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여성과 배우자의 출산연령이 산모와 신생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1, 2012년, pp.95 - 101  

이민경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신혜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이윤정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김주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 in Korea.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involving 1,622 Korean women who delivered at M Woman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2010 and their spouses were included. We obtained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분만여성과 배우자의 연령이 산모와 신생아의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분만여성과 배우자의 출산연령이 산모와 신생아의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후향적 코호트 연구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서울 소재 M여성병원에서 2010년 한 해 동안 분만한 여성 총 1,622명과 그 배우자 전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산모와 배우자의 연령이 산모와 신생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임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도함으로써 국내 기존 선행연구와는 차별화되고 진일보한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과 배우자의 출산연령이 산모와 신생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산모와 신생아 합병증이 분만여성과 배우자 연령, 산과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지에 대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 첫째, 분만여성의 출산연령이 산모의 합병증(maternal compli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출산연령은 어떤 변수인가? 여성의 출산연령은 출산 전후 임산부와 태아 및 신생아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지만(Martin et al., 2006), 이에 대해 국내외 연구결과는 다양하다.
최근 한국사회 출산율 변화에서 고령 출산율이 증가하는 이유는? 35세 이상 연령별 출산율의 합이 1974년 1,000명당 106이었고, 1982년에는 26으로 낮아졌으며, 1990년 최저점인 8에 도달한 이후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8년 33으로 정점에 달하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이러한 고령 출산율의 증가는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과 경제활동의 증가, 초혼 연령의 상승 등으로 인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생아의 선천성 기형이나 태아의 염색체 이상이 산모의 연령과의 관계를 밝히기 어려운 이유는? 신생아의 선천성 기형이나 태아의 염색체 이상은 산모의 연령과의 관계를 밝히기 어려운데 이는 유전학적 검사의 발달로 임신 초반에 문제를 발견하여 임신중절이 조기에 이루어짐으로써 그 연관성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이동형, 2006). 일부 국외 논문에서는 심장기형, 만곡족, 횡격막 헤르니아 같은 선천성 기형과 태아염색체 이상이 산모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Goldman et al, 2005; Hollier, Leveno, Kelly, Mcintire, & Cunningham,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태은, 이순표, 박종민, 황병철, 김석영 (2009). 건강한 고령초산모에서 산모 연령이 임신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기학회지, 20(2), 146-152. 

  2. 박희진, 이숙환, 차동현, 김인현, 전혜선, 이경진, 송송아, 박혜리, 정창조, 이정노 (2006). 35세 이상 고령 산모의 산과적예후.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9(10), 2066-2074. 

  3. 이동형 (2006).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임상적 연구. 부산대병원학술지, 20, 229-237. 

  4. 이정주 (2007).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이 저체중출생아의 출생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과학회지, 50(12), 1206-1211. 

  5. 최원일, 이희, 양기원, 최성은, 강혜주, 김정욱, 소재성 (2005). 30대 초반 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8(9), 2073-2079. 

  6. 최재호, 한현주, 황정혜, 정성로, 문형, 박문일, 차경준, 최항석, 오재응, 박영선 (2006). 고령 산모의 임신 및 출산의 임상적 특성에 관한 메타분석. 대한산부인과학회지, 49(2), 293-308. 

  7. 통계청(2009). 인구동태조사., http://www.kostat.go.kr 

  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보건복지통계연보. http://www.kihasa.re.kr/ 

  9. Astolfi, P., De Pasquale, A., & Zonta, L. A. (2006). Paternal age and preterm birth in italy, 1990 to 1998. Epidemiology, 17(2), 218-221. 

  10. Basso, O., & Wilcox, A. J. (2006). Paternal age and delivery before 32 weeks. Epidemiology, 17(4), 475-478. 

  11. Bayrampour, H., & Heaman, M. (2010). Advanced maternal age and the risk of cesarean birth: A systematic review. Birth, 37(3), 219-226. 

  12. Chan, B. C., & Lao, T. T. (2008). Effect of parity and advanced maternal age on obstetric outcom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Obstetrics, 102(3), 237-241. 

  13. Croen, L. A., Najjar, D. V., Fireman, B., & Grether, J. K. (2007). Maternal and paternal age and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1), 334-340. 

  14. Dain, L., Auslander, R., & Dirnfeld, M. (2011). The effect of paternal age on assisted reproduction outcome. Fertility and Sterility, 95(1), 1-8. 

  15. Goldman, J. C., Malone, F. D., Vidaver, J., Ball, R. H., Nyberg, D. A., Comstock, C. H., et al. (2005). Impact of maternal age on obstetric outcome.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105(5), 983-990. 

  16. Grether, J. K., Anderson, M. C., Croen, L. A., Smith, D., & Windham, G. C. (2009). Risk of autism and increasing maternal and paternal age in a large north american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0(9), 1118-1126. 

  17. Hollier, L. M., Leveno, K. J., Kelly, M. A., Mcintire, D. D., & Cunningham, F. G. (2000). Maternal age and malformations in singleton births. Obstetrics & Gynecology, 96(5), 701-706. 

  18. Hsieh, T. T., Liou, J. D., Hsu, J. J., Lo, L. M., Chen, S. F., & Hung, T. H. (2010). Advanced maternal age and adverse perinatal outcomes in an asian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48(1), 21-26. 

  19. Luke, B., & Brown, M. B. (2007). Elevated risks of pregnancy complications and adverse outcomes with increasing maternal age. Human Reproduction, 22(5), 1264-1272. 

  20. Martin, J. A., Hamilton, B. E., Sutton, P. D., Ventura, S. J., Menacker, F., & Munson, M. L. (2006). Births: Final data for 2004.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55(1), 1-101. 

  21. Ojule, J. D., Ibe, V. C., & Fiebai, P. O. (2011). Pregnancy outcome in elderly primigravidae. Annals of African Medicine, 10(3), 204-208. 

  22. Reichman, N. E., & Teitler, J. O .(2006). Paternal age as a risk factor for low birth weight.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6, 862-866. 

  23. Salihu, H. M., Wilson, R. E., Alio, A. P., & Kirby, R. S. (2008).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of antepartum and intrapartum stillbirth.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Research, 34(5), 843-850. 

  24. Santos, G. H., Martins, M. G., Sousa, M. S., & Batalha, S. J. (2009). Impact of m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s and mode of delivery. Revista Brasileira De Ginecologia e Obstetricia, 31(7), 326-334. 

  25. Yogev, Y., Melamed, N., Bardin, R., Tenenbaum-Gavish, K., Ben-Shitrit, G., & Ben-Haroush, A. (2010). Pregnancy outcome at extremely advanced maternal ag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3(558), e1-7. 

  26. Zhu, J. L., Madsen, K.M., Vestergaard, M., Olesen, A.V., Basso, O., & Olsen, J. (2005). Paternal age and congenital malformations. Human Reproduction. 20, 3173-31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