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사업에 관한 주민센터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관심차이
A Study on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Projects Among Public Servants of Local Centers and Local Resi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521 - 530  

김유호 (충청대학교 보건행정과) ,  최규일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들과 지역주민들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차이를 조사하여 향후 주민센터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주민센터 공무원 집단 46명과 지역주민 10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세부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고, 자료 분석은 카이검정(Chi-Square)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주민센터 공무원 담당자들이 지역주민에 비해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업 관심도 평균 차이에서도 지역주민이 주민센터 공무원 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주민센터가 보다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역할을 확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센터 공무원 및 지역주민들의 보건사업 등에 관한 관심도를 높여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하고, 지역주민들의 보건사업에 대한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주민센터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creasing the interest in health projects for the public servants and local residents in the period ahead by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projects among the public servants at resident centers and the residents. For 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 주민센터가 보다 보건·복지의 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공무원들의 역할을 확대시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 역할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들과 지역주민들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 차이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주민센터가 보다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공무원들의 역할을 확대시키고, 공무원 및 주민들의 보건사업 등에 관한 관심도를 증가시켜, 통합적이고 유기적이며 능동적인 보건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과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을 비교하여 통합적인 보건·복지 서비스의 향상을 위해서는 주민센터 공무원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 및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가 통합적인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들과 지역주민들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 차이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도를 제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주민센터가 보다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공무원들의 역할을 확대시키고, 공무원 및 주민들의 보건사업 등에 관한 관심도를 증가시켜, 통합적이고 유기적이며 능동적인 보건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주민센터 공무원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와 지역주민의 보건사업에 대한 관심도를 비교함으로써 통합적인 보건복지 서비스를 수행·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0의 핵심전략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에는 건강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국가 건강증진 전략 도출 및 건강증진 정책 개발의 근거 확보와 국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20’이 제안되었다. 이 계획의 핵심전략은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방법(Setting approach for health promotion)’ 으로 우리의 삶에 지역주민이 주체적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생활터 중심의 건강증진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2].
생활터는 무엇인가? 생활터는 건강증진 활동의 대상자들이 거주와 활동을 하는 장소이며, 지역사회의 자원이 투입되는 곳이다. 생활터는 주로 스스로 건강증진을 위하여 동기부여 및 활동이 이루어지고, 건강증진 및 건강도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이다.
지역 특화 건강행태 개선 사업을 통해 추진하는 사업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최근에는 보건소에서 추진하는 지역 특화 건강행태 개선 사업이 개인적인 건강증진 서비스와 함께 생활터 접근을 강조하여 건강한 어린이집, 건강한 가정, 건강한 일터, 건강증진 학교, 건강한 경로당, 건강 아파트, 강 식당, 건강 마을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1]. 이러한 다양한 보건사업은 현재 보건소(보건지소, 보건진료소)나 보건의료원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앞으로 다양한 영역의 보건사업이 학교, 민간단체, 민간의료기관, 사업장 등을 통해 추진될 것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 Y. Kim, H. J. Kim, C. H. Kim. (2011).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2), 813-820. 

  2. S. Y. Lee, M. K. Seo, D. J. Kim, M. Y. Hong. (2009). Developing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Health Plan 2020 of Korea.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3. M. Dooris. (2006). Healthy settings: challenges to generating evidence of effectivenes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1), 55-65. 

  4. J. Naidoo, J. Wills. (2004). Health promotion : foundations for practice. Edinburgh ; New York : Bailliere Tindall. 

  5. J. S. Kim, B. G. Kim, H. H. Kim, K. W. Chang, Y. G. Kim. (2019). Performanc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for efficient community-oriented health promotion project. Seoul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ion.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6. J. Y. Lee. (2017).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Community-Based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6(0), 32-40. 

  7. L. B. Kim. (2015). Social Welfare Officer Personnel Policy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2015(2), 1071-1108. 

  8. L. B. Kim. (2016). Seeking Direction to Perform the Role of Public Social Workers. Social Welfare Policy, 43(4), 109-139. 

  9. J. S. Choi. (2014). The future key roles, essential competencies and curricula of social workers in local government-delphi surve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8(0), 19-44. 

  10. J. H. Lee, D. S. Rah, J. Y. Lee. (2015). From Local Government to Citizen Initiative : A Search for Seoul's Model of Self-Governance. Seoul : The Seoul Institute. 

  11. C. Park. (2017). Moon Jae-in Government's Five-Year Plan for State Administration] A Country of Righteousness. Monthly residents' autonomy, 71(0), 9-14. 

  12. H. W. Kim. (2018). A Evaluation of The Eup.Myeon.Dong Policie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2(1), 1-23. 

  13. MOIS. (2018). 2018 Public Responsibility Public Service Construction Project Promotion Plan. Seoul : MOIS. 

  14. Y. J. Ham, H. K. Kang, T. J. Ha, S. H. Lee, E. M. Seong, T. K. Yoo, Y. B. Kwon. (2017). A study on the policy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eup-myeon-dong welfare center. Sejong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IHASA. 

  15. K. D. Ahn, M. H. Do. (2015). Research on the operation plan of the visited resident center. Seoul : Seoul Welfare Foundation. 

  16. J. S. Kim, B. G. Kim. (2010).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Social Welfare Officials: Focused on Social Welfare Officials in Daegu Metropolitan City.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10(1), 289-321. 

  17. H. J. Choi, H. J. Lee. (2018). Core Competency Types of the 'Chat-Dong' Service Officials. Studies on Life and Culture, 48(0), 295-333. 

  18. T. S. Lee. (2016). Comparison of the Centr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Welfare Center" and Seoul's 'Going to the East Resident Center'.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2016(2), 165-1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