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잠재의미분석방법을 통한 학교보건 연구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chool Health Research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3 no.3, 2020년, pp.184 - 193  

신선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박윤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rends in school health research in Korea using 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analysis. The study longitudinally analyzed the abstra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over the recent 17...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연구대상으로는 우리나라 학교보건 관련 학회지 중 대표적인 학회지인 학교보건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으로 제한하여, 학교보건학회지의 정체성과 향후 학술지 발전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LDA를 학교보건연구 동향 분석연구에 적용하여 학교보건 연구의 주제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보건연구의 정체성 및 미래 연구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 연구대상으로는 우리나라 학교보건 관련 학회지 중 대표적인 학회지인 학교보건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으로 제한하여, 학교보건학회지의 정체성과 향후 학술지 발전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LDA를 활용하여 학술지 「한국학교 보건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에 대한 심층적 내용분석을 통해 주제 분포가 세월이 흐를수록 변화하는지 여부와 변화 형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학교보건연구에 대한동향과 추이를 가늠해 볼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과정에서 LDA가 도출한 각 잠재주제별 상위 용어들을 참고하였다. 이러한 LDA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해마다 학술지에 실리는 연구들이 다루는 대표적인 주제 분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 둘째, 연구동향의 분석을 통해 변화된 환경의 변화 및 요구에 대응하는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 동향 분석은 ‘연구에 대한 연구(research on the research)’로서 특정 학문 분야의 종전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변화의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보다 미래지향적인 연구를 촉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할 것이다[2].
  • 본 연구는 LDA를 활용하여 학술지 「한국학교 보건학회지」에 발표된 논문들에 대한 심층적 내용분석을 통해 주제 분포가 세월이 흐를수록 변화하는지 여부와 변화 형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학교보건연구에 대한동향과 추이를 가늠해 볼 수 있었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지구촌 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인한 코로나 등 건강문제의 심각한 위협으로 학생의 정상적 일상을 방해하면서 정신 건강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설 설정

  • [1 단계] 각 잠재주제 내에서 용어들의 확률분포인 β는 δ를 모 수치로 하는 디리클레 확률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이때 잠재주제들은 상호 독립적이라고 가정한다.
  • [2 단계] 각 문서의 잠재주제의 확률분포인 θ는 ⍺를 모 수치로 하는 디리클레 확률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3 단계] 한 문서의 단어의 수를 N이라고 하고 어떤 잠재주제, zi가 선택되었을 때 i번째 단어, wi는 다항확률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이때 잠재주제들은 상호 독립적이라고 가정한다.
  • 한편, 앞서 언급했듯이 LDA를 비롯한 확률적 잠재의미분석 모형들을 적용할 때 잠재주제들의 수는 알려져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 분석 상황에서 연구자는 잠재주제들의 수를 미리 알 수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obert Donmoyer, Michael Imber, James Joseph Scheurich. The knowledge base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multiple perspectives.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p. 1-31. 

  2. Bae SH, Jang HY, Oh SH, Jang CS, Lee TH.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a trend analysis of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2013;32(2):45-71. 

  3. Jung JS, Kim J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ool health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4;17(1):85-95. 

  4. Kwon SJ. Anaysis of research trends on school 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 (1):101-111. 

  5. Jo HI, Kim JW, Lee BG.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blockchain using LDA topic modeling: focusing on United States, China, and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9;20(7):1453-1460. https://doi.org/10.9728/dcs.2019.20.7.1453 

  6. Hong YH. Topic analysis of software education policy: focused on Busan regional newspapers.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2019;24(2):52-77. https://doi.org/10.22886/JKOS.2019.24.2.52 

  7. Kim JE, Pack SG. Analysis of issues on the college and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using text big data analytics. Asia-Pacific Education Review. 2016;17(3):409-436. https://doi.org/10.15753/aje.2016.09.17.3.409 

  8. Blei DM, Lafferty JD. A correlated topic model of science. The Annals of Applied Statistics. 2007;8(1):17-35. https://doi.org/10.1214/07-aoas114 

  9. Blei DM, Ng AY, Jordan MI.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2003;3:993-1022. 

  10. Zhai C, Massung S. Text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a practical introduction to information retrieval and text mining. San Rafael, Californi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nd Morgan & Claypool Publishers; 2016. p. 329-388. 

  11. Grun B, Hornik K. Topicmodels: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2011;40(13):1-30. https://doi.org/10.18637/jss.v040.i13 

  12. Akaike H. Information theory and an extens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principle. In: Petrov BN, Csaki F, editors.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formation theory. Budapest, Hungary: Akademiai Kiado; 1973. p. 267-281. 

  13. Schwarz G.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1978;6(2):461-464. https://doi.org/10.1214/aos/1176344136 

  14. Tein JY, Coxe S, Cham H. Statistical power to detect the correct number of classes in latent profil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12;20(4):640-657. https://doi.org/10.1080/10705511.2013.824781 

  15. Shin S, Seo D, Park M. Effectiveness of Latent Class Analysis (LCA) techniques to handle count data with excessive zeros in topic analysi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32nd florida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society; 2019 May 19-22; Florida, USA. 

  16. Ponweiser M. Latent dirichlet allocation in R [diploma thesis]. Iowa: Institute for Statistics and Mathematics; 2012. p. 1-138. 

  17. Wallach HM, Murray I, Salakhutdinov R, Mimno D. Evaluation methods for topic models. Pittsburgh: In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2009. p. 1105-1112. 

  18. Cao J, Xia T, Li J, Zhang Y, Tang S.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2009;72:1775-1781. https://doi.org/10.1016/j.neucom.2008.06.011 

  19. Chang J, Blei DM. Relational topic models for document networks.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tatistics. 2009;81-88. 

  20. Griffiths TL, Steyvers M.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4;101(suppl 1):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21. Collins LM, Lanza ST.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10. p. 77-110. 

  22. Chang CG. Development of school health indicator system for the health promotion of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2;25:204-213. 

  23. Park YJ.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school health promo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8;31:157-166. https://doi.org/10.15434/kssh.2018.31.3.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