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 연령과 영아 사망과의 관련성 연구
Maternal Age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9, 2016년, pp.379 - 387  

홍재석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의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출생아 전수(n=617,867)를 대상으로 산모 연령과 영아 사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인구동태통계자료와 영아사망조사자료를 연계하여 사용하였고, 산모 연령에 따른 영아 사망 위험을 파악해 보기 위해 출생아의 성별과 다태 여부, 출생순위, 저체중아 여부, 선천성기형 여부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분석 결과, 25-29세 산모에 비해 20세 미만 산모(Odds ratio [OR], 5.29, 95% confidence interval [CI], 3.51-7.98)와 20-24세 산모(OR, 1.44, 95% CI, 1.23-1.69), 35-39세 산모(OR, 1.28, 95% CI, 1.11-1.46), 40세 이상 산모(OR, 1.94, 95% CI, 1.53-2.45)에서 영아 사망 오즈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35세 이상 고 연령 산모와 25세 미만의 저 연령 산모에서 영아 사망 위험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에서 영아 사망 위험이 높은 이유는 저체중아나 미숙아의 출산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전관리 시 고령 산모의 경우 생물학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관리정책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저 연령 산모의 경우 사회경제적인 부분과 사회적 편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관리정책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ge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n=617,867). Data of Korean vital statistics linked National Infant Mortality Survey conducted on births in 1999 were used in this study. The odds ratios (ORs) of infant death by maternal 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한 해 동안의 우리나라 출생아 전수를 대상으로 산모 연령에 따른 출생아 사망의 차이를 살펴보고, 그 원인도 함께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모의 출산 연령이 출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산모의 출산 연령이 높을수록 출생아 사망률이 증가하고 미숙아나 저체중아 출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는데, 특히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에서 나쁜 임신 결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9,10,11,12]. 진보된 의료기술과 경제 성장의 혜택으로 과거에 비해 고 연령 임신과 출산의 위험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아직까지 고 연령 산모에서 저체중아나 조산아 출산 그리고 영아 사망 위험이 높은 것은 부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고령 임산부가 증가의 이유는? 과거 수십 년 동안 여성들의 교육수준 향상과 사회적 참여 증가, 피임법의 발달 등으로 고령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다[1,2,3,4,5]. 1990년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은 24.
산모 연령과 출산 결과와의 관련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와 같이 산모 연령은 출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고, 출산 문제가 나타나는 산모의 고위험 연령을 파악하는 것은 모자 건강증진을 위한 국가 모자보건사업을 설계하는데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위험군에 대한 적절한 산전관리를 위한 임상적 결정에도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외국의 경우 산모 연령과 출산 결과와의 관련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고, 특히 고 연령 산모에 비해 저 연령 산모들에서의 출산 결과를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 H. Cho, H. S. Jo, S. I. Cho, Y. H. Eom, S. K. Rhie, K. H. Lee, "Advanced maternal age and weight at birth in newborn infants: Distribut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Vol. 25, No. 4, pp.276-283, 2014. 

  2. J. H. Choi, H. J. Han, J. H. Hwang, S. R. Chung, H. Moon, M. I. Park, K. J. Cha, H. S. Choi, J. E. Oh, Y. S. Park, "Meta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elderly gravida,"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49, No. 2, pp.293-308, 2006. 

  3. Y. K. Yang, B. W. Jung, J. K. Jung, M. J. Lee, K. H. Yoon, S. K. Shin. "A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y in pregnant women over the age of 3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3, pp.34-41, 1998. 

  4. H. K. Kim, S. W. Lim, R. R. Lee, S. H. Park, D. S. Go, H. N. Na, K. S. Lee, H. S. Rhee, "The Survey Research on Pregnant Woman's recognition about GP-UN-MAN CARD OF Childbirth Promotion Poli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3, pp. 241-250, 2012. 

  5. M. S. Jang, H. S. Yang,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ld Birth Promotion Policy Due to postpartum care and Maternity Leave to Economical Activities in the Era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245-254, 2015. 

  6.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7. C. S. Jung, "Aging Society and Labor Marke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 pp. 185-194, 2012. 

  8. S. C. Tough, C. Newburn-Cook, D. W. Johnston, L. W Svenson, S. Rose, J. Belik. "Delayed childbearing and its impact on population rate changes in lower birth weight, multiple birth, and pre-term delivery," Pediatrics, Vol.109, No.3, pp.399-403, 2002. 

  9. B. Jacobsson, L. Ladfors, I. Milsom. "Advanced maternal age and adverse perinatal outcome," Obstet Gynecol, Vol.104, No.4, pp.727-733, 2004. 

  10. J. Cleary-Goldman, F. D. Malone, J. Vidaver, R. H. Ball, D. A. Nyberg, C. H. Comstock, G. R. Saade, K. A. Eddleman, S. Klugman, L. Dugoff, I.E. Timor-Tritsch, S.D. Craigo, S.R. Carr, H.M. Wolfe, D.W. Bianchi, M. D'Alton. "Impact of maternal age on obstetric outcome," Am J Obstet Gynecol, Vol.105, No.5, pp.983-990, 2005. 

  11. W. Yuan, F. H. Steffensen, G. L. Nielsen, M. Moller, J. Olsen, H. T. Sorensen.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birth and neonatal outcome in older primipara," Int J Gynaecol Obstet, Vol.68, No.2, pp.113-118, 2000. 

  12. S. M. Ziadeh,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 in nulliparous women aged 35 and older," Gynecol Obstet Invest, Vol.54, No.1, pp.6-10, 2002. 

