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의 미디어 중재유형이 청소년의 방송프로그램 등급제 실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Media Mediation Types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Broadcasting Rat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9, 2016년, pp.386 - 395  

송원숙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  심재웅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부모의 미디어 중재유형이 청소년의 방송프로그램 등급제 실효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등급제 실효성은 등급제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유해한 콘텐츠로부터 잘 보호한다는 믿음과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는 믿음을 의미한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이 부모의 미디어 중재가 '자율적/지지적 제한'이라고 인식할수록 등급제의 실효성이 크다고 인식하지만, '통제적 중재'라고 인식할수록 등급제는 실효성이 없는 제도라는 인식이 강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와 함께, 폭력적 미디어에 많이 노출되는 중학생일수록 등급제는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연령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콘텐츠를 제한하는 이유에 대해 자녀와 대화를 나누되 부모가 명확한 논리를 제시하는 중재 유형이 등급제의 실효성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al media mediation types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broadcasting rating system. A total of 52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showed a higher utility of 'autonomy-supportive restriction' 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예를 들어, <19세이상시청가> 프로그램은 19라는 연령표기를 프로그램 처음부터 끝까지 표시하고, ‘이 프로그램은 19세 미만의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한 프로그램입니다’라는 부연설명을 화면의 ¼이상 크기로 5초 이상 고지해야 한다. 등급제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인의 역할과 함께 무엇보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하고 부모의 시청지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미디어 중재방식이 청소년의 등급제 실효성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중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이 연구에서는 부모의 미디어 중재유형이 청소년의 등급제 실효성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중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등급제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2001년 2월부터 방송법 제33조에 의거해 ‘방송프로그램 등급제(이하 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다. 등급제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방송사업자가 프로그램의 폭력성 선정성 언어사용에서의 유해 정도와 시청자의 연령 등을 고려해 프로그램의 등급을 분류하고 이를 방송 중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도다. 방송사들은 각 프로그램의 등급을 화면 오른쪽 상단에 고지하고, 이에 대한 부연설명을 덧붙여야 한다.
등급제의 목적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19세이상시청가> 프로그램은 19라는 연령표기를 프로그램 처음부터 끝까지 표시하고, ‘이 프로그램은 19세 미만의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한 프로그램입니다’라는 부연설명을 화면의 ¼이상 크기로 5초 이상 고지해야 한다. 등급제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기본 가이드라인의 역할과 함께 무엇보다 어린이와 청소년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여부를 스스로 판단하도록 유도하고 부모의 시청지도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모 미디어 중재 방식에서 제한적 중재와 적극적 중재는 각각 어떻게 구성되는가?&quot; [14]은 기존 제한적 중재와 적극적 중재를 제한의 정도와 대화의 방식 등에 따라 세분화한 모델을 제시했다. 제한적 중재는 ‘통제적 제한’(controlling restriction)’ ‘자율적/지지적 제한(autonomy-supportive restriction)’ ‘불규칙적 제한(irregular restriction)’으로, 적극적 중재는 ‘통제적 중재(controlling active mediation)’ 및 ‘자율적/지지적 적극 중재(autonomy-supportive active mediation)’로 구성된다. ‘통제적 제한’은 노골적인 제한(청소년의 미디어 콘텐츠 이용에 대해 화를 내거나 혼을 내는 방식으로 제한/금지시키는 것)과 간접적인 제한(청소년에게 죄책감이나 수치심을 불러일으켜 미디어 이용을 제한 하는 것)을 포함하는 형태로 부모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일방적 중재방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박은희, 황성연, 심미선, "청소년보시간대와 프로그램등급제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3호, pp.129-171, 2008. 

  2. 유홍식, 청소년의 폭력 영상물 이용 서베이 및 실태조사, 청소년위원회, 2005. 

  3. 이호영, 윤성옥, "어린이.청소년 보호 방송정책에 대한 의견 조사 연구: 편성규제,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 프로그램등급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1호, pp.152-196, 2010. 

  4. 김은미, 청소년 방송.통신 콘텐츠 이용 실태 분석연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2015. 

