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겉귀리 및 쌀귀리 분말의 입자크기별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ulled and Naked Oat Flour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293 - 1301  

이유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  김진숙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가공이용과) ,  김경미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가공이용과) ,  최송이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가공이용과) ,  김기창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가공이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육종된 겉귀리(조한)와 쌀귀리(조양)를 40, 60, 80, 100 mesh로 분쇄하여 얻은 귀리 분말의 입자크기별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겉귀리의 경우 60 mesh(4.23%), 쌀귀리는 100 mesh(4.2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용성 베타글루칸은 총베타글루칸의 76.99~90.80%로 대부분 차지하였다. 총 전분은 겉귀리(63.64~69.82%)가 쌀귀리(52.45~63.71%)에 비해 함량이 높았으며 입자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아밀로오즈는 총전분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유리아미노산은 조성에 따라 감소 및 증가 패턴의 차이를 보였으나 겉귀리와 쌀귀리 모두 입도가 클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지방산은 입도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겉귀리에 비해 쌀귀리의 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oleic acid, linoleate)이 약 90% 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호화특성인 최고점도, 최저점도 및 강하점도는 겉귀리와 쌀귀리 모두 100 mesh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점도와 치반점도는 입자크기가 큰 귀리분말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호화개시온도는 귀리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전분 소화율의 경우 입자가 큰 귀리 분말의 RS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eGI는 겉귀리(76.57~85.53)가 쌀귀리(80.40~95.73)보다 전반적으로 낮았고 입자가 클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귀리의 종류 및 입자크기에 따른 특성이 최종 가공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용도 및 가공적성에 적합한 귀리 분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lled oat (Chohan) and naked oat (Choyang) flou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to investigat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s was larger than that of hulled oat flours. As the mesh of the crushed ones decreased, particle size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울러 지금까지 귀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겉귀리에 국한된 것으로 귀리를 이용한 가공제품 제조에 적합한 국내산 귀리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귀리의 소비를 증진하고, 귀리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가공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겉귀리(조한)와 쌀귀리(조양)를 각각 선정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영양성분(탄수화물,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입도, 호화특성, in vitro 소화율, expected GI)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겉귀리와 쌀귀리를 나누는 분류 기준은? 한편 귀리 종실은 일반적으로 내영과 외영이라는 껍질의 유무에 따라 껍질이 제거되지 않은 겉귀리와 껍질의 제거가 용이한 쌀귀리로 나누어진다(10). 그러므로 귀리를 식용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겉귀리보다는 쌀귀리가 다소 유리하며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쌀귀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1).
귀리 주요 생산국은 어디인가? 그러므로 귀리를 식용으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겉귀리보다는 쌀귀리가 다소 유리하며 영양적인 측면에서도 쌀귀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1).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귀리 주요 생산국인 캐나다, 호주, 러시아 등에서 수입된 원가가 낮은 수입산 귀리를 대부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2). 따라서 국내에서는 태한, 다한, 삼한, 조한과 같은 가을에 파종하여 5월 중순에 수확이 가능한 추파형 겉귀리와 내한성은 다소 약하나 남부지역에서 추파가 가능한 식용 및 사료 겸용 쌀귀리인 조양, 수양 등을 개발하여 국내 자급률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3-15).
국내에서 육종된 겉귀리 중 추파형 겉귀리 종류는?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귀리 주요 생산국인 캐나다, 호주, 러시아 등에서 수입된 원가가 낮은 수입산 귀리를 대부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12). 따라서 국내에서는 태한, 다한, 삼한, 조한과 같은 가을에 파종하여 5월 중순에 수확이 가능한 추파형 겉귀리와 내한성은 다소 약하나 남부지역에서 추파가 가능한 식용 및 사료 겸용 쌀귀리인 조양, 수양 등을 개발하여 국내 자급률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3-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ahn JD, Chung TK, Baker DH. 1990. Nutritive value of oat flour and oat bran. J Anim Sci 68: 4253-4260. 

  2. Leonova S, Shelenga T, Hamberg M, Konarev AV, Loskutov I, Carlsson AS. 2008. Analysis of oil composition in cultivars and wild species of oat (Avena sp.). J Agric Food Chem 56: 7983-7991. 

  3. Aman P, Graham H. 1987. Analysis of total and insoluble mixed-linked (1-3),(1-4)-D-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ic Food Chem 35: 704-709. 

  4. Thies F, Masson LF, Boffetta P, Kris-Etherton P. 2014. Oats and CVD risk marker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r J Nutr 112: S19-S30. 

  5. Lee YT. 199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Korean J Crop Sci 41(S1): 10-24. 

  6. Park HJ, Kim YB, Kang TS, Jung IS, Kim KY, Jeong HS. 2005.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oat bran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3-107. 

  7. Peterson DM, Quresh AA. 1993. Genotype and environment effects on tocols of barley and oats. Cereal Chem 70: 157-162. 

  8. Peterson DM, Hahn MJ, Emmons CL. 2002. Oat avenanthramides exhibit antioxidant activities in vitro. Food Chem 79: 473-478. 

  9. Gutkoski LC, EI-Dash AA. 1999. Effects of extrusion variable on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extruded oat products. J Food Sci Nutr 4: 159-162. 

