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축사무실 내 식물 적용 후 재실자 안구 증상 및 실내공기질 평가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Eye Symptom of Occupants in Newly-built Office Building after Planting Indoor Plant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3, 2016년, pp.265 - 274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김호현 (평택대학교 환경융합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축사무실 건물 및 재실자를 대상으로 식물적용에 따른 안구건조 증상 및 실내공기질 등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종시 정부청사 신축건물 및 사무실 재실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적용에 따라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류와 알데하이드류 및 온 습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안구건조 증상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식물적용사무실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류의 감소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 식물적용으로 인한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적용 재실자에서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식물미적용사무실 재실자에서는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상승하였다. 재실자의 안구건조설문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식물적용 사무실 내 유해물질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재실자를 통한 설문조사결과 안구건조 및 새건물증후군 증상에 긍정적인 효과는 있었다. 개인의 민감도 등에 의한 차이 및 현장조사로 인한 연구의 제한점 등을 보완한 장기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ophthalmoxerosis symptom and IAQ (Indoor Air Quality) variation after planting indoor plants at newly-built office building. Methods: We selected a new office building located in Sejong-si and occupants who work in the Of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세종시 신축 정부 청사 및 재실자를 대상으로 안구건조 증상 등이 공기정화식물 적용을 통한 안구건조 증상 개선효과 여부 및 실내공기질의 변화, 건강증상의 호전도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공기오염은 무엇을 유발하는가? 이러한 알데하이드류(aldehydes)를 포함한 VOCs는 실내 주요 오염물질이며, 새건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building-related illness) 또는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실내공기오염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실내공기오염(indoor air pollution, IAP) 뿐만 아니라, 실내 자체 오염원으로 인해 재실자의 건강 이상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IAP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 부담에 대한 인식도 전세계적으로 매우 높아져 가고 있다.[2] 더불어 이러한 유해물질 등은 자극증상을 일으켜 안구건조, 가려움, 충혈, 결막충혈과 같은 증상 및 안구 질환을 유발하고, 실내 근무자의 작업생산성과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선행보고도 있다.
새건물로 인해 유새건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building-related illness) 또는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실내 오염적 원인은 무엇인가? 실내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들은 매우 다양하며, 최근에는 인체 발암성과 위해성이 있는 포름알데하이드 (HCHO)를 포함한 휘발성유기화합물류(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에 대한 감시와 제어의 중요성도 인식 되고 있다. 이러한 알데하이드류(aldehydes)를 포함한 VOCs는 실내 주요 오염물질이며, 새건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building-related illness) 또는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실내공기오염은 대기오염으로 인한 실내공기오염(indoor air pollution, IAP) 뿐만 아니라, 실내 자체 오염원으로 인해 재실자의 건강 이상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IAP로 인해 유발되는 질병 부담에 대한 인식도 전세계적으로 매우 높아져 가고 있다.
실내공기정화식물로 불리는 화훼식물은 어떠한 기전에 의해 실내 공기 정화의 대안으로 사용 가능한가? 실내공기정화 제품 및 검증되지 않은 실내 시공기술들이 난무하는 요즘 실내공기정화식물로 불리는 화훼식물은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하나의 건전한 대안으로써 사용 가능 할 수 있다. 첫째, 식물의 증산작용은 식물의 수분이 식물체의 표면에서 수증기가 되어 배출되는 현상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고, 공기의 이동을 일으키는 식물의 능력은 실내식물의 실내공기정화에 중요한 역할이 된다.[5] 즉, 일반적인 실내공기는 보통 건조한데, 이 때 실내식물에서 일어나는 활발한 증산작용은 오염된 공기를 식물 뿌리의 주변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와주고, 뿌리 주변에서는 토양 속 미생물이 인간에게 유해한 가스를 분해하여 실내환경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6,7] 둘째, 실내식물은 친환경적이고 비용 대비 효과적으로 온도 및 습도 등을 조절하고, 인간의 지각과 심리적인 안정을 주며, 실내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이를 분해하거나 혹은 식물체내에 저장함으로써 실내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8]지난 ’12년 이전한 세종시 정부신청사를 대상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사무실 공기질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국내 권고기준보다 평균 4~6배, 최고 10배 이상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hinohara N, Mizukoshi A, Yanagisawa Y. Identification of responsible volatile chemicals that induce hypersensitive reactions to multiple chemical sensitivity patients.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2004;14(1):84-9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2002. http://www.who.int/whr/2002/en/whr02_en.pdf?ua1(08 September 2016). 