  5. B. Bushman and J. Cantor, "Media ratings for violence and sex: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parents," American Psychologist, Vol.58, No.2, pp.130-141, 2003. 

  6. B. Bushman and A. Stack, "Forbidden fruit versus tainted fruit: Effects of warning labels on attraction to television violen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2, pp.207-226, 1996. 

  7. J. Gosselt, M. De Jong, and J. Van Hoof, "Effects of media rating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A litmus test of the forbidden fruit effect," Journal of Communication, Vol.62, pp.1084-1101, 2012. 

  8.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Media Psychology, Vol.3, pp.265-299, 2010. 

  9. R. Benrazavi, M. Teimouri, and M. Griffiths, "Utility of parental mediation model on youth's problematic online gam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ddiction, Vol.13, pp.712-727, 2015. 

  10. L. Clark,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Vol.21, pp.323-343, 2011. 

  11. 안정임,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6호, pp.230-266, 2008. 

  12. 이숙정, 전소현,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6호, pp.289-322, 2010. 

  13. 조연하, 배진아,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가정 내 미디어 이용중재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3권, pp.37-74, 2010 

  14. P. Valkenburg, J. Piotrowski, J. Hermanns, and R. de Leeuw,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perceived parental media mediation scale: A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39, pp.445-469, 2013. 

  15. J. Cantor and K. Harrison, "Ratings and advisories for television programming. National television violence study," Thousand Oaks, CA; Sage, Vol.1, pp.361-410, 1997. 

  16. P. Christenson, "The effects of parental advisory labels on adolescent music preferenc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2, pp.106-113, 1992 

  17. B. Bushman, "Effects of warning and information labels on attraction to television violence in viewers of different ag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6, pp.2073-2078, 2006. 

  18. J. Smetana, "Parenting styles and conceptions of parental authority during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Vol.66, pp.299-316, 1995. 

  19. R. Larson, "Secrets in the bedroom: Adolescents' private use of medi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4, pp.535-550, 1995. 

  20. K. Collier, S. Coyne, E. Rasmussen, A. Hawkins, L. Padilla-Walker, S. Erickson, and M. Memmott-Elison, "Dose parental mediation of media influence child outcomes? A meta-analysis on media time, aggression, substance use, and sexu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Vol.52, pp.798-812, 2016. 

  21. E. Deci and R. Ryan,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Vol.49, No.3, pp.182-185, 2008. 

  22. 이란, 홍지민,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818-834, 2014. 

  23. M. Buijzen, E. Rozendaal, M. Moorman, and M. Tanis, "Parent versus child reports of parental advertising mediation: Exploring the meaning of agree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pp.509-525, 2008. 

  24. Y. Fujioka and A. Weintraub, "The implications of vantage point in parental mediation of television and child's attitudes toward drinking alcohol,"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7, pp.418-434, 2003. 

  25. M. Buijzen and P. Valkenburg, "Parental mediation of undesired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9, No.2, pp.153-165, 2005. 

  26. S. Livingstone and E. Helsper,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2, pp.581-599, 2008. 

  27. G. Mesch, "Social bonds and Internet pornographic exposure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ce, Vol.32, pp.601-618, 2009. 

  28. E. Vandewater, S. Park, X. Huang, and E. Wartella, "'No-You can't watch that' Parental rules and young children's media us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48, pp.608-623, 2005. 

  29. M. Bovil and S. Livingstone, Children and their changing media environment, A European Comparative Study, London, 2001. 

  30. S. Livingstone, "Strategies of parental regulation in the media-rich hom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3, pp.920-941, 2007. 

  31. S. Lee and Y. Chae, "Children's Internet use in a family context: Influence on family relationships and parental media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Vol.10, pp.640-644, 2007. 

  32. S. M. Hong and S. Faedda, "Refinement of the Hong psychological reactance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56, pp.173-182, 1996. 

  33. G. Peterson and D.Hann, "Socializing children and parents in families," In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Springer US, pp.327-370, 1999. 

  34. 황선주, 조대제, "원형정합방법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의 등급 인식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4권, 제1호, pp.24-31, 2004. 

  35. D. Walsh, "The challenge of the evolving media environment,"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Vol.27, No.2, pp.69-7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