  10. Welch RW. 1997. The oat crop. production and utilization. Economic Botany 51: 188. 

  11. Park BG, Lee HJ, Lee KH. 1995. Adaptation and quality of naked oat (Avena nuda L.) cultivars in Korea. Korean J Breed 27: 429-437. 

  12. Korea Customs Service. 2015. Trend of major grains the first half of income by 2015. Seoul, Korea. 

  13. Han OK, Park TI, Park HH, Song TH, Kim KJ, Park NG, Ju JI. 2014. A new high-yielding winter oat cultivar for whole crop forage, 'Dahan'.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34: 26-32. 

  14. Park HH, Heo HY, Park KH, Park TI, Seo JH, Cheong YK, Choi JS, Kim JG, Kwon YU, Ju JI, Rye IM, Hong YG, Jung KY, Han OK. 2007.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forage winter oat cultivar, "Chohan". Korean J Breed Sci 39: 124-125. 

  15. Han OK, Park HH, Park TI, Seo JH, Park KH, Kim JG, Heo HY, Hong YG, Kim DH. 2008.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naked oat cultivar for human consumption, 'Choyang'. Korean J Breed Sci 40: 512-516. 

  16. Kim JG, Park HS, Lee SH, Jung JS, Lee KW, H Jong Ko. 2015. Evaluation of productivity and silage quality for domestically developed forage crops in Korea.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35: 145-151. 

  17. Han OK, Park TI, Park HH, Song TH, Hwang JJ, Baek SB, Kim DW, Kwon YU. 2012. Effect of seeding dates on yield and quality of various oat cultivars for year-around forage production. J Kor Grassl Forage Sci 32: 209-220. 

  18. Park HJ, Kang TS, Lee HB, Kim KY, Jang KI, Noh YH, Jeong HS. 2005. Purification of oat ${\beta}$ -glucan by ${\alpha}$ -amlyase treatment and characterization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76-782. 

  19. Kang TS, Jeong HS, Park HJ, Lee MY, Kong YJ, Jung IS. 2003. Biological activities or oat soluble ${\beta}$ -glucans. Korean J Food Preserv 10: 547-553. 

  20. Lee YT. 1996. ${\beta}$ -Glucans in barley and oats and their changes in solubility by processing.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9: 482-487. 

  21. Jeong HS, Kang TS, Jung IS, Park HJ, Min YK. 2003. ${\beta}$ -Glucan content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varieties of barley and o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610-616. 

  22. Oh SH. 2014.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added with fermented oat and its functionality. MS Thesis. Jeonbuk University, Jeonju, Korea. 

  23. Yu SH. 2014.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on physicochemical and baking properties. MS Thesis. Jeonbuk University, Jeonju, Korea. 

  24. Lee C. 2009.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at extract by lactic-bacterial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811-1814. 

  25. Kim BY, Choi HS, Lyu E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oat and barley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 428-434. 

  26. Oh NG. 2009. Research on cultivation and processing technologies in winter naked oats. PhD Dissertation. Jeonbuk University, Jeonju, Korea. 

  27. Dikeman CL, Fahey GC. 2006. Viscosity as related to dietary fiber: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46: 649-663. 

  28. Asp NG, Bjorck I. 1992. Resistant starch. Trends Food Sci Technol 3: 111-114. 

  29. Lee HI, Lee HG, Bae IY. 2013. Impact of dietary fibers from various source in wheat flour gel model: Aspect of suitability of processing and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Food Eng Prog 17: 297-304. 

  3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200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 AOAC, Washington, DC, USA. AOAC official method 996.06. 

  31. Englyst HN, Kingman SM, Cummings JH. 1992.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nutritionally important starch fractions. Eur J Clin Nutr 46: S33-S50. 

  32. Goni I, Garcia-Alonso A, Saura-Calixto F. 1997. A starch hydrolysis procedure to estimate glycemic index. Nutr Res 17: 427-437. 

  33. Tian B, Xie B, Shi J, Wu J, Cai Y, Xu T, Xue S, Deng Q. 2010. Physicochemical changes of oat seeds during germination. Food Chem 119: 1195-1200. 

  34. Lindeboom N, Chang PR, Tyler RT. 2004. Analytical, biochemical and physicochemical aspects of starch granule size, with emphasis on small granules starches: a review. Starch 56: 89-99. 

  35. Lee NY. 2012. Starch and pasting characteristics of various rice flour collected from markets. Korean J Food Preserv 19: 257-262. 

  36. Lee NY. 2013. Starch and quality characteristic of Korean rice cultivar with waxy and non-waxy type. Korean J Crop Sci 58: 226-231. 

  37. Kum JS, Lee HY. 1999.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42-1548. 

  38. Chung HJ, Lim ST. 2014. Relationship between starch digestibility and its structure. Food Science and Industry 47 (3): 21-32. 

  39. Singh J, Dartois A, Kaur L. 2010. Starch digestibility in food matrix: A review. Trends Food Sci Technol 21: 168-180. 

  40. Hoover R, Zhou Y. 2003. In vitro and in vivo hydrolysis of legume starches by ${\alpha}$ -amylase and resistant starch formation in legumes-A review. Carbohydr Polym 54: 401-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