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에 따른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Manpower Allocation under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7 no.3, 2023년, pp.231 - 248  

강봉숙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지역 간 격차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도서관 교육의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는 인력 배치 여부별로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와 장서 수, 자료구입비, 좌석 수, 대출자료 수, 그리고 학생 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는 성취도평가 최저 등급인 학생 비율이 2분의 1이상인 과목 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역 특성별로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도권, 광역시, 도단위 순으로 배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며 수도권과 광역시에 높게 배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특성에 따라 가계 당 순자산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경제적 여건이 풍족한 대도시 지역에 도단위에 비해 더 높은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율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단위 지역, 작은 학교에도 균등하게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이 조속히 배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igger a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in school library resources. To this end,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between other resources invested in the school library and output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manpower allocation. There was a pos...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2)

  1. Cho, Jane (2020). A study on inequality analysis of academic information sharing in university libraries using Gini's coefficient and Pareto ratio.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1), 237-255. http://doi.org/10.14699/kbiblia.2020.31.1.237 

  2. Kang, Bong-Suk (2018).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49(3), 307-329. http://doi.org/10.16981/kliss.49.3.201809.307 

  3. Kang, Bong-Suk (2018).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eacher librarians' placement by a?comparison between teacher librarian and other teachers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27-47. http://doi.org/10.4275/KSLIS.2018.52.2.027 

  4. Kim, Inhee (2010). Task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eliminating educational alienation and?disparity. Korea Social Policy Review, 17(1), 129-175. 

  5.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Edu Data Service System. Available: http://edss.moe.go.kr 

  6.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Educational Statistics. Available: https://kess.kedi.re.kr 

  7. Ministry of Education (2022). Briefing on planning to improve basic academic support 2023-2027. Available: https://youtu.be/KtX0xMJ3NWs 

  8.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Korean Law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http://www.law.go.kr 

  9. Park, Hyekyong (2017). Legislative evaluation of the "Proposal for the Elimination of the?Education Gap." Journal of Legislative Evaluation, 11, 93-132. http://www.klri.re.kr:9090/handle/2017.oak/5424 

  10. Park, Il-Jong & Yoo, Kyeong-Jong (2009). A study of the information disparity through libraries?among four regional groups in Korea on the subject of three types of libraries.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1), 57-80. http://doi.org/10.3743/KOSIM.2009.26.1.057 

  11.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http://kosis.kr 

  12. Yoon, Hee-Yoon (2022). A study on the gap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in Gyeongbuk regio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6(1), 5-25. http://doi.org/10.4275/KSLIS.2022.56.1.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