  3. Wolkoff P. "Healthy" eye in office-like environments. Environ Int. 2008;34(8):1204-1214. 

  4. Wolkoff P, Nojgaard JK, Franck C, Skov P. The modern office environment desiccates the eyes?. Indoor Air. 2006;16(4):258-265. 

  5. Wood RA, Orwell RL, Tarran J, Torpy F, Burchett M. Potted-plant/growth media interactions and capacities for removal of volatiles from indoor air. J Hortic Sci Biotechnol. 2002;77(1):120-129. 

  6. Anderson TA, Guthrie EA, Walton BT. Bioremediation in the rhizosphere. Environ Sci Technol. 1993;27(13):2630-2636. 

  7. Schmitz H. Bakterielle und pflazliche entgiftungs mechamismen fuer formaldehyde und nikotin under rhizosphare von Epipremnum aureum und Ficus benjamina. PhD Thesis. Koln University, Koln. 1995;1-458. 

  8. Wolverton BC, Wolverton JD. Plants and soil microorganisms: removal of formaldehyde, xylene, and ammonia from the indoor environment. J Miss Acad Sci. 1993;38(2):11-15. 

  9. Ministry of the Interior. Sejong city government building air quality worse, 2013. http://www.moi.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09 &nttId30611(12 February 2016). 

  10. Ministry of Environment. Manual of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 use facilities, etc, 2004. http://www.me.go.kr/m/file/readDownloadFile.do;jsessionidTJeAAZPcbTnVNUfP4dREyHnM3qUYhdxaxwm9AXhcRaqoBInjqgtY0J708LG94mW5.meweb1vhost_servlet_engine1?fileId3515&fileSeq1(08 September 2016). 

  11. Yeung YA, Chow WK, Lam VY. Sick building syndrome-a case study. Build Environ. 1991:26(4):319-330. 

  12. Kim WJ, Kim SD, Kim HJ, Kim HH, Lee CM, Kim YS.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2):201-207. 

  13. Efron N, Mah KC, Park M, Kim HJ, Kim DP, Back SS et al. Contact lens complications, 1st Ed. Seoul: Elsevier Korea, 2008:54-69. 

  14. Kim WJ, Kim SD, Kim HJ, Kim HH, Lee CM, Kim YS. Impact of indoor air quality on the eye conditions of occupants in newly-built university building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2):201-207. 

  15. Yun CM, Kang SY, Kim HM, Song JS. Prevalence of dry eye disea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4):505-509. 

  16. Wolverton, BC. How to grow fresh air: 50 houseplants that purify your home or office, 1st Ed. New York: Penguin Books, 1997. 

  17. Gwak YK, Kim HH, Lee SE, Son HL, Kim KJ, Shin DC et al. A study on the change of indoor air quality (IAQ) and health score measurement according to amount of indoor plants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J Odor Indoor Environ. 2015;14(3):190-198. 

  18. Kim HJ, Park CJ, Lim BS, Kim HH. Effects of dry eye symptoms on work productivity and general activity in newly building.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3):389-396. 

  19. Kim HH, Lee JY, Yang JY, Kim KJ, Lee YJ, Shin DC et al.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elated parameters in office buildings with or without indoor plants. J Japan Soc Hort Sci. 2011;80(1): 96-102. 

  20. Bell PA, Greene TC, Fisher JD, Baum A. Environmental psychology, 5th Ed. Wadsworth Publishing, 2000;1-656. 

  21. Hartig T, Mang M, Evans GW.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 experiences. Environ Behav. 1991;23(1):3-26. 

  22. Hodgson M. Indoor environmental exposure and symptoms. Environ Health Perspect. 2002;110(Suppl 4):663-667. 

  23. Jeong HS, Lim JS, Oh DK, Chi MJ, Paik HJ, Shyn KH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ry eye syndrome in the Incheon a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1;52(10):1135-1141. 

  24. Brewitt H, Sistani F. Dry eye disease: the scale of the problem. Surv Ophthalmol. 2001;45(Suppl 2):S199-S902. 

  25. Nakaishi H, Yamada Y. Abnormal tear dynamics and symptoms of eye strain in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Occup Environ Med. 1999;56(1):6-9. 

  26. Farris RL. The dry eye: its mechanism and therapy, with evidence that contact lens is a cause. CLAO J. 1986;12(4):234-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