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challenging issue of public health program is to strengthen partnership and network between health resource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health program network. Methods: In this paper we collected data from schools and organizations in 4 loc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교보건법은 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 건강검진, 예방접종 위주로 학교보건을 규정하어 있어 현재 학교를 통하여 실행되고 있는 청소년 대상 보건사업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전에 보건소 직원들과 협의하여 학교 보건사업의 종류와 협력의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거하여 협력 여부가 확인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 내 가평군, 구리시, 군포시, 화성시 총 4개 지역에서 형성된 학교 보건 사업 협력 관계를 네트워크 방법론을 통해 분석했다. 먼저,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 학교 보건 사업 협력 관계를 네트워크 지형도로 변형시켰다.
  •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보건소가 보건사업을 위해 얼마나 지역사회기관과 연계, 협력하는 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보건소의 학교 보건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과의 협력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교보건사업에 참여하는 기관, 조직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징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특징은 자원 사이의 협력관계 파악이외에 보건사업의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다.
  •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보건사업의 협력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련 이해관계자나 기관을 충실하게 조사 대상자에 포함시켜 협력 여부를 조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연구는 조사대상 지역의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협력기관을 조사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1회 이상 협력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학교 이외의 기관들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snowballing representation) 방식으로 협력 대상 기관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학교 보건사업과 관련된 조사지역 내 모든 기관을 조사대상에 포함시키려고 노력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생애주기 사업 중 하나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보건사업의 협력네트워크를 조사하였다. 경로당이나 유아시설, 소규모 작업장과는 달리 학교에는 보건사업을 위한 인력과 시설 등의 자원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일방적인 사업지원이 아닌 상호협력적인 보건사업 네트워크의 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 최근 보건사업은 단위 보건사업을 생애주기별로 통합하여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하여 삶의 터(setting)를 통한 보건사업을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경기도 내 4개 시‧군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삶의 터인 학교를 대상으로 한 청소년 보건사업의 협력 네트워크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최근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이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잠재적 자원이나 협력관계, 거버넌스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Luke and Harris, 2007: Thornewill and Esterhay, 2014), 우리나라에서도 일부지역이나 방문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 등을 대상으로 분석결과가 발표되고 있다(Jung & Cho, 2007: Bae, Kang & Lee, 2007, Bae, Kang, Lee & Choi, 2009: Jang and Cho, 2012: Seo & Min, 2012).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보건소가 보건사업을 위해 얼마나 지역사회기관과 연계, 협력하는 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국내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 대한 한계점은 무엇인가? 최근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이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잠재적 자원이나 협력관계, 거버넌스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Luke and Harris, 2007: Thornewill and Esterhay, 2014), 우리나라에서도 일부지역이나 방문보건사업, 정신보건사업 등을 대상으로 분석결과가 발표되고 있다(Jung & Cho, 2007: Bae, Kang & Lee, 2007, Bae, Kang, Lee & Choi, 2009: Jang and Cho, 2012: Seo & Min, 2012).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보건소가 보건사업을 위해 얼마나 지역사회기관과 연계, 협력하는 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보건소의 학교 보건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기관과의 협력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미국은 공중보건체계를 무엇이라고 기술하였는가? 이러한 성가신 건강문제는 공공 보건기관이 직접 예산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휘 및 통제(command and control)’ 방식을 벗어나서 협력과 네트워크에 기초한 사업 수행방식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 2012).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은 공중보건체계를 “건강한 조건을 만드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춘 개인과 조직의 복잡한 네트워크”라고 기술하고, “이들은 단독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건강목표를 위해 함께 활동할 때, 하나의 체계-공중보건체계로서 활동”한다고 주장하였다(IOM, 2003). 세계보건기구 유럽지구도 ‘Health 2020’의 핵심요소로 전 사회적인 접근(whole of society approaches)을 중시하였으며(WHO, 2012), Thornewill과 Esterhay(2014)는 신 공중보건의 주요 특성으로 네트워크 리더십을 제시하였고, Hafron 등(2014)은 인구집단의 건강수준 향상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통합 보건체계(community-integrated health system)의 주요 특성의 하나로 공중보건기관과 지역사회 조직 사이의 보건사업 네트워크를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Bae, K. Kang, G. Lee. (2007). Community health resources and capacity. Junggu health center, Hallym health research center. 

