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씨 전처리와 추출 조건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추출 수율 및 항효모 활성
Extraction Yield and Anti-Yeast Activity of Extract from Green Tea Seeds by Pretreatment and Extract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351 - 1357  

양은주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  선유경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  위지향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녹차씨로부터 천연 보존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원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을 평가하였다. 과피 유무에 따른 녹차씨의 추출 결과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며, 추출 수율은 과피를 제거한 속씨에서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에 따른 녹차씨의 수분 함량은 항효모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추출 수율은 7.3% 수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쇄 공정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나, 원료의 입도가 작은 믹서 분쇄 원료에서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 오일을 추출한 부산물인 탈지 녹차씨를 추출하여 보존소재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항효모 활성은 녹차씨 추출물과 같았으며, 탈지 방법에 따라 수율은 다르게 나타나 헥산 추출 탈지 녹차씨보다 압착 탈지 녹차씨의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 평가에 따라 천연 보존소재를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과피가 포함된 녹차씨를 수분 함량 7.3%로 건조한 후 롤밀 분쇄하여 착유기로 오일을 추출한 탈지 녹차씨를 제조하였다. 탈지 녹차씨를 추출 용매에 따라 추출한 후 수율 및 항효모 활성을 조사한 결과 경제성이 높은 추출 용매는 물이 적합하였다.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탈지 녹차씨의 추출결과 $90^{\circ}C$ 추출에서는 항효모 활성이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50^{\circ}C$, 4시간 추출 조건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een tea (Camellia sinensis) seed extract (GTSE) was prepared under various pretreatment conditions and used to investigate its extraction yield and anti-yeast activity. Anti-yeast activity of GTSE from seeds with or without the coats was the same, whereas the extraction yield was slightly higher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활용이 미비한 녹차씨로부터 항효모 활성 천연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산업적 공정에 기초한 원료 전처리 조건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추출 조건을 평가하여 산업적 추출 공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활용이 미비한 녹차씨로부터 항효모 활성 천연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산업적 공정에 기초한 원료 전처리 조건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추출 조건을 평가하여 산업적 추출 공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부패 효모의 주요 균주는? 식품에서 부패를 유발하는 미생물 중 효모는 주스, 샐러드드레싱, 간장, 와인, 우유, 치즈, 잼, 음료, 육가공식품 등 많은 종류의 식품에서 부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식품 부패 효모로는 Candida, Pichia, Rhodotorula, Torulopsis, Saccharomyces, Zygosaccharomyces, Hansenula, Trichosporon 속이 주요 균주로 알려져 있다(3). 이들 효모는 당발효를 통한 알코올 생성, 알코올 발효를 통한 산막 형성, 발효를 통한 CO2 가스 생성에 의한 용기의 파손, 이취 생성 등 식품의 품질 손상을 유발한다(4).
식품 부패 효모가 발생시키는 식품 품질 손상은? 식품 부패 효모로는 Candida, Pichia, Rhodotorula, Torulopsis, Saccharomyces, Zygosaccharomyces, Hansenula, Trichosporon 속이 주요 균주로 알려져 있다(3). 이들 효모는 당발효를 통한 알코올 생성, 알코올 발효를 통한 산막 형성, 발효를 통한 CO2 가스 생성에 의한 용기의 파손, 이취 생성 등 식품의 품질 손상을 유발한다(4). 현재 효모에 의한 식품의 부패는 식품산업에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5,6).
가공식품에서 식품보존을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가공식품에서 식품보존을 위한 방법으로는 냉장, 냉동, 건조, 가열살균,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등 물리적 방법과 보존제를 첨가하는 화학적 방법이 있다. 물리적처리는 식품 질의 저하 및 영양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화학보존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오래전부터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하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ouza EL, Stamford TLM, Lima EO, Trajano VN. 2007. Effectiveness of Origanum vulgare essential oil to inhibit the growth of food spoiling yeasts. Food Control 18: 409-413. 

  2. Kim YS, Kyung KH, Kim YS. 2000. Inhibition of soy sauce film yeasts by allyl isothiocyanate and horse-radish powder. Korean J Food Nutr 13: 263-268. 

  3. Deak T, Beuchat LR. 1987. Identification of foodborne yeasts. J Food Prot 50: 243-264. 

  4. Yeon JH, Lee JY, Lee HS, Ha SD, Park CS, Woo MJ, Lee SH, Kim JS, Lee C. 2009. Evaluation of the natural antimicrobials against yeasts in functional beverages to control quality loss. J Fd Hyg Safety 24: 273-276. 

  5. Belletti N, Kamdem SS, Patrignani F, Lanciotti R, Covelli A, Gardini F.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aroma compounds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stability of soft drinks as assessed by logistic regression. Appl Environ Microbiol 73: 5580-5586. 

  6. Stratford M. 2006. Food and beverage spoilage yeasts. In Yeasts in Food and Beverages. Querol A, Fleet GH, eds. Springer-Verlag, Berlin, Germany. p 335-380. 

  7. Gould GW. 2001. New processing technologies: an overview. Proc Nutr Soc 60: 463-474. 

  8. Seow YX, Yeo CR, Chung HL, Yuk HG. 2014. Plant essential oils as active antimicrobial agents. Crit Rev Food Sci Nutr 54: 625-644. 

  9. Juneja VK, Dwivedi HP, Yan X. 2012. Novel natural food antimicrobials. Annu Rev Food Sci Technol 3: 381-403. 

  10. Nabavi SF, Di Lorenzo A, Izadi M, Sobarzo-Sanchez E, Daglia M, Nabavi SM. 2015. Antibacterial effects of cinnamon: from farm to foo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Nutrients 7: 7729-7748. 

  11. Cleveland J, Montville TJ, Nes IF, Chikindas ML.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71: 1-20. 

  12. Kramer B, Thielmann J, Hickisch A, Muranyi P, Wunderlich J, Hauser C. 2015. Antimicrobial activity of hop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for meat applications. J Appl Microbiol 118: 648-657. 

  13. Kim YS, Kim R, Na MS, Choi DB. 2010. Effect of extraction proces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ed oil of Camellia sinensis. Appl Chem Eng 21: 148-153. 

  14. Tomita M, Yamamoto S, Yamaguchi K, Ohigashi H, Yagi T, Kohata K, Berden JA. 2000. Theasaponin $E_1$ destroys the salt tolerance of yeasts. J Biosci Bioeng 90: 637-642. 

  15. Myose M, Warashina T, Miyase T. 2012. Triterpene saponins with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the seeds of Camellia sinensis. Chem Pharm Bull 60: 612-623. 

  16. Li N, Ma ZJ, Chu Y, Wang Y, Li X. 2013. Phytochemical analysis of the triterpenoids with cytotoxicity and QR inducing properties from the total tea seed saponin of Camellia sinensis. Fitoterapia 84: 321-325. 

  17. Yang WS, Ko J, Kim E, Kim JH, Park JG, Sung NY, Kim HG, Yang S, Rho HS, Hong YD, Shin SS, Cho JY. 2014. 21-O-angeloyltheasapogenol E3, a novel triterpenoid saponin from the seeds of tea plants, inhibits macrophage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in a NF- ${\kappa}$ B-dependent manner. Mediators Inflamm 2014: 658351. 

  18. Morikawa T, Li N, Nagatomo A, Matsuda H, Li X, Yoshikawa M. 2006. Triterpene saponins with gastroprotective effects from tea seed (the seeds of Camellia sinensis). J Nat Prod 69: 185-190. 

  19. Cho YS, Kim HS, Kim SK, Kwon OC, Jeong SJ, Lee YM. 1997.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 Tea Soc 3(2): 89-103. 

  20. Shin YH, Lee SC, Choi SG, Heo HJ, Cho SH. 2009.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6: 924-928. 

  21. Sharma A, Gupta S, Sarethy IP, Dang S, Gabrani R. 2012. Green tea extract: Possible mechanism and antibacterial activity on skin pathogens. Food Chem 135: 672-675. 

  22. Yoon WH, Choi JH, Lee KH, Kim CH. 2005.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eed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8-112. 

  23. Kim JK, Kim SH, Noh KH, Jang JH, Song YS. 2007. Effects of green tea seed oil on the cholesterol, TBAR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C57BL/6 mice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84-290. 

  24. Wang Y, Sun D, Chen H, Qian L, Xu P. 2011.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ea (Camellia sinensis L.) seed oil extracted by optimiz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nt J Mol Sci 12: 7708-7719. 

  25. Min MJ, Choi MH, Kim GC, Shin HJ. 2013. Damage prevention effect of green tea seed oil on colored and decolored hair. KSBB J 28: 287-294. 

  26. Choi JH, Nam JO, Kim JY, Kim JM, Paik HD, Kim CH. 2006.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partially purified substance(s) from green tea seed. Food Sci Biotechnol 15: 672-676. 

  27. Noh KH, Min KH, Seo BY, Kim HO, Kim SH, Song YS. 2011. Suppressive effe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ethanol extract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67-7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