  13. M. S. Kang, J. Y. Lee, S. H. Lee, E. H. Oh, C. W. Lee, B. Choi, Y. D. Shin, D. J. Kim. "The Obstetrical and Statistical aspects of the unmarried mother,"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45, No. 8, pp.1347-1353, 2002. 

  14. B. S. Koo, C. Lee, J. C. Shin, T. Kim, J. Song, M. H. Hong, Y. J. Park., "Sexuality of adolescent,"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39, No. 6, pp.1007-1016, 1996. 

  15. A. J. Satin, K, J. Leveno, M. L. Sherman, N. J. Reedy, T. W. Lowe, D. D. McIntire. "Maternal youth and pregnancy outcomes: middle school versus high school age groups compared with women beyond the teen years," Am J Obstet Gynecol, Vol.171, No.1, pp.184-187, 1994. 

  16. S. Kumbi, A. Isehak. "Obstetric outcome of teenage pregnancy in northwestern Ethiopia," East Afr Med J, Vol.76, No.3, pp.138-140, 1999. 

  17. Y. J. Han, S. W. Lee, Y. J. Chang, D. J. Kim, S. W. Yi, "An Analysis of the 1999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02 

  18. J. S. Hong, H. C. Kang, S. W. Yi, Y. J. Han, C. M. Nam, B. Gombojav, H. Ohrr, "A comparison of perinatal mortality in Korea on holidays and working days," BJOG, Vol.113, No.3, pp.1235-1238, 2006. 

  19. J. S. Hong, S. W. Yi, Y .J Han, Y. W. Park, C. M. Nam, H. C. Kang, H. Ohrr, "Fetal growth and neonatal mortality in Korea," Paediatr Perinat Epidemiol, Vol.21, No.5, pp.397-410, 2007. 

  20. Z. C. Luo, S. Liu, R. Wilkins, M. S. Kramer, "Fetal and Infant Health Study Group of the Canadian Perinatal Surveillance System. Risks of stillbirth and early neonatal death by day of week," CMAJ, Vol.170, No.3, pp.337-341, 2004. 

  21. Y. J. Han. "A Study of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53rd Session, Seoul, 2001. Voorburg: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2002; pp. 514-516. 

  22. S. H. Park, J. H. Han, S. M. Kim, S. Y. Koo, S. H. Kim, "Risk factors of pre-term delivery in pregnant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Analysis of birth certificate data in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42, No. 7, pp.1416-1421, 1999. 

  23. S. Kim, Y. Cho, "Impact of Delayed Childbearing on Infant Mortality by Maternal Educ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6, pp.69-97, 2011. 

  24. R. A. Bobrowski, S. F. Bottoms, "Underappreciated risks of the elderly multipara," Am J Obstet Gynecol, Vol.172, No.6, pp.1764-1767, 1995. 

  25. J. H. Park, J. Y. Lee, S.J. Park, "Effect of delayed first childbearing on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Vol. 8, No. 1, pp.7-15. 2004. 

  26. S. J. An, M. Son, Y. J. Kim, "Social Inequality in Child Mortality according to Maternal Age, Education Level and Par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6, No. 6, pp. 3073-3081, 2014. 

  27. J. S. Choi, "A Study on Cause Analysis for Infant Death", Issue & Focus, Vol. 112, pp. 1-8, 2011. 

  28. J. Y. Moon, W. H. Hahn, K. S. Shim, J. Y. Chang, C. W. Bae,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r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n Korea" Korean J Perinatol, Vol. 22, No. 1, pp. 30-36, 2011 

  29. Y. Cho, R. A. Hummer, Y. J. Choi, S. W. Jung, "Late Childbearing and Changing Risk of Adverse Birth Outcomes in Korea", Matern Child Health J, Vol. 15, No. 4. pp. 431-437, 2011. 

  30. X. Liu, L. Zou, Y. Chen, Y. Ruan, Y. Liu, W. Zhang, "Effects of maternal age on pregnanc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Zhonghau Yi Xue Za Zhi, Vol. 94, No. 25, pp.1984-1988, 2014. 

  31. M. Laopaiboon, P. Lumbiganon, N. Intarut, R. Mori, T. Ganchimeg, J. P. Vogel, J. P. Souza, A. M. Gulmezoglu, "Advanced maternal age and pregnancy outcomes: a multicountry assessment", BJOG. Vol. 121, Suppl. 1, pp. 49-56, 2014 

  32. G. Y. Choi. "Fertility according to maternal age,"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pp.41-47, 2005. 

  33. M. Milner, C. Barry-Kinsetta, A. Unwin. "The impact of maternal age on pregnancy and its outcome," Int J Obstet Gynecol, Vol.38, No.4, pp.281-286, 1992. 

  34. J. J. Lee, "Effect of women's first childbearing age on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0, No. 12, pp.1206-1211, 2007. 

  35. C. V. Katwijk, L.L. Peeters. "Clinical aspects of pregnancy after the age of 35 yea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Hum Reprod Update, Vol.4, No.2, pp.185-194, 1998. 

  36. Y. A. Hur, K. H. Lee, "A Study on Countermeasures of Convergence for Big Data and Security Threats to Attack DRDoS in U-Healthcare Dev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243-248, 2015. 

  37. J. H. Kim, J. Y. Go, K. H. Lee, "A Scheme of Social Engineering Attacks and Countermeasures Using Big Data based Conversion Voice Phish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1, pp. 85-91, 2015. 

  38. S. S. Kim,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Plans of Medical Institutio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2, pp. 397-407, 2012. 

  39. S. Kim, D. Kim,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Birth Outcomes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Focusing on Early and Late 2000'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35, No. 1, pp.131-149, 2012. 

  40. Y. H. Kim,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Financial Health Maintenance in Response to Economic Cri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 pp. 23-26,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