  2. S. Bae, K. Kang, J. Kim, G. Lee, Y. Choi. (2009). Health city jungnangu project. Jungnangu health center, Hallym health research center. 

  3. S. S. Bae. (2012). "New Public Health and National Public Health System",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4), 195-214.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4). Manual of the 6th community health planning.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2015 manual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6. H. M. Seo, S. Y. Min. (2012).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network", Seoul Studies, 13(2), 89-108. 

  7. S. H. Yoo. (2009). "Health promotion research on community collaboration and partnership building: current emphases and direc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4), 83-90. 

  8. S. N. Jang, S. I. Cho. (2012).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Korea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1), 1-14. 

  9. M. S. Jung, B. H. Cho. (2007). "The influence of community capacity in health status". Health and Social Science, 22, 153-182. 

  10. M. S. Jung, B. H. Cho, S. C. Lee. (2007). "The network analysis for community voluntary organizations and its implication for community capacity building toward health promotion".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17(4), 54-81 

  11. Butterfoss, F., Kegler, M. (2002). Towar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mmunity coalitions: moving from practice to theory. In DiClemente, R.J., Crosby, R.A. and Kegler, M.C. (eds), Emerging theories in health promotion practice and research. Jossey-Bass, San Francisco, CA, 157-193. 

  12. Freeman, L. C. (1977).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on betweenness", Sociometry, 35-41. 

  13. Goodman, L.A. (1961). "Snowball sampling",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32(1), 148-170. 

  14. Halfon N, Long P, Chang D, Hester J, Inkelas M, Rodgers A. (2014). "Applying a 3.0 transformation framework to guide large-scale health system reform", Health Affairs, 33(11), 2003-2011. 

  15. Hopcroft, J., Tarjan, R. (1973). "Algorithm 447: efficient algorithms for graph manipulation", Communications of the ACM, 16(6), 372-378. 

  16. Hunter D. (2013). "Getting knowledge on 'wicked problems' in health promotion into action. in C. Clavier, E. Leeuw. (eds.) (2013). Health promotion and the policy proces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31-153. 

  17. Institute of Medicine. (2003). The future of the public's health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National Academies Press. 

  18. de Leeuw E, Keizer M, Hoeijmakers M. (2013). "Health policy networks: connecting the disconnected", In Clavier C, de Leeuw E. (eds.) Health Promotion and the Policy Process. 2013,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54-173. 

  19. Luke D, Harris J. (2007). "Network Analysis in Public Health: History, Methods, and Application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8, 69-93 

  20. Newman, Mark EJ. (2002). "Assortative mixing in networks", Physical review letters, 89.20, 208701. 

  21. Provan, K., Milward, H. (2001). "Do networks really work? A framework for evaluating public­sector organizational network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1(4): 414-423. 

  22. Schoen, M., Moreland-Russell, S., Prewitt, K., & Carothers, B.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of public health programs to measure partnership", Social science & medicine, 123, 90-95. 

  23. Scott, J. (2012).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24. Thornewill, J., Esterhay, R.. (2014). Network leadership: Improving population health through networks of people and organizations. in R. Esterhay, L. Nesbitt, J. Taylor, J. Bohn. (eds.)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policy, technology, 1st edition. Convurgent Publishing. 

  25. Turnock, B. (2008). Public health: what it is and how it works, 4 edition. Boston; Jones & Bartlett Publishers. 

  26.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Vol. 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WHO. (2012). Health 2020: Policy Framework and Strategy. Working document EUR/RC62/8.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Retrieved from http://www.euro.who.int/__data/assets/pdf_file/0020/170093/RC62wd08-Eng.pdf